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소련/국기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소련 구성국 국기 == ||<tablebordercolor=#1f2023><tablealign=center><tablewidth=800><tablebgcolor=#ffffff,#1f2023><bgcolor=#cd0000><-5> {{{#ffd700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구성국 국기'''}}}[* 1988년 기준. 발트 3국은 낫과 망치의 깃발을 80년대 후반에 제거해 버리고 병합되기 전 옛 공화국의 국기로 재빠르게 바꾸었으며 다른 구성국들보다 발 빠르게 소련에서 탈퇴했다. 조지아도 1990년에 소련에서 독립 선언을 하면서 발트 3국과 조지아는 [[주권국가연맹]], 소련 존속투표에도 참여하지 않았다.] || ||<width=20%> [[파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54-1991).svg|width=100%]] ||<width=20%> [[파일: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width=100%]] ||<width=20%> [[파일: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width=100%]] ||<width=20%> [[파일: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52-1991).svg|width=100%]] ||<width=20%> [[파일:카자흐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width=100%]] || ||<bgcolor=#cd0000> [[러시아 SFSR|{{{#ffd700 '''러시아[br]SFSR'''}}}]] ||<bgcolor=#cd0000> [[우크라이나 SSR|{{{#ffd700 '''우크라이나[br]SSR'''}}}]] ||<bgcolor=#cd0000> [[벨로루시 SSR|{{{#ffd700 '''벨로루시[br]SSR'''}}}]] ||<bgcolor=#cd0000> [[우즈베크 SSR|{{{#ffd700 '''우즈베크[br]SSR'''}}}]] ||<bgcolor=#cd0000> [[카자흐 SSR|{{{#ffd700 '''카자흐[br]SSR'''}}}]] || || [[파일:그루지야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51-1990).svg|width=100%]] || [[파일:아제르바이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52-1991).svg|width=100%]] || [[파일: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53-1988).svg|width=100%]] || [[파일:몰도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52-1990).svg|width=100%]] || [[파일: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53-1990).svg|width=100%]] || ||<bgcolor=#cd0000> [[그루지야 SSR|{{{#ffd700 '''그루지야[br]SSR'''}}}]] ||<bgcolor=#cd0000> [[아제르바이잔 SSR|{{{#ffd700 '''아제르바이잔[br]SSR'''}}}]] ||<bgcolor=#cd0000> [[리투아니아 SSR|{{{#ffd700 '''리투아니아[br]SSR'''}}}]] ||<bgcolor=#cd0000> [[몰도바 SSR|{{{#ffd700 '''몰도바[br]SSR'''}}}]] ||<bgcolor=#cd0000> [[라트비아 SSR|{{{#ffd700 '''라트비아[br]SSR'''}}}]] || || [[파일: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width=100%]] || [[파일:타지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width=100%]] || [[파일:아르메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52-1990).svg|width=100%]] || [[파일:투르크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73-1991).svg|width=100%]] || [[파일:에스토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53-1990).svg|width=100%]] || ||<bgcolor=#cd0000> [[키르기스 SSR|{{{#ffd700 '''키르기스[br]SSR'''}}}]] ||<bgcolor=#cd0000> [[타지크 SSR|{{{#ffd700 '''타지크[br]SSR'''}}}]] ||<bgcolor=#cd0000> [[아르메니아 SSR|{{{#ffd700 '''아르메니아[br]SSR'''}}}]] ||<bgcolor=#cd0000> [[투르크멘 SSR|{{{#ffd700 '''투르크멘[br]SSR'''}}}]] ||<bgcolor=#cd0000> [[에스토니아 SSR|{{{#ffd700 '''에스토니아[br]SSR'''}}}]] || 초창기 소련을 구성하는 공화국들의 국기는 국기 위에 공화국 국명을 쓴 단순한 디자인이었지만 1945년 [[유엔]]에 가입하면서 어느 정도 가맹국의 국기를 제정할 필요를 느꼈고 1947년 1월 20일 "연방 공화국 국기에 관한 칙령"을 발표하여 어느 정도 차별화를 둘 것을 제안했다. 이에 각 공화국들은 1949년부터 1954년까지 소련 국기를 바탕으로 지역 공화국의 디자인을 제작했다. 연방 구성국 이외에도 자치공화국이나 자치구도 국기를 제정할 수 있었으나 실질적으로는 각 자치지역이 소속된 국가의 깃발 양식을 따르는 경우가 많았다.[* [[https://ru.wikipedia.org/wiki/Флаг_Башкирской_АССР#/media/Файл:Flag_of_the_Bashkir_ASSR.svg|예시(바시키르 자치공화국)]]] [[소련 붕괴]] 후에도 소련 시절 제정된 공화국 국기는 독립국에서 새 국기가 제정되기 전까지 사용된 이력이 있다. 대표적인 예로 우즈베키스탄을 제외한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소련으로부터 독립 직후 새 국기가 제정되기 전까지 소련 시절 깃발을 사용했던 적이 있었으며 오늘날 [[친러]] 정권이 집권하고 있는 [[벨라루스]][* 1991년 독립 이후부터 1995년까지는 [[벨라루스 인민 공화국]]의 백적백 삼색기를 사용했다가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집권 후 바꾸었다. 백적백 삼색기는 현재 벨라루스 반정부 진영의 상징으로도 활용되고 있다.]와 [[미승인국]]인 [[트란스니스트리아]][* 몰도바 SSR에서 분리된(트란스니스트리아 몰도바 SSR) 몰도바의 독립이 가까워졌을 때 러시아계 주민들이 몰도바로의 귀속을 거부해서 트란스니스트리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선포한뒤 현재의 미승인국 트란스니스트리아가 된 것이다.]에서는 소련 시절 도안을 승계하여 사용하고 있다. [[우즈베키스탄]]의 국기도 사실 소련 시절 국기에서 낫과 망치를 초승달로 바꾸고 색깔만 다르게 칠한 것이라는 말이 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