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소련인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비러시아인 민족 대우 == 소련을 건국한 [[블라디미르 레닌]]은 평소 [[러시아 제국]]의 러시아 우월주의에 대해 적대적이었고 [[러시아어]]를 공용어로 삼는 것을 반대할 만큼 적어도 건국 초창기에는 민족자결노선을 지지했다. 이에 따라 건국 초창기 소련 전역에서는 [[러시아인]]이 아닌 [[민족]]에게 현지화(коренизация, 코레니자치야)를 통해 민족어 교육이나 민족문화 육성을 장려하는 한편 장차 [[사회주의]] 건설에 동원하기 위해 학자들을 중심으로 [[문맹]] 타파를 목적으로 한 문맹퇴치운동(ликбез)을 벌여 소련 내 민족들에게 [[라틴 문자]]를 보급했다. 이러한 노력의 결실로 소련 내 문해율은 1913년 27%에서 [[1939년]] 90%에 가까울 정도로 큰 성과를 보였는데 다른 식민제국들과 비교하면 [[프랑스]]와 [[포르투갈]] 식민지들은 [[20세기]] 중반까지도 [[식민지]] 인구 절대다수가 문맹이었다. [[소련 붕괴]] 이후 독립한 [[중앙아시아]] 5개국과 [[영국]], 프랑스 식민 지배를 겪었던 [[아랍]] 국가들의 [[문맹률]]이나 고등교육 이수율 같은 요소를 비교할 수 있다. 소련은 광대한 [[영토]]에 수백여 가지 민족이 공존하던 [[다민족국가]]였고 이런 [[국가]]에서 문맹을 퇴치한 성과는 크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1924년]] 집권한 [[이오시프 스탈린]]은 원래 러시아인이 아니라 [[소수민족]]인 [[조지아인]]임에도, 레닌으로부터 소수민족 문제에 있어 '''대러시아 민족주의자'''라는 평을 들을 만큼 러시아 패권주의적인 성향을 보유하고 있었다. 스탈린은 [[1930년대]] 들어 현지화 정책을 루스화(русификация, russification) 정책으로 수정하기 시작했다. 연방 내 공화국과 자치주들에서 [[민족주의]] 성향 엘리트를 숙청하는 한편 소련 중앙정부의 시각에서 볼 때 적대적인 민족은 가차없이 제거되거나 강제이주되었다. 레닌 시기 집행됐던 소수민족 언어의 라틴 문자 보급 정책도 폐기되어 키릴 문자로 대체되었다. 특히 [[스탈린]]의 농업집산화 정책 추진 시대에는 소련 각지에서 엄청난 인명피해와 [[기근]]이 반복되었는데 러시아인 중에서도 희생자가 많았지만 비러시아인 인구 손실은 그보다 더 큰 경우가 많았다. 그 중에서도 특히 [[1932년]]부터 33년 사이 농업집산화에 반대하던 [[우크라이나]]와 [[카자흐스탄]] 일대에 대기근이 유명하다. 자세한 내용은 [[우크라이나 대기근]] 문서 참조. 비슷한 사례로 1921~22년 [[볼가 강]] 하류 일대의 식량 배급을 끊어서 [[타타르인]]과 [[독일계 러시아인]] 인구 수십만여 명이 기아로 사망했던 역사 역시 소수민족에 대한 탄압 정책으로 해석 가능하다. 스탈린의 비러시아계 인구 탄압은 [[1930년대]]와 [[1940년대]]에 들어 절정을 이뤘는데 당시 소련 전역에서는 [[고려인]]을 비롯해서 [[폴란드인]], [[에스토니아인]], [[라트비아인]], [[리투아니아인]], [[볼가 독일인]], [[칼미크인]], [[체첸인]], [[인구시인]], [[크림 타타르인]] 등이 원래 살던 곳을 떠나 중앙아시아나 [[시베리아]]같은 오지로 이주당했다. 이는 원래 인구밀도가 낮은 지역에 노동력을 투입시켜 개발하는 한편 이주 과정에서 현지 인구를 러시아인으로 대체하고 독립이나 [[분리주의]]를 뿌리뽑으려는 의도였다. 스탈린 집권 시기부터는 서서히 소수민족 언어에 클레임이 들어오더니[* 가령 [[로마자]]를 쓰는 언어의 표기를 [[키릴 문자]]로 바꾸거나 성을 본래 쓰지 않는 지역에 성을 쓰게 한다든지.] 러시아어가 강제되어서 레닌 시절과는 다르게 자신들의 언어를 배울 기회가 크게 줄었다. 문맹이 줄었지만 러시아어 사용자만 늘고 자국어 구사자는 줄어들었는데 이는 현재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같은 일부 구 소련 구성국에서 언어 교정 및 민족언어 회복에 장애가 되고 있다. 특히 타 공화국으로 이주한 러시아인들은 러시아어가 사실상 전국 단위 공용어였기 때문에 현지어에 서툴러도 일하거나 의사소통하는 데 별 다른 지장이 없었다. 따라서 러시아인들은 현지어 공부에 열성적이지 않아 현지어 구사능력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소련 당대에야 소련이 붕괴될 것이라는 생각을 못 했으니 별 생각이 없었겠지만 [[소련 붕괴]] 후에 이것이 상당한 골칫덩어리가 되었고 특히 [[라트비아]]와 [[에스토니아]]에서 자국어 시험에 합격을 못 하면 아예 시민권을 주지 않는 정책을 폈기 때문에 많은 수의 러시아인들이 [[무국적자]]가 되면서 사회불안 요소가 되기도 했다. 스탈린 사후 소련 후기에는 [[인종차별]]은 공식적으로 존재하지 않았지만 비공식적으로는 비러시아인들에게는 [[유리 천장]]과 비슷한 사회적 제약이 존재했다. 가령 [[유대인]]들은 [[이스라엘]] 건국 이후 국외 이민을 우려해 특히 공공기관이나 연구소, 교육기관에서 고위직으로 진급하는데 제약이 있었다. 정치적으로 핵심보직이나 군에서 [[전략미사일군]]이나 [[원자력 잠수함]]같은 주요 보직에는 러시아인들을 비롯한 슬라브인 출신들이 우선적으로 배치된다든지, 과거 강제이주 당한 민족은 거주 이전[* 소련은 원칙적으로 토지나 주택이 국가 소유였기 때문에 한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이주하려면 반드시 관청의 거주 이전 허락을 얻어야 했다.]에 불이익이 있다던지 하는 보이지 않은 영역에서 은근한 차별이 많이 있었다. 특히 소련 시민이라면 의무적으로 발급되는 [[러시아 국내여권|시민여권]][* 한국의 주민등록증에 해당한다.]에는 민족명이 기재되었고 모든 소련인은 이를 바탕으로 공적으로든 사적으로든 좋든 싫든 출신민족을 의식할 일이 많았다. 소련인들은 이 항목을 일컬어 "제5항(пятая графа)"[[https://ru.wikipedia.org/wiki/%D0%9F%D1%8F%D1%82%D0%B0%D1%8F_%D0%B3%D1%80%D0%B0%D1%84%D0%B0|#]]라고 불렀고 이런 현상은 소련이 무너진 후 [[러시아]]에도 어느 정도 남아 있다.[* 현 러시아의 국방장관인 [[세르게이 쇼이구]](투바+슬라브 혼혈) 같은 경우는 푸틴과의 친분 때문에 승진한 것이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