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소련 붕괴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소련 부활? === >'''[[소련]]을 그리워하지 않는 사람은 마음이 없는 사람이다. 그러나 [[반공주의|소련을 재건하려는 사람은 머리가 없는 사람이다.]]''' >---- >'''[[블라디미르 푸틴]]''' 소련은 냉전 시절 [[미국]]과 함께 세계를 주물렀던 [[초강대국]]이었기에 [[대체역사]]에서는 소련 부활에 관련된 주제가 자주 언급되는 편이다. 해당 문단은 만약 소련이 [[러시아]]를 중심으로 나머지 14개 혹은 대다수의 국가들을 합치는 방식으로 어떻게든 유지되던가, 부활하게 된다면 어떤 일이 일어나고 부활한 소련은 어느 정도의 국력을 가지고 있을지 서술한다. 러시아는 아직 단 한번도 [[정권교체]]가 이루어진 적이 없으나, [[소련 공산당]]을 계승하는 제1야당인 [[러시아 연방 공산당]]이 존재한다. 과거에는 당수인 [[겐나디 주가노프]]를 중심으로 총선에서 원내 1당을 차지하고 대선에서도 [[보리스 옐친]]을 상대로 [[결선투표]]까지 갈 정도로 선전했던 정당이였으나, 현재의 러시아 공산당은 차르와 다름없는 푸틴의 존재로 인하여 집권 가능성이 제로에 가깝다. 그러나 이들이 만약 어떻게든 정권을 획득하는데 성공한다면 소련이 부활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다. 만약 소련이 다시 건국되게 된다면 대부분의 땅이 쓸 수 없는 동토지나 불모지이지만 '''[[캐나다]], [[인도]], [[중국]]을 합친 것보다도 크며''' 누구도 넘볼 수 없는 '''거대한 국토를 가진 세계 1위 영토 대국이 만들어진다.''' 소련의 국토는 무려 22,402,200km²에 달했고 만약 21세기에 이런 규모의 영토를 가진다면 무시하지 못할 정도의 지정학적 우세를 점하게 될 것이다. 인구 쪽으로 보면 2018년 기준으로 2억 9,600만 명 정도의 인민들을 거느리게 되며, 인도, [[중국]], 미국의 뒤를 잇는 '''세계 4위 인구 대국'''이 된다. 다만 [[동유럽]] 국가들의 인구가 경제 저성장과 불황으로 인해 많이 줄어든 편이라서 1991년과 비교하면 겨우 300만 명밖에 증가하지 않은 수치이며, 또한 전체 인구의 64%가 [[유럽]] 부분에 몰려 살게 된다.[* [[조지아]], [[아제르바이잔]], [[아르메니아]]는 제외한다.] 가장 많은 민족은 41%의 [[러시아인]], 다음이 14%의 [[우크라이나인]], 9%의 우즈베키스탄인과 카자흐스탄인 4%, 그리고 나머지 민족으로 구성된다. 수도는 그때나 지금이나 똑같이 러시아의 수도 [[모스크바]]가 될 가능성이 크다. 소련 시절 내내 수도였다는 점에서 정통성이 워낙 압도적이고 경제, 사회, 문화의 실질적인 중심지이기까지 하니 당연히 모스크바가 새로운 수도로 가장 유력하다. 게다가 부활한 소련에서 약 1,900만 명의 인구를 자랑하는[* 교외 지역 포함. 시가지 부분만 셈하면 1,200만 명 정도다.] 소련 제1의 도시이니 수도가 아니라면 그게 더 이상할 정도다. 참고로 부활한 소련 체제 하에서는 모스크바, [[상트페테르부르크]], [[키이우]], [[타슈켄트]], [[바쿠]] 순서대로 도시 규모가 커지게 된다. 경제는 전성기에 비하면 여전히 좋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소련 시절에도 경제가 그렇게 좋았던 것은 아니었고[* 상술했듯이 1983년 이후 소련의 경제력은 감소 추세에 있었다.] 소련 붕괴 후 구성국들 상당수는 1990년대 혹독한 불황과 사회적 혼란을 겪었다가 1990년대 후반부터 경제 성장을 기록했다. 1989년 소련 붕괴 직전 소련의 GDP는 '''세계 8위'''인 약 8,000억 달러였다. 이것은 동년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와 비슷한 수준이다. 따라서 2018년 기준으로 부활할 소련의 경제 규모는 영국, 인도, [[브라질]]에는 못 미치지만 그래도 2조 1,793억 달러를 기록하여 1989년에 비해 2.8배 증가한 '''세계 9위 경제 대국'''이 되었을 것이다. 1인당 명목 GDP는 1990년보다 더 늘었다. 1990년 소련의 1인당 GDP는 2,748달러인데 2018년 부활한 소련의 '''1인당 GDP는 약 7,363달러'''다. 인플레이션을 계산해도 분명히 1990년보다 증가하긴 했지만[* 1990년부터 2018년까지 달러의 누적 인플레이션은 92.1%이다. 1990년 2,748달러는 2018년 5,279달러에 달하니 분명히 실질적으로도 늘긴 늘었다. 하지만 소련의 경제력이 정점을 찍은 1983년에 비하면 실질적으로는 줄었다.] 이것은 세계적으로 보면 [[몬테네그로]]보다는 가난하고 [[리비아]]보다는 조금 더 나아서 1인당 GDP 순위는 '''77위'''밖에 안 된다. 게다가 구성국들 사이의 빈부 격차도 엄청나다. 선진국에 해당하는 [[에스토니아]]는 평균 임금이 약 957유로, [[라트비아]]는 738유로, [[리투아니아]]는 690유로 정도 되지만, 빈곤한 [[벨라루스]]는 평균 임금이 357유로, [[몰도바]]는 212유로, 가장 가난한 [[우크라이나]]는 고작 210유로밖에 안 된다. 군사적인 측면을 보자면 부활 시 소련은 상비군 규모로만 따지면 약 140만~160만 명 정도로 220만 군대를 지닌 중국의 뒤를 잇는 세계 2위 규모의 군대를 가진다. 국제 정치 지형도 지금과 비슷하게 미국 vs 중국-소련의 형태로 가거나 혹은 미국 vs 중국 vs 소련의 [[천하삼분지계]]로 [[삼국지|재편될 수도 있다.]] 소련 부활은 예측하기도 어려울 정도로 엄청난 사건이 될 것이기에 부활한 소련이 어느 정도의 위상을 가질지, 그리고 국력은 어느 정도일지는 전혀 예측하기 어렵지만, 일단 [[냉전]] 시절에 떨쳤던 국력 수준이 아님은 자명하다. 갑자기 기적같이 소련이 부활한다 해도 옛 시절처럼 세계의 초강대국 행세를 하고 다니기란 불가능할 것이다. 다만 중국과 소련이 별다른 마찰 없이 [[제2세계]] 국가로서 서로 긴밀한 동맹 관계를 유지하기로 결정한다면, 미국 또한 현재와 같은 강력한 패권을 행사하기는 힘들어질 것이다. 단 소련이 21세기에 부활한다 할지라도 일단 소련은 1990년대보다 두 가지 점에서 크게 불리하다. 1인당 GDP는 이미 러시아가 뭔 짓을 해도 미국을 따라가기 힘들 정도로 격차가 벌어졌으며. 산업 분야도 미국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압도적으로 앞서나가는 와중에 러시아는 대개 [[석유]]나 [[석탄]] 같은 자원중심 경제에 머무르고 있다. [[항공우주]] 등 일부 분야에선 러시아가 구 소련 시절 쌓은 것을 바탕으로 뛰어나다고는 하지만 이마저도 미국을 따라잡지는 못하기에 소련은 미국에게 냉전 시절만큼 무서운 존재가 되지 못한다. 둘째, 바로 '''동유럽 [[위성국|위성국가]]들의 부재다.''' 냉전 시절에는 [[폴란드 인민공화국|폴란드]], [[동독]], [[헝가리 인민공화국|헝가리]],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체코슬로바키아]],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루마니아]], [[불가리아 인민공화국|불가리아]] 등 여러 공산주의 위성국들이 동유럽에 버티면서 서구 세계에 대한 든든한 방파제가 되어주었다. 그러나 탈냉전 이후에 폴란드, 체코, 헝가리, 루마니아, 불가리아 등 소련의 옛 앞마당이었던 국가들이 모조리 [[나토]]에 들어가 미국이나 영국, 프랑스, 독일, 네덜란드 등 서방 국가들의 동맹이나 다름없게 되어 버렸다. 심지어 해당 국가들은 소련 시절을 [[강점기]] [[흑역사]]로 여기고 소련을 매우 싫어하는 편에 속하니 이전처럼 동유럽 국가들을 수족처럼 부리는 건 포기해야 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오히려 해당 국가들이 소련 부활에 반발하여 단체로 군사적 침략을 하거나 국제적 제제를 가하지나 않으면 다행일 수준이다. 그도 그럴 게 한국인들 입장으로 이해가 쉽게 비유해보면 '''[[일본 제국]]'''이 다시 부활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인근국들이 화가 나지 않을 수가 없는 것.] 그리고 소련과 러시아에 대한 반감이 엄청난 [[발트 3국]]이 이미 소련에서 탈퇴한 지 얼마 되지 않아 나토에 가입해 버렸기 때문이다. 발트 3국을 병합하려면 [[제3차 세계대전|나토, 그리고 그 뒤에 있는 미국과 전쟁을 벌여야만 한다.]] 게다가 중앙아시아의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등도 친러 성향을 보이기는 하지만 묘하게 독자행보를 보이는 경우가 많고, 그래서 소련이 부활한다 해도 러시아+우크라이나+벨라루스 정도가 합쳐지는 건데 이미 전쟁으로 인해 반러 그 자체가 되어버린 우크라이나 정부가 내부분열로 친러 정권으로 바뀌지 않는 한 러시아와 통합을 선언하는 일은 없을 테니 소련이 다시 세상에 등장하는 일은 없을 거라 봐도 무방하다.[* 참고로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우크라이나]]는 소련 구성국들 가운데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러시아]]의 뒤를 잇는 2인자 격의 나라였다. 즉 우크라이나를 제외한 소련 부활은 큰 의미가 없다는 뜻이다.] 이렇게 된 근본적인 원인은 '''러시아의 [[패권주의]]적 외교'''에 있다. 2022년 러시아에 침략당한 우크라이나만 해도 처음부터 러시아에 적대적이었던 것도 아니고 쿠치마 재임기 열병식에 [[블라디미르 푸틴]]이 참석할 만큼 초창기에는 우호적이었다. 원래부터 반러 기조가 강했던 발트 3국과 소련 해체 이후 먼 나라가 되어버린 몰도바를 제외하면[* 몰도바는 [[몰다비아]]의 일부분이었던 곳이라 루마니아와 동질감이 매우 강했다.] 다들 러시아와 인접해 있는 만큼 정치적, 경제적으로 러시아와 마냥 척을 질 수 없었고 이런 지정학적 요건을 활용해 우호적인 관계를 구축하는 것도 가능했다. 그런데 옛 연방의 일원들을 독립국가로 존중하는 대신 [[속국]] 내지는 아예 국가도 아닌 [[소비에트 공화국]], [[속령]]으로 취급하며 내정 간섭을 하고 영토 분쟁을 부추겨대니 살기 위해서라도 러시아에 맞서게 된 것이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