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승리의 여신: 니케/출시 전 정보
(r2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출시 전 정보 == 모바일 TPS 슈팅 게임으로 개발 중이며 [[Live2D]]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고 Live2D Cubism 3 [[https://www.live2d.com/]]버전을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데스티니 차일드는 Live2D Cubism 2 버전이다.] 동시에 [[https://youtu.be/SvyGDR2Vnw0|2.5D 페이퍼 폴딩 기술을 사용하여 3D 처럼 연출하는 기법]]을 사용한다고 공개했고 [[Spine]] 애니메이션 기술도 도입되었으며, 최대 5인까지 파티를 구성하여 전투를 벌일 것이라 발표했다. 모바일 미소녀 건슈팅 RPG라는 슬로건으로 2022년 8월 2일부터 10일까지 CBT 테스트를 진행했으며, 튜토리얼, 스토리, 주요 콘텐츠가 포함된 빌드를 공개했다. 아트 디렉터는 시프트업 소속으로 일러스트레이터인 [[혈라]]가 맡았지만 2020년 3월 24일부로 퇴사했다가 7월 14일 재입사하여서 다시 제작에 참여하고 있다. 그러나 다시 퇴사했기 때문에 2022년 시점 현재 AD는 불명확하다. ||<table align=center><nopad> [[파일:니케 사내공모전.png|width=100%]] || || 사내 공모전 당시의 결과물 || [[김형태(일러스트레이터)|김형태]] 대표가 [[김성회(방송인)|김성회]]와의 토크에서 직접 밝힌 비화로, 과거 시프트업에서 진행한 사내 게임 공모전이 니케의 첫 시작이었다고 한다. 동기부여를 위해 김형태가 약 1억 원의 상금과 함께 우승한 작품은 게임으로 만들겠다는 공고를 걸었고 해당 공모전에서 우승한 작품이 바로 승리의 여신: 니케였다. 당시만 해도 그냥 미소녀 캐릭터가 옆으로 사격하는 평범한 FPS였으나, 이것을 보자마자 '''여기선 엉덩이를 보여줘야 할 것 같은데?'''라고 생각한(...) 김형태가 사격할 때의 뒷모습, 그리고 사격을 하지 않을 때 캐릭터의 얼굴을 그리면 좋을 것 같다고 판단하여 지금의 형태가 잡히게 되었다. 하지만 이렇게 하면 작업량이 엄청나기 때문에 처음에는 미친 짓이라고 생각하여 스탠딩 - 사격 - 엄폐 3방향 일러스트를 취소하려고 했으나 막상 애니메이션화를 끝내고 게임에 넣어보니 굉장히 매력적이었고, 이것을 플레이하는 유저들에게 새롭게 받아들여질 수 있겠다는 강렬한 예감이 들어서 그대로 니케를 추진하게 되었다고 한다. 이하 정보는 2019년도 쇼케이스에서 발표한 자료 및 [[2021년]] 지스타 시연 버전을 기준으로 하기에 차후 게임 개발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 시프트업의 전작인 데스티니 차일드처럼 이번에도 세로 화면으로 플레이 하는 게임이며 [[iPad|아이패드]]같이 해상도가 큰 기기에선 가로 해상도도 지원한다. 장르는 [[타임 크라이시스]], [[더 하우스 오브 더 데드]]시리즈 같은 건슈팅 액션 게임. * 데스티니 차일드와는 다르게 15세 이용가를 목표로 하고 있다. * 전투에는 공격중인 부위를 공격해 저지 게이지를 깎아 적의 패턴을 캔슬하거나, 특정 부위를 공격하여 접근을 막는등의 부위 공격을 노리는 전략이 필요하다.[[http://www.thisisgame.com/webzine/special/nboard/5/?n=92927|#]] * 캐릭터마다 장착한 무기와 모션이 다르며 SR 등급 이상의 캐릭터들은 스킬 사용 시 라이브 투디로 제작된 스킬 컷신이 나온다. * 전투 중 자신이 직접 조종하지 않는 나머지 4명의 캐릭터는 AI가 자동으로 전투를 하며 화면 하단의 캐릭터 아이콘을 누르는 것으로 사용 캐릭터를 교체할 수 있다. 등장하는 적의 구성이 바뀌면 그 적들에게 맞는 최적의 무기를 가진 니케로 교체하고, 급하게 화력을 쏟아야 할 상황인데 재장전 중이라면 재장전을 기다리는 것보다 바로 바로 교체하여 다른 캐릭터로 공격하는 등 상황에 맞는 교체가 필요하다. * 기본적으론 싱글 게임이지만 고난이도 컨텐츠에선 다른 유저와 함께 플레이할 수 있다. 2022년 3월 FGT/CBT에서 '협동작전' 컨텐츠가 처음 공개되었으며 싱글 게임인만큼 거부감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설 컨텐츠가 아닌 주요 기간제 이벤트로 출시할 예정이다. * 무기 종류는 총 6종류로 장비마다 공격 특징이 다르다. * [[어설트 라이플]] (AR) - 표준적인 무기. 가장 무난하고 편하게 공격할 수 있기 때문에 지스타 시연판 설문조사에서도 6개의 무기 중 가장 좋은 평가를 받았다. * [[샷건]] (SG) - 수십발의 탄환이 퍼져나가며 근거리의 적에게는 다단히트 하기에 큰 피해를 입힐 수 있다. * [[스나이퍼 라이플]] (SR) - 조준 시 스코프를 통해 해당 지역을 확대해서 보기에 먼 거리의 적이나 작은 약점을 노리기 좋다. 차지샷 기능이 있어 조준을 오래할 수록 위력이 강해진다. * [[로켓 런처]] (RL) - 넓은 범위에 큰 피해를 줘서 뭉쳐있는 적을 공격하기 좋다. 차지샷 기능이 있어 조준을 오래할 수록 위력이 강해진다. * [[머신건]] (MG) - 천천히 사격하다가 점차 사격 속도가 빨라진다. 넉넉한 장탄수가 특징이다. * [[서브머신건]] (SMG) - 비교적 빠른 연사 속도를 보유했다. 그 외에도 [[검]]을 사용하며 발도술로 참격을 날리는 홍련, 쌍권총을 쓰는 솔린 같은 캐릭터들도 있지만 이들도 무기 타입은 각각 AR, SMG로 취급받는 걸로 보아 무기 카테고리는 6개로 고정 될 것으로 보인다. * 전투 중 기본적으로 니케들은 엄폐물 뒤에 숨어있어서 피해를 거의 받지 않지만 공격시에는 엄폐물 밖으로 빠져나오기에 엄폐 보너스를 받지 못해서 피해를 그대로 입는다. 또한 엄폐물에도 자체 내구도가 있어서 엄폐상태에서 계속 공격받다보면 엄폐물 자체가 파괴되고, 이 상태에선 엄폐한다고 해도 피해가 완전히 경감되지 않는다. 보스급 적들은 엄폐 상태, 엄폐물의 상태와 상관없이 피해를 주는 강력한 패턴들을 가지고 있다. * 전투 콘텐츠에는 PVP, 레이드, 월드 보스, 기타 협력 미션 등이 기획중. * 전투 외 생활 콘텐츠도 있으며, 성장과 관련된 다양한 콘텐츠도 준비되어 있다. 블라블라라는 니케들과 메세지를 주고 받는 시스템이 있다. * 초기에는 20명의 니케를 만들고 출시할 예정이었지만 목표로 했던 2020년 발매보다 발매가 2년 늦춰진 탓인지 2021년 지스타에서 60명 이상의 니케를 만들고 출시할 예정이라고 한다. 게임 엔진은 시프트업에서 자체개발한 엔진이 아닌 [[유니티]]를 사용했다고 한다. 이는 전작 [[데스티니 차일드]]가 사용했던 엔진이 워낙 구형인지라 최적화 문제, 보안 문제를 2021년에도 실시간으로 겪고 있고 이 때문에 유니티 엔진을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본래 2020년 발매 예정이었으나 19년 4월 첫 정보 공개 이후 아무런 소식이 없었고 오히려 1년정도 시간이 지나고 AD인 혈라가 퇴사했다는 소식이 나오자 프로젝트가 접힌게 아니냐는 의혹까지 있었다. 그러다 2020년 12월 3일, 첫 발표 이후 약 20개월만에 드디어 플레이 티저 영상이 올라오면서 개발중임을 다시 밝혔는데, 퀄리티는 대체로 크게 상승했으나 베타 테스트나 출시에 대한 언급은 아직 없기에 원래 목표였던 2020년 발매는 이미 지나간 상황이고, 출시일도 미정이었다. 동영상 단 두개를 제외하면 아무런 정보를 알려주지 않았다. 기대하던 유저들은 개발 취소가 아닌지 걱정하여 공식 문의처에서 직접 문의 해달라고 홍보를 했을 정도로 정보가 부족했다. [[https://m.dcinside.com/board/projectnike/4|#]] 2020년 티저 영상 공개 이후로는 2021년 4월 [[https://twitter.com/jamm3rd/status/1378989350977818626/photo/1|김형태가 새로운 일러스트를 공개]]한 것외에는 별 얘기가 없고 21년 8월 개인방송을 하던 [[혈라]]도 정보 공개는 불가능하다는 점을 밝혔다. 반면 첫 공개 당시엔 니케보다 정보가 적었던 프로젝트 이브는 21년 9월 플레이스테이션 쇼케이스에서 인게임 트레일러를 공개하여 오히려 두 게임간 정보량이 반대가 되었다. 그러다가 2021년 지스타에서 시프트업이 참여하고 니케와 이브의 정보가 등장할 가능성이 높다는 기사가 계속 나왔고 그리고 지스타에 니케 등장이 확정되었다. 부스에선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디젤(승리의 여신: 니케)|푸른색 + 검은색 + 흰색 조합의 새 제복을 입은 신규 니케]]가 확인되었고 신규 PV 공개 및 체험판도 플레이 할 수 있었다. 2021년 11월 10일 공식 홈페이지, SNS가 생기고 동시에 대규모로 정보가 공개되었고 트레일러 마지막에 2022년 내로 출시한다는 문구가 나왔다. 인터뷰 등에선 최대한 빠른 시일 안에 찾아뵙겠다는 식으로 돌려서 말하기만 했고 2022년 1분기 기준으로도 캐릭터 소개 외에는 별다른 소식이 없는지라 출시 시기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파일:니케지스타간담회.png]] 모든 캐릭터는 스탠딩 일러스트[* 로비에서 터치 등 상호작용 용도와 스토리에서 스탠딩 일러로 쓰인다.]뿐만 아니라 전투에서 쓰이는 똑같은 등신대 비율의 엄폐, 사격 일러스트 총 3개의 일러를 가지고 있으며 스탠딩/엄폐/사격 세 일러스트 모두 라이브 투디가 적용되어 스탠딩 - 터치, 표정대사 / 엄폐- 대기, 엄폐중 피격, 재장전 모션 / 사격 - 사격시 반동, 사격중 피격 같은 모션들이 모두 움직인다. 또한 필드용으로 SD캐릭터도 따로 구현되어 있어 맵을 이동할 때는 SD 파티가 쫄쫄 움직이는 모습이 나온다. 이는 기자 간담회나 사전 인터뷰 등에서 김형태 대표가 수차례 가장 강조했던 부분으로, 대부분의 모바일 미소녀 게임에서 스탠딩 일러스트에만 모든 힘을 쏟고 인게임에서는 간단한 SD 캐릭터가 나오는 것이 전부였던 점을 예로 들며 이것이 니케만의 강점임을 어필하고 있다.[* 같은 모바일 미소녀 게임이라도 3D 쪽으로 보면 이야기가 다르지만 2D 쪽으로 보면 인게임에서 제대로 된 8등신이 묘사되는 게임은 기껏해야 [[에픽세븐]]이나 [[카운터사이드]], [[Fate/Grand Order]] 정도 밖에 없을 정도로 거의 대부분이 SD 캐릭터만 사용하고 있기는 하다. 시프트업은 이런 틈새를 노렸다고 볼 수 있으며 상당한 자신감을 표하고 있다. 이게 제대로 먹혀들어서 보란듯이 흥행에 성공했으니 난이도는 높더라도 굉장히 좋은 전략이었던 셈.] 그리고 김형태 특유의 화풍이 호불호가 많이 갈리는 것을 의식했는지 이번 니케에서는 본인이 직접 '제가 그린 걸 좋아하지 않는 분들이라도 다양하게, 매력적으로 느낄 수 있는 캐릭터들이 준비되어 있다'고 언급했다. 아포칼립스 세계관답게 꽤나 시리어스한 분위기와 전개를 보여준다. 지스타 시연판도 긴 시나리오 분량은 아니었지만 니케 세계관이 여러모로 암울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김형태의 인터뷰에서는 캐릭터들의 암울한 건 확실히 암울하게 묘사하고 즐거운 건 즐겁게 묘사한다고 말했으며 유형석 디렉터의 추가 언급에 따르면 메인 시나리오는 진중한 느낌으로, 캐릭터 개별 스토리는 황당하거나 달짝지근하거나 친밀감 있는 스토리를 풀어나갈 계획이라고 한다. 2021년 11월 10일 이후 트위터, 페이스북에서 단편적으로 세계관 정보 캐릭터 설정등을 풀고 있다. 2022년 3월 7일부터 13일까지 한국에선 15일에 [[포커스 그룹 테스트|FGT]] 참가자를 모집해서 FGT를 진행했다. 또 퍼블리셔로 [[텐센트]]의 브랜드 프록시마 베타(레벨 인피니트)와 협력하여 글로벌 전개를 준비하고 있음을 밝혔으며 같은 시기 일본 서버, 북미 서버도 본격적으로 홈페이지를 오픈하고 CBT를 진행했다. 다만 CBT의 경우 게임 다운로드만 성공하면 따로 테스터 인증을 하지 않아도 접속할 수 있었고, 중국인들이 테스트용 APK 파일을 유출하면서 테스터가 아닌 유저들이 서버로 몰려 진행에 차질이 생기는 일이 발생했다.[* CBT 유저들이 [[리세마라]]를 계속 진행해서 자리가 부족한 것도 있었다.] 이 때문에 참가하지 못한 테스터들을 대상으로 4월 7일부터 15일까지 인증 방식으로 추가 CBT를 진행한 해프닝이 있었다. 2022년 여름 2차 CBT가 진행되었다. 다른 서버가 1차 CBT를 할 때 한국에서는 FGT만 진행했던 것에 대한 불만이 많았기 때문인지 이번에는 모든 서버가 똑같은 온라인 CBT로 진행되었다. 2022년 9월 7일 사전 예약을 시작하였다. 이로써 연내 발매 가능성이 높아졌으며 11월 4일에 정식 오픈한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