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소련 붕괴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유지 가능성 === 소련이 정치적, 경제적으로 위기에 빠진 1990년 당시 소련이 해체될 것이라고 예상했던 사람들은 많지 않았다. 당시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아제르바이잔]], [[벨라루스]] 같이 소련 창설기부터 소련에 소속되어 있던 공화국들은 소련 체제를 유지하는 데 찬성했으며 [[발트 3국]]이나 [[조지아]], [[몰도바]] 같은 지역에서 분리주의 열기가 강했다. 따라서 1991년 전까지만 해도 소련은 국가적으로 심각한 위기를 겪고 있었지만 완전히 분해되어 사라질 것이라고 예상했던 사람은 많지 않았다. '''역사에서 소련이 유지될 수 있었던 마지막 기회는 [[미하일 고르바초프]] 소련 대통령의 마지막 승부수였던 [[주권국가연맹]]이었다.''' 당시 소련 대통령이었던 고르바초프는 1990년부터 1991년까지 연방 내 구성국들과 연방정부의 정치적 갈등을 조율하면서 연방 내 공화국들에게 자치권 확대를 약속하면서 기존의 소련 체제를 유지하는 타협안을 제시했다. 이에 연방 구성국들은 고르바초프의 제안에 동의하면서 1922년 체결된 소련 창설조약을 대체하는 [[주권국가연맹]] 조약을 준비하고 있었다. 비록 조약 준비 당시 [[발트 3국]]과 [[몰도바]], [[아르메니아]], [[조지아]]는 소련에서 탈퇴했지만 그럼에도 나머지 9개 구성국들은 [[소련 존속에 관한 전연방 국민투표|1991년 소련 존속 투표]]의 결과처럼 연방 잔류 의사를 표시했다. 당시 러시아 공화국 대통령이었던 [[보리스 옐친]]과 주요 공화국 지도자들은 고르바초프의 제안에 호의적이었고 주권국가연맹 창설조약은 8월 20일 예정되어 있었다. 하지만 1991년 8월 19일 소련 정부 내 주요 공직자들은 주권국가연맹조약 서명계획을 입수하고 군을 동원하여 고르바초프를 실각시키고 기존 체제를 고수하고자 했다. 그러나 당시 시대의 흐름을 읽지 못했던 쿠데타 세력은 소련 전역에서 예상보다 격렬한 저항에 맞닥뜨렸다. 결국 [[8월 쿠데타]]는 3일만에 실패했다. '''[[8월 쿠데타]]는 소련이 국가로써 유지될 수 있었던 마지막 가능성을 완전히 일소시켰다.''' 공화국들은 텔레비전으로 생중계된 쿠데타 과정을 통해 소련 공산당을 위시한 기득권 세력이 공화국들과 더 이상 타협할 의지가 없다는 사실을 확인한 후 더 이상 소련에 남아있을 이유가 없다고 판단했다. 실제로 8월 쿠데타 이후 12월 초까지 우크라이나를 비롯해 8개국이 주권선언문을 채택하고, 공화국 법률을 개정했다. 8월 쿠테타 직후 소련 구성국 지도자들은 기존에 비준하려고 했던 [[주권국가연맹]]을 좀 더 [[유럽연합]]이나 [[영연방]]과 비슷한 [[독립국가연합]] 체제로 개편하는데 동의했다. 과거 [[대영제국]]이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탈식민화]]를 거치면서 [[영연방]]으로 개편되었듯이 역사를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서 소련은 [[독립국가연합]]이나 [[유라시아 연합]] 같은 국제기구로 개편되었다고도 할 수 있다. 실제 소련을 [[소비에트 제국|식민제국]]으로 바라보는 관점에서는 소련 해체를 20세기 마지막 [[식민제국]]의 해체로 바라보기도 한다. 오늘날 [[친소]], [[친러]]적인 시각에서는 [[8월 쿠데타]]가 성공했다면 소련이 유지될 수도 있었다고 가정하지만 설령 [[고르바초프]]를 몰아낸 보수파가 쿠데타로 권력을 장악하였다고 하더라도 오히려 소련은 [[천안문 사태]]보다 훨씬 더 방대한 군사력 행사를 통해 중앙권력을 회복해야 했을 것이다. 더욱이 쿠데타가 일어날 [[1991년]] 당시 시점에서 소련은 막대한 정치적, 군사적 원조 없이 불가능했던 사회주의 진영의 종주국 역할에 부담을 느끼고 [[바르샤바 조약 기구]]나 [[코메콘]] 등 냉전 시기 동안 유지해 오던 군사적, 경제적 동맹을 스스로 해체했다. 그리고 기존 중앙통제식 계획경제를 개혁하겠다면서 내놓은 페레스트로이카 경제정책으로 인해 인플레이션과 재정적자 증가, 외채 누적, 부정부패와 암시장 증가 등의 문제가 겹쳐 경제상황이 그렇게 좋지 못했다. 이렇게 정치적, 경제적 위기를 겪던 상황에서 소련이 대규모 [[유혈사태]]까지 일으키며 분리독립하려는 공화국들을 강제로 진압했다면 최소 서방의 경제제재부터 최대 [[천안문 6.4 항쟁]] 이후의 [[중국]] 이상의 외교적 타격, [[소수민족]]들과 [[유고슬라비아 전쟁]]과 같은 독립 전쟁이 벌어지는 등 소련 입장에서 결코 현실 역사 이상으로 순조롭게 흐르지는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