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소련 붕괴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투표 결과 발표 이후 우크라이나의 군사권 장악 ==== 8월 쿠데타 이후 많은 소련 소속의 국가들이 상징적인 의미의 독립을 선포했으나 여전히 협상은 가능했지만 90% 찬성율로 끝난 우크라이나의 독립 투표 이후엔 연방 유지를 위한 협상이 불가능해졌다. '''왜냐면 우크라이나 없이 소련을 유지하는 것을 불가능했기 때문이다.''' 거기다 우크라이나는 90% 찬성율의 투표가 끝난 이후 '''군사권을 장악했다.''' >소련에서 독립한 첫 번째 국가는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의 발트해 연안 국가들이었다. 1991년 9월 2일에는 소련이, 9월 6일에는 새로운 소련 국무위원회(고르바초프와 다른 공화국 수반들)가 이들 공화국의 독립을 인정했다. __쿠데타가 붕괴된 후 대부분의 공화국이 독립 선언을 채택했는데, 그 중 가장 중요한 선언은 8월 24일 우크라이나의 선언이었다.__ 9월 말까지 벨라루스, 몰도바, 아제르바이잔,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즈아, 조지아, 타지키스탄, 아르메니아 등 8개 공화국이 어떤 형태로든 독립을 선언했다. > >__이러한 독립 선언은 다소 상징적인 성격을 띠고 있었으며 소련 국가의 미래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고르바초프__는 발트 3국, 몰도바, 그루지야를 제외한 공화국 지도자들과 “주권 국가 연방”을 위한 새로운 조약 체결을 위한 협상을 시작했다. __협상은 몇 달 동안 계속되었고 결국 12월 1일 국민투표에서 우크라이나 국민의 90% 이상이 독립에 투표한 후 막다른 골목에 이르렀다. 거의 모든 관측통들은 우크라이나의 참여 없이는 진지한 연방 논의가 불가능하다는 데 동의했다.__ 우크라이나 투표 직후인 12월 7~8일, 옐친은 벨라루스의 벨로베즈스카야숲에서 새로 선출된 우크라이나 대통령 레오니드 크라브추크와 벨라루스 최고 소련 의장 스타니슬라스 슈슈케비치를 만나 소련의 종식과 독립국가연합(CIS) 창설을 선언했다. 다른 구소련 공화국들도 가입을 권유받았고, 12월 12일 중앙아시아 5개국이 가입을 요청하면서 협상이 타결되었다. 12월 22일 카자흐스탄의 수도 알마아타에서 11개 공화국(조지아 제외) 정상들이 연방 선언에 서명했다. 고르바초프는 12월 25일 소련 지도자 자리에서 사임했고, 일주일 후 소련은 공식적으로 소멸했다. > >소련군의 운명은 8월 이후 협상의 주요 주제였다. 국무원은 11월에 미래 연방의 궁극적인 형태가 무엇이든 군대는 단일 지휘 하에 통합된 상태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이 결정에 대해 많은 관측통들은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몇몇 공화국은 이미 자국 영토 내 소련군 부대를 '민영화'하는 작업을 열심히 진행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8월에 자국 내 군대에 대한 통제권을 주장하며 국방부 장관으로 콘스탄틴 모로조프 소장을 임명했던 우크라이나가 그 중심에 서 있었다. 10월까지 우크라이나 최고 소비에트는 우크라이나 자체 군대 설립을 위한 법적 근거의 대부분을 마련했다. > >__1991년 12월 군사 분야의 사건은 빠른 속도로 진행되었다. 우크라이나의 독립 국민투표 직후인 12월 6일, 우크라이나 최고 소비에트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충성을 맹세하는 새로운 군사 선서를 채택했고 모로조프는 이 선서를 한 첫 번째 인물이 되었다.__ 옐친, 크라브추크, 슈슈케비치의 CIS에 대한 합의는 단일 군대를 요구하지 않았고, 대신 연방의 '공동 군사 전략 공간'에 대한 '공동' 지휘를 통해 핵무기에 대한 단일 통제의 필요성만 언급했다. __12월 13일 크라브추크는 자신을 우크라이나 군 최고사령관으로 선포하고 우크라이나에 주둔한 소련군으로 우크라이나 군을 구성할 것이라고 선언했다.__ 모로조프는 12월 17일 우크라이나의 군대가 여전히 모스크바에 종속되어 있으며 통제권 이양은 “단계적으로” 이루어질 것이라고 말했지만, 우크라이나가 나아갈 방향은 분명했다.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The first states to break free from the Soviet Union were the Baltic states of Estonia, Latvia, and Lithuania. Their independence was recognized by the mUnited States on 2 September 1991 and by the new Soviet State Council (Gorbachev plus the heads of the other republics) on 6 September. After the coup collapsed, most of the republics adopted independence declarations, the first and most significant of which was the declaration by Ukraine on 24 August. By the end of September, eight other republics—Belarus, Moldova, Azerbaijan, Uzbekistan, Kirghizia, Georgia, Tajikistan, and Armenia—had announced their independence in one form or another. > >These independence declarations had a somewhat symbolic character, and the future of the Soviet state was still undetermined. Gorbachev entered into negotiations with the leaders of the republics (except the Baltic states, Moldova, and Georgia) on a new treaty for a “union of sovereign states.” The negotiations dragged on for several months and eventually reached a dead end after more than 90 percent of Ukrainians voted for independence in a referendum on 1 December. Almost all observers agreed that there could be no serious talk of a union without Ukraine’s participation. On 7–8 December, shortly after the Ukrainian vote, Yeltsin met with the newly elected Ukrainian president, Leonid Kravchuk, and the chair of the Belarusan Supreme Soviet, Stanislaus Shushkevich, in the Belovezhskaya Forest in Belarus and proclaimed the end of the Soviet Union and the founding of the 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 (CIS). Other former Soviet republics were invited to join, and the deal was clinched on 12 December when the ªve Central Asian states asked to join. The Commonwealth Declaration was signed by the leaders of eleven republics (all except Georgia) on 22 December in Alma-Ata, the capital of Kazakhstan. Gorbachev resigned as Soviet leader on 25 December, and the Soviet Union formally ceased to exist a week later. > >The fate of the Soviet military was a major topic of the post-August negotiations. The State Council decided in November that, whatever the ultimate shape of the future union, the armed forces would remain uniªed and under a > >single command. This decision, however, was greeted with skepticism by many observers. Several of the republics were already hard at work “privatizing” the Soviet military units on their territory. The key player, again, was Ukraine, which had asserted control over the military forces on its soil in August and had appointed its own defense minister, Major-General Konstyantin Morozov. By October the Ukrainian Supreme Soviet had established much of the legal basis for setting up Ukraine’s own armed forces. > >Events in the military sphere moved at a breakneck pace in December 1991. On 6 December, just after Ukraine’s referendum on independence, the Ukrainian Supreme Soviet adopted a new military oath of allegiance to Ukraine, and Morozov became the ªrst ofªcer to take the oath. The agreement between Yeltsin, Kravchuk, and Shushkevich on the CIS did not call for a uniªed military; instead, it referred only to the need for uniªed control over nuclear weapons, with “joint” command over the “common military-strategic space” of the commonwealth. On 13 December Kravchuk declared himself commander in chief of the Ukrainian Armed Forces and decreed that the Ukrainian military would be formed from Soviet forces stationed in the country. Although Morozov said on 17 December that the forces in Ukraine were still subordinate to Moscow and that the transfer of control would take place “in stages,” the direction in which Ukraine was heading was clear.}}} >---- >Taylor, Brian D. "The Soviet Military and the Disintegration of the USSR." Journal of Cold War Studies 5.1 (2003) 56-58. [[https://doi.org/10.1162/152039703320996713]] [[https://m.dcinside.com/board/war/3951225|번역]]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