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소비에트 연방 영웅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1회 수훈 ==== * [[노르망디-니에멘]] - 제2차 세계 대전에 소련군에 편입되어 싸운 [[자유 프랑스]] 공군 부대. 해당 부대 소속 에이스 4명이 프랑스인 최초로 수훈 받았다. * [[니콜라이 비류코프]] - [[소련 육군]]의 군인 * [[니콜라이 쿠즈네초프]] - [[소련 해군]] 원수이자 소련 해군의 아버지. * [[니콜라이 쿠즈네초프(NKVD)]] - [[나치 독일]]에 침투한 [[소련]] [[내무인민위원부]] 장교 * [[니콜라이 푸호프]] - [[소련 육군]]의 군인 * [[니키타 흐루쇼프]] - [[스탈린그라드 전투]] 당시 야전군 [[정치장교]]. 훗날 소련 공산당 서기장. * [[드미트리 로자]]-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마틸다 II]] 및 [[M4A2]] 셔먼 에이스. 제2차 스몰렌스크 전투를 시작으로 코르순-체르카시 포위전, 빈 공세, 만주 전략 공세 작전 등에 참전한 군인으로, 2001년 사망하였다. * [[드미트리 우스티노프]] - 소련군 원수 * [[라몬 메르카데르]]- [[NKVD]]에 포섭되어 '''[[레프 트로츠키]]'''를 암살한 남자다. * [[마리야 옥타브리스카야]] - 소련군 전차 조종수 * [[빅토르 쿨리코프]] - 소련군 원수 * [[미하일 슈밀로프]] - 소련군 상장 * [[미하일 페트로프]] - 소련군 소장 * [[아나톨리 콘스탄티노프]] - 소련군 항공원수 * [[알렉세이 라지옙스키]] - 소련군 대장 * [[알렉산드르 루친스키]] - 소련군 대장 * [[알렉산드르 민]] - 소련군 대위. [[독소전쟁]] 당시 605 소총 연대의 지휘관으로써 1943~1944년 사이의 총 9번의 독일군 역습을 격퇴하고 우크라이나 볼린 주 해방에 기여한 공적으로 '''[[고려인]] 최초로 소비에트 연방 영웅 칭호가 추서되었다.'''[* KGB 공작원 예브게니 킴이 1987년에 영웅칭호를 수훈했고 소련 붕괴 후에는 올레그 최가 러시아연방영웅이 되었다. 참고로 이 훈장보다 한 단계 격이 낮은 [[사회주의노력영웅]]을 고려인 출신 [[김병화]]가 2번 수훈받았다.] * 예브게니 킴 - [[KGB]] 공작원. 1987년 영웅 칭호 수훈. [[알렉산드르 민]]과 함께 유이한 고려인 소비에트 연방 영웅 중 한 명이다. 고려인으로서 영웅 칭호를 수훈한 것도 대단하지만 더욱 놀라운 것은 [[알파 그룹]] 소속 특수부대를 제외하면 냉전기에 영웅 칭호를 수훈한 KGB 요원은 한 손으로 꼽을 수 있을 정도로 극소수인데 그들 중 한 명이라는 것이다. 현재까지도 예브게니 킴의 업적은 기밀이지만 KGB 공작원으로서 영웅 칭호를 수여받았다는 것만으로도 예브게니 킴이 공작원으로서 얼마나 전설적인 업적을 남겼는지 알 수 있다. * [[유리 막시모프]] - 소련의 군인 * [[이반 시카도프]] - 소련의 군인 * [[이반 이사코프]] - 소련 해군 원수 * [[이반 파블로비치 세레다]] - 소련군 취사병. 평범한 취사병이 아니라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부대원들 전부가 정찰 나간 사이에 전우들 병영식을 만들고 있었는데 갑작스레 난입하여 밥통을 밀어서 엎어버린 [[2호 전차]]를 보고 [[극대노]]하여 무려 도끼 1자루와 다양한 임기응변으로 [[2호 전차]]를 멈춰세우고 자포자기하듯 뛰쳐나오는 전차병들을 포로로 잡아서 '격파'하였다. * [[이반 프스티고]] - 소련 공군의 군인. * [[이오시프 스탈린]] - 소련 공산당 서기장. 일단은 [[히틀러]]와 [[나치 독일]]을 무찌르고 함락시킨 공훈이 있었기 때문에 수여받은 것이다. 스탈린은 자신이 전투에 직접 참여하지 않아 연방영웅훈장을 수여받을 자격이 없다고 생각했는지 연방영웅훈장은 패용하지 않았고 [[사회주의노력영웅]] 훈장만 패용하였다. * [[이반 트레티야크]] - [[소련 방공군]] 총사령관 * [[이반 파블롭스키]] - [[소련 육군]] 총사령관 * [[레오니트 텔랴트니코프]] -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당시 소방대 대장으로 휘하의 대원들과 분투하여 3호로가 터지는 걸 막았다. 만약 3호로가 터졌다면 사고의 규모는 현재의 피해는 '따위'로 취급할 수 있을 정도로 커졌을 것이고 수습 불가능한 대재앙이 벌어졌을 것이다. * [[류드밀라 파블리첸코]] - 소련군 [[여성]] [[저격수]]. 오데사와 세바스토폴에서 독일군 309명 사살. * [[리디아 리트뱌크]] - 소련군 [[여성]] 전투기 [[에이스]]. 포로가 되었다는 누명을 썼지만 1979년 추락한 전투기와 시신이 발견되어 복권되었고 1990년에 영웅 칭호를 받았다. * [[리하르트 조르게]] - 소련의 전설적인 스파이. [[일본 제국|일본]]에서 활약하며 [[바르바로사 작전|독일의 소련 침공 계획]]을 사전에 경고하였다. 하지만 스탈린은 [[나의 아스카는 그러지 않아|나의 히틀러는 그러지 않아!]]로 일갈했다. ~~[[판데모니움|그리고 소련에는...]]~~[* 조르게도 독소전에서 공을 세웠는데 일본군이 진주만의 미군을 공격하고 태평양과 동남아시아를 침공하며 소련과 전쟁할 의사가 없는 것을 알아내 알렸다. 이 정보로 소련이 일본의 뒤통수를 걱정하지 않고 독일과의 전쟁에 극동과 시베리아의 병력을 동원할 수 있었다. ] * [[리하르트 테사르지크]] - 체코슬로바키아의 군인으로 제2차 키예프 전투 중 소련군 최초로 드네프르 강둑에 도달했다. 외국인 최초로 영웅이 되었다. * [[미트로판 네델린]] - 소련군 포병상원수. * [[바실리 소콜롭스키]] - 소련군 원수. * [[바실리 자이체프]] - 소련군 [[저격수]].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독일군 225명 사살. * [[발레리 치칼로프]] - 소련의 군인, 파일럿. 항공사고로 사망 * [[발렌티나 테레시코바]] - 세계 최초 여성 우주인. * [[발터 울브리히트]] - [[동독]]의 서기장 * [[뱌체슬라프 츠베타예프]] - 소련군 상장. * [[블라디미르 고보로프]] - [[소련 육군]]의 [[군인]]. [[레오니트 고보로프]] 원수의 장남이다. * ~~[[세르게이 바렌초프]]~~ - 소련군 포병상원수, [[올레크 펜코프스키]] 간첩 사건에 연루되어 영웅 칭호 박탈 및 소장으로 4계급 강등. * [[세르게이 크리칼료프]] - 소련-러시아의 우주인[* 소련 붕괴 후에 새로 제정된 러시아 연방영웅 훈장을 첫 번째로 수훈한 사람이기도 하다.] * M.I 야코블레프 - 소련의 전차 에이스. 제86독립전차대대 산하 소대장이자 [[T-26]] 전차의 전차장으로 당시 계급은 중위였다. [[레닌그라드 공방전]] 시기 크라스니보르, 토스노를 방어하기 위한 작전에 투입되어 벙커 2개와, 대전차포 3문, 기관총 진지 4개,박격포 3문을 격파하였으며 크라스니보르에서 단신으로 200명의 독일군을 사살하는 전과를 올려 수훈받았다. * [[세묜 쿠르콧킨]] - 소련의 군인 * [[알렉산드르 볼코프(1948)|알렉산드르 볼코프]] - 소련의 우주인. * [[알렉산드르 오스킨]] - 소련의 전차 에이스. [[T-34-85]] 전차의 전차장으로 1대의 T-34-85로 '''한 전투에서''' 독일군의 '''[[티거 2]]'''를 무려 3대나 격파했다.[* 고작 3대라고 여길 수도 있는데 티거2는 T-34 몇 대가 다굴을 놓아야 잡을 수 있다. 그것도 정면으론 어림도 없고 옆이나 뒤를 잡아야 그나마 가능하다는 점을 보면 흠좀무하다. 물론 나치의 전차 운용법 자체가 부족한 전차를 몰아서 한곳에 배치하여 상대 전차의 숫자를 맞춰서 상대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T-34 수십대가 티거2 1대를 상대로 몰려오는 경우는 전혀 없었고 있다면 T-34 한두대 잡고 티거2가 터지는 게 정상이다. 비록 교전 거리까지 가기 전에 티거 2 전차포에 최소 10대는 터지겠지만. 물론 전쟁 말기에 베를린 전투에서 티거 2대가 각각 T-34를 30여대씩 잡고 리타이어하거나 티거2 5대가 몰려오는 소련군을 상대로 엘베강으로 가는 길을 며칠간 수비한 사례가 있긴 하지만 대체적인 통계를 보면 결과적으로 10:1 수준의 전투 교전비는 리버 6마리가 한 부대씩 몰려오는 히드라를 한 5번 정도 막아서 나온 교전비라고 보면 되며 물론 히드라의 본진테러를 막으려다가 퍼지고 스캐럽 만들 돈도 없어서 전쟁에서 T-34에 발린 것도 동일하다.] * 알렉산드르 페고프 - 소련의 전차 에이스. [[T-70]] 경전차의 전차장으로 1량의 T-70으로 '''한 전투에서''' 독일군의 '''[[5호 전차 판터]]'''를 피해 없이 2량이나 격파했던, 상술한 오스킨과 더블어 전무후무한 전차 에이스다. 전투 직후, 그는 판터 전차들의 잔해를 방패삼아 무사히 후퇴하는데 성공하여 소비에트 연방 영웅 훈장과 중위로 초고속 진급하였다. * [[알렉세이 프로실랴코프]] - 소련군 공병원수 * [[유리 가가린]] - '''세계 최초의 [[우주인]]'''. * [[지그문트 옌]] - [[독일]] ([[동독]]) 최초의 [[우주인]] * [[게오르기 이바노프]] - [[불가리아]] 최초의 [[우주인]] * [[조야 코스모데미얀스카야]] - 영웅적으로 죽은 파르티잔으로 사후 추서되었다. 독소전쟁 기간 최초 여성 수훈자. * [[콘스탄틴 베르시닌]] - 소련군 항공상원수. * [[판필로프의 28인|이반 판필로프]] - 소련군 제28보병사단장. [[모스크바 공방전]]에서 영웅적인 전투를 수행하여 수훈받았으나 최근 연구에 따르면 그 진실성이 의심받고 있다. * [[표도르 톨부힌]] - 소련군 원수(사후 추서). * [[표도르 루드스코이]] - 소련군 전차장, 민스크 수보로프 군사학교장 * [[표트르 이바슈틴]] - 소련군 대장. [[GRU|총참모부 정보국]]에서 무려 24년이나 복무한 정보국장이다. * [[표트르 라셴코]] - 소련군 대장. * [[표트르 루셰프]] - 소련군 대장. * [[표트르 베레스토프]] - 소련군 소장. * [[필리프 옥탸브리스키]] - 소련 해군의 군인. * [[발렌티나 그리조두보바]] - [[마리나 라스코바]]의 동료로 공군 조종사로 대조국전쟁에서 크게 공을 세웠다. 1938년에 여성 최초로 수훈받았다. 최종 계급도 [[대령]]. * [[마리나 라스코바]] - 1938년에 수훈한 여성 조종사. * [[안드레이 게트만]] - 소련의 군인 * [[안드레이 기리치]] -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소련 공군]]의 [[에이스 파일럿]] (17기 격추) * [[미트로판 네델린]] - 소련 전략로켓군 초대 사령관 * [[스테판 크라솝스키]] - 소련군 항공원수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