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스탈린그라드 전투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만약 독일군이 승리했다면? === 가능성이 상당히 있는 일이었다. 블라우 작전의 초기 성공 이후, 독일군은 작전 계획을 매우 크게 바꾸기 시작한다. 원래대로라면 크림반도 장악에 성공한 11군은 캅카스로 진격해야 했지만 실제로는 군사령부를 해체하고 예하 부대를 북부집단군과 중부집단군에 나누어주게 된다. 이로 인해 남부집단군은 본래 캅카스로 보내려 했던 독일 보병사단을 루마니아 부대로 대체해야만 했다. 더 나아가 독일군은 남부집단군 예하의 2개의 기갑사단과 2개의 차량화보병사단을 중부집단군과 프랑스, 발칸 등으로 보내 블라우 작전의 기동부대 숫자를 줄여버리는 실책까지 범하게 된다. 이렇게 블라우 작전 총 병력이 줄고, 집단군을 두개로 쪼개 돈 만곡부 독일군 부대들의 전투력을 하락시키기까지 했음에도 독일군은 독일군인지라 6군은 스탈린그라드 2차 공세에서 추이코프를 멘붕 직전까지 몰아넣기까지 했다. 추이코프가 사령부를 볼가 강 반대편으로 옮기려고까지 했으니, 의외로 백척간두의 승부였다는 의미이다. 만약 시가지 전투에서 독일군이 승리하고, 나아가 아스트라칸(실제로는 1개 차량화사단이 넓은 지역을 드문드문 감시할 계획)까지 점령하게 될 경우 독일군의 6개 기갑 및 기계화보병사단이 시가지에서 철수 가능해지게 된다. 이렇게 될 경우 독일군은 일부 기동부대를 돈 만곡부 기동방어에 할당하고, 4기갑군 휘하의 병력들을 원래 계획했던대로 캅카스로 보낼 수 있게 되긴 할 것이다. 이들을 통해 A집단군이 조금 더 진격할 수는 있겠지만, 독일군은 캅카스 지역의 기존 A집단군(3개 군사령부로 구성)도 제대로 보급하지 못하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그로즈니를 넘어 바쿠까지 진격하는 것은 쉽지 않았을 것이다. 독일의 물자 생산량이 부족했다기보다는 폴란드에서 소련 깊숙한 지역까지 철도가 지속적으로 병목현상을 일으키는 것이 문제였다. 이를 모두 고려해 보면 스탈린그라드 전투 승리는 독일군에게 유전지대를 지킬 강력한 남부 방어선을 제공함을 알 수 있다. 그로즈니 유전이 가동되기 시작하면 독일은 석유 부족분의 상당부분을 회복하게 되고, 바르바로사 작전 당시와 유사하게 기계화부대가 철도에서 더욱 떨어져 기동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추후 독일군이 전략적 공세, 기동방어를 취하는데 큰 도움을 주게 될 것이다. 또한, 6군이 붕괴되지 않으므로 다른 추축국 부대들이 유지됨은 물론, 스탈린그라드 공중보급에 투입될 항공기들이 튀니지 항공보급에 투입 가능해지고, 6기갑사단 등 겨울폭풍작전에 급히 투입한 부대들을 이탈리아 전선으로 보낼 수 있게 되는 등 타 전역에 큰 여유를 가져다 주게 될 것이다. 그 상태를 유지한 채 1943년 중반이 되면 독일군은 쿠르스크같은 제한적 공세가 아닌, 다시금 주도권을 가진 공세를 시작했을 것이다. 이후 소련군이 다시 연합군과 힘을 합쳐 독일을 패퇴시키더라도, 소련군은 베를린 레이스까지 더 많은 시간, 더 많은 피를 흘려야 했을 것이다. 소련군은 쿠르스크 전투 승리 이후로도 6개월 넘게 드네프르 강 근처에서 소모전을 치르고서야 독일군의 척추를 꺾을 수 있었다. 여기에 만약 스탈린그라드에서 손실했던 27만의 추가 독일군과, 20만이 넘는 추축동맹 부대가 추가된다면 전투는 더욱 힘들어졌을 것이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