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소련/교육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교복 == 10월 혁명 이후, 혁명 정부는 [[교복]]을 차르 시대의 유물로 간주해 없애 버렸다. 경제적으로도 교복이 부담스러운 재화였기 때문에 사복을 입는 게 더 경제적이고 편리했다. 그래서 소련 초기에 학생들이 입는 교복이라 할만한 것은 [[피오네르]] 제복 뿐이었다. 그러다 스탈린 정권 중반기 이후부터 교복 재도입을 논의해 1935년에 교복 제도의 부활을 선언하지만, 실질적으로는 1940년에 공장 부설 학교와 직업 학교에 교복을 재도입한 게 고작이었다. 그리고 [[제2차 세계 대전]] 승전 직후에도 교복은 직업 학교나 기술 학교에서만 착용하는 것이었고, 일반계 학교에서는 교복을 착용하지 않았다. 1947년, 연방 정부는 교복을 전면 도입했다. 남학생 교복은 [[군복]]과 유사하고, 여학생 교복은 제정 시기의 여학생 교복을 모방한 형태였다. 서방 세계에서는 소련의 여학생 교복이 서방의 [[메이드복|하녀복]]과 유사한 형태여서 매우 기이하게 생각했지만, 소련에서는 전혀 하녀복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소련의 여학생 교복은 귀족 여성들의 일상복과 간호사들의 복장을 혼합한 러시아 제국의 여학생 교복을 계승한 것이었다. 교복 재도입 당시에는 아직 소련 일반인들의 경제력이 충분히 올라오기 이전이었기 때문에 한 동안 학생들은 교복을 멋진 옷으로 취급했다. 1962년, 사회적 통제 완화와 교육 개혁의 일환으로서 남학생 교복을 군복에서 [[정장]]의 형태로 교체하고 두발 규정도 완화했다. 여학생 교복은 큰 변화가 없었으나, 62년의 조치 이후에 여학생 교복에도 정장 형식의 교복을 추가하고 고등학생들을 위한 전용 교복도 별도로 제작했다. 연방 공화국 교육부들은 교복 디자인을 정할 수 있는 재량권이 있어서 소련은 지역 별로 교복 다자인이 조금씩 달랐다. 사복 착용은 금지했지만, 여타 연방 공화국의 교복을 공수해서 입는 것은 허용되어 있어서 당대 소련의 청소년들은 타 지역의 교복을 공수해서 개성을 뽐내었으며 [[동구권]] 국가들의 교복도 세련된 것으로 취급받았다. 또한 학생들이 교복을 조금씩 개조하는 일도 있었다. 다만, 교복의 실용성에 대해서는 당대에도 말이 많았다. 무상 교육 제도를 운영했지만, 학용품과 가방, 교복은 각 가정에서 구매해야 하는데다 교복의 가격은 80년대 기준으로 1벌에 평균 20 루블 내외로 당대 직장인 월급의 10 ~ 15% 정도였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에 보조금을 제공했기 때문에 교복을 구매하는 게 아주 부담스러운 일은 아니었지만, 가볍게 여길 수준은 아니었다. 게다가 여학생 교복은 모직물로 만들어진 데다 치마를 짧게 디자인해서 여름에는 덥고 겨울에는 추운 지경이었다. 그래서 여학생들이 교복의 재질에 많은 불만을 제기하고 디자인에 대한 불만도 상당한 편이어서 교복 디자인의 변경이 이뤄지지 않는 곳에서는 학생들이 교복을 죄수복이나 작업복으로 부르면서 자조하기도 했다. 특히나 1962년형 교복의 디자인은 그리 평가가 좋지 못해서 문제를 인식한 연방 정부에서 73년, 80년대 후반에 차례 차례 디자인 개편을 시행했다. 세계 최대의 영토를 자랑한 소련답게 나라가 너무 커서 교복 보급은 단번에 이뤄질 수가 없었다. 그래서 물자 공급이 느린 내륙과 오지, 농촌 지역에서는 한동안 교복 착용이 선택 사항이었고 전국적으로 동일한 교복을 입게 된 것은 1954년이 되어서부터였다. 말기에는 중학교 교복과 고등학교 교복의 스타일을 달리하는 방식의 개량이 이루어졌다. 1991년 9월자로 [[모스크바]]나 [[발트 3국]] 등 상당수 지역의 학교에서 교복 의무 착용 규정이 없어지고 사복 착용을 허용했다. [[소련 붕괴]] 후 [[러시아 연방]]에서는 교육 예산이 부족한 데다 [[초인플레이션]]으로 인해 교복 업체들이 파산하는 일이 터져서 교복 자체가 희소한 재화가 되었다. 대다수 가정의 경제 상황이 교복값을 댈 수 없을 정도로 나빠졌기 때문에 1992년 9월 신학기부터는 교복 착용을 의무화한 지역의 학교에서도 사복 착용을 허용했다. 사복이 대세가 되자, 1994년부터 교복 착용 여부는 학교장의 재량을 따르도록 명문화하고 공립 학교의 교복 의무 착용 규정은 법적으로 완전히 폐지했다. [* 소련이 해체되고 나서 물가 폭등으로 교복과 문방구 가격이 같이 폭등하는데 예금이 죄다 휴지 조각이 되고 국가 경제도 나빠지니 교복을 구매하지 못하는 가정이 급속히 늘어난 것.] 2000년대부터 사립 학교를 중심으로 교복의 재도입이 이뤄지기 시작하다가 2014년에 [[블라디미르 푸틴|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교복 제도의 부활을 지시함에 따라 2015년부터 상당수의 공립 학교에서 교복을 재도입했다. 다만, 교복 도입은 의무가 아니라서 소위 '교복 학교'와 '사복 학교'가 공존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초등학생들이 사복을 입고 중 · 고등학생들이 교복을 입는 반면, 러시아는 정반대로 초등학생들이 교복을 입고 중 · 고등학생들이 사복을 입는 경우가 많다. CIS 소속 국가들은 제각기 사정이 달라서 [[투르크메니스탄]] · 카자흐스탄 · 아제르바이잔처럼 교복 제도를 시행하기도 하고, 발트 3국과 아르메니아, 조지아처럼 사복을 허용한 국가들도 있다. 우크라이나는 소련 붕괴 후에 사복을 허용하다 96년에 교복을 부활시켰는데, 2019년에 다시 교복 의무화 제도를 폐지했다. 우즈베키스탄은 사복을 허용했다 2017년에 교복을 제도입했으며 벨라루스도 1992년에 대부분의 학교에서 교복을 폐지했다가 2023년을 기점으로 교복을 재도입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