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순환출자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해외 사례 == 한국 내에서의 [[재벌]] 및 대기업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으로 인해 이러한 순환출자 경영 방식이 한국에서만 일어나며 타국에서는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기도 한데, 이는 사실이 아니다. 해외의 유명한 기업들도 순환출자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르노-닛산-미쓰비시 얼라이언스]], 독일 [[보쉬]], [[도이체방크]], 일본 [[토요타 그룹]][* [[토요타자동차]], 토요타자동직기, 토요타부동산, [[덴소]], [[아이신]]이 복잡하게 얽혀있다.], 대만 포모사 그룹, 프랑스 [[LVMH]] 그룹, 독일의 [[폭스바겐그룹]]([[포르쉐 SE]] - [[폭스바겐]] - [[포르쉐|포르쉐 AG]]), 이탈리아 아녤리 그룹, 인도 [[타타 그룹]], 캐나다의 Hees-Edper 그룹 등이 있다. [[미국]]에서는 금융위기 이전까지 '''[[제너럴 모터스]]'''가 대표적인 순환출자 그룹이었다. 제너럴 모터스가 순환출자를 한 고리는 제너럴 모터스 본사와 [[GM 파이낸셜]](한국의 [[현대캐피탈]]쯤 된다.)이 상호출자를 하고, GM 파이낸셜이 계열사 지분을 소유한 후에, 각 계열사들이 거꾸로 GM 본사의 주식을 사서 가지고 있는 방법이었다. '''이 구조는 [[대침체]]때 [[녹다운]]됐고''' [[미국]] [[정부]]에 의해서 굿컴퍼니/배드컴퍼니 분리 과정에서 계열사들을 정리하며 순환출자 고리가 끊겼다. 현재는 [[GM 파이낸셜]]이 [[지주회사]]격의 위치에 있다. 다만 이들을 제외한 기업들은 지주회사와 [[차등의결권]] 등의 방법을 쓰지 순환출자는 그리 보편적인 방법은 아니다. 유럽의 경우 순환출자를 쓰는 회사가 나라별로 다르지만 대개 [[http://magazine.hankyung.com/business/apps/news?popup=0&nid=01&nkey=2012083000874000061&mode=sub_view|전체의 10%가 안 될 정도]]이다. 다만 예외적으로 일본의 경우에는 순환출자보다 강력한 네트워킹출자를 선호하고 있다. 한국의 순환출자를 설명함과 동시에 토요타 그룹의 순환출자에 대해서도 설명한 글도 있다. [[http://news.kyokasho.biz/archives/4356|해당 블로그(일본어)]] [[토요타 그룹]]의 순환출자를 간략하게 소개하자면, 토요타 본사와 [[덴소]]가 주력 모체이다. '''토요타와 덴소가 상호출자'''를 하고, 각 계열사들에 토요타와 덴소가 각각 지분을 출자하며, '''계열사들끼리 서로 주식을 상호출자'''하는 식으로 순환출자 고리가 구성되어 있다.[* 일본 국내 기업들끼리 뿐만 아니라 해외 기업들과도 상호출자 관계를 맺고있다. 대표적인 경우가 [[르노-닛산-미쓰비시 얼라이언스]].] [[대한민국]] [[롯데|롯데그룹]]의 순환출자와 비슷하다. [[대한민국]]에서는 신규로 상호출자 하는 것은 [[2004년]]에 이미 금지되어 있고, 기존 상호출자 역시 [[2024년]]까지는 전부 정리해야하는데, 일본에는 이렇게 구조개편을 강제하는 법이 없어서 토요타 그룹이 순환출자 구조를 쓰고 있다. 이런 방식은 일본의 독특한 기업 경영문화와도 관련이 있는데 일본에서는 아무리 오너일가라고 하더라도 기업의 창업주이거나, 창업주에 못지않게 기업을 중흥시킨 인물이 아닌 이상 오너 일가가 아무리 주식을 많이 갖고있더라도 한국의 재벌들처럼 오너일가의 황제경영 체제를 구축하기 어렵다. 오너 일가가 절대적인 주식 지분을 갖는 매우 예외적인 경우가 아닌한[* 세계적으로 높은 상속세율로 세대가 지날수록 급격히 지분율이 감소.] 오너 일가는 쇼군에게 권력을 위임했던 덴노라든지, 막부에서 실권을 행사했던 노중을 비롯한 가신들에게 권력의 상당 부분을 위임했던 쇼군, 다이묘들처럼 창업주 이후로는 거의 대부분의 기업이 [[전문경영인]] 체제로 운영되는데 그 전문경영인들은 그 회사 또는 그 회사의 계열회사 공채출신 인물들인 경우가 많다. 그러한 전문경영인 경영자들이 서로 연합하여[* 그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초호화 접대문화가 더욱 성행했다.] 상호출자를 하고 기업의 경영권을 방어하는 체제인 경우가 매우 많다. 전후 해체된 일본의 재벌들은 그런 식으로 서로 영향력과 결속력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금융기관들까지 대주주로 참여하여 이미 실질적인 지배주주가 누구인지 지분 소유비율만으로는 파악하기 어렵고 조직 내부 출신 경영진들이 실질적으로 지배력을 행사하는 대기업들이 대부분이고 임원들끼리 조직력을 중요하는 조직문화가 자연스럽게 발달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그로 인해 고베제강 사태처럼 조직적인 은폐, 부정 등의 부작용도 많이 나타난다.] 다만 [[토요타 그룹]]은 [[토요타 아키오]] 회장이 '''[[동군연합|토요타와 덴소의 회장, 이외 토요타 그룹 모든 자회사의 명예회장직을 싹쓸이하는 방법으로]]''' 모든 전권을 틀어쥔 상태라서 일본의 경영문화 때문에 순환출자를 한다는 것과도 맞지 않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순환출자, version=160, uuid=439629bb-0d77-4f66-84d0-7f26ab767624)]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