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소련 붕괴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소련 개혁을 끝까지 반대한 공산당 보수파의 독립 결정 ==== 우크라이나의 여론이 극단적으로 바뀐 주요 원인은 공산당 보수파가 고르바초프와 옐친의 민주적 개혁을 극단적으로 반대했기 때문이다. 우크라이나 공산당 보수파에겐 '''공산당이 해체된 소련을 유지할 바에는 차라리 우크라이나를 독립시킨다(소련을 해체한다.)'''는 의도였던 것이다. >다른 소비에트 공화국에서 민족주의 세력의 행동으로 비슷한 사건이 발생했다면, '''우크라이나에서는 고르바초프와 이후 옐친의 개혁으로부터 분리하려는 공산주의 보수 세력의 욕구가 결정적인 요인이었다'''. 민족주의 세력과의 동맹은 압도적인 독립 찬성이라는 국민투표 결과를 가능하게 했다. '''1991년 12월 1일의 즉각적인 결과는 주로 소련 붕괴와 수많은 민족적 긴장으로 이어져 경제 불안정으로까지 이어졌다.''' >{{{#!folding [ 원문 펼치기 · 접기 ] If other Soviet republics reached similar events through the actions of nationalist forces, in Ukraine the decisive factor was the communist conservative circles’ desire to separate themselves from Gorbachev’s and later on from Yeltsin’s reforms. The alliance with the nationalist forces made possible the referendum result which was overwhelmingly for independence. The immediate consequences of the act of 1 December 1991 were, primarily, the Soviet Union collapse, followed by numerous ethnic tensions that have even led to economic destabilization.}}} >---- >Laura Blaj, "[[https://www.tandfonline.com/doi/full/10.1080/0965156X.2013.841797|Ukraine’s Independence and Its Geostrategic Impact in Eastern Europe]]", [[https://www.tandfonline.com/journals/cdeb20/about-this-journal#editorial-board|Debatte: Journal of Contemporary Central and Eastern Europe]], Volume 21, 2013 - Issue 2-3, Abstract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