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세벌식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세벌식 사용의 어려움 == 사용자 수도 적고 국가 표준도 아니다보니 가끔 애로사항이 있다. 예를 들어, 보안 프로그램이 깔린 상태에서 세벌식을 쓰면 아무리 입력해도 숫자가 입력되지 않을 수 있다. 보안이랍시고 다른 키 입력을 막아 놓아서 그런 건데, 공병우 계열 세벌식은 숫자를 입력할 때 Shift를 누르는게 어렵다. 이럴 때는 넘패드(숫자 키보드)를 이용해 입력하거나, 한/영 키를 눌러 영타 상태로 입력해야 한다. 그리고 [[Windows]] 한국어 입력기에는 세벌식 배치 오류가 있어서 특문 몇 개도 입력이 안 되던 시절이 있었다. 계속 요구해도 안 고치다가 윈도우 비스타·오피스 2007부터 수정되었다. 공용 컴퓨터나 타인의 컴퓨터에서 세벌식으로 설정했으면 반드시 돌려놓아야 한다. 세벌식 키보드의 존재 자체를 모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쓸데없이 멀쩡한 컴퓨터를 고장이라 오판하는 경우가 발생한다.[[http://blog.naver.com/zpc44/20109647054|#]] 애초에 공용 컴퓨터나 남의 컴퓨터를 써 놓고 원복해 놓지 않는 것 자체가 큰 민폐이다. 처음부터 세벌식만 배웠다면 모를까, 기존 두벌식 사용자가 세벌식을 새로 익힌 뒤 익숙해지고 나면 두벌식도 저절로 다시 기억나서 조금 적응하면 같이 잘 쓸 수 있으니 오래 쓰지 않는 이상 그냥 두벌식으로 치는 편이 정신건강에 이로울 수도 있다. 본인의 컴퓨터를 타인도 써야 할 경우 사용자가 바뀔 때마다 컴퓨터의 한글 입력 방식을 바꾸어야 하는데, 매번 언어 설정에 들어가서 레이아웃을 바꾸는 일이 귀찮고 시간도 오래 걸린다. [[http://moogi.new21.org/prg1.htm|han3tool]]이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이 설정 바꾸는 번잡스러운 과정을 클릭 한 번으로 가능하게 해 준다. 작업 표시줄이나 바탕 화면에 바로가기를 만들어 놓고 사용자가 바뀔 때마다 클릭해 주면 배열이 즉시 바뀐다. 회사 사무실 등 개인용은 아니지만 사실상 한 개인이 주로 이용하는 컴퓨터에 설치해 두면 편리하다. 다만 윈도우의 공식 IME를 스위치하는 프로그램이다 보니 공식 지원되는 90, 91 배열만 사용할 수 있다. 만약 본인이 원도우에서 지원하는 90, 91(최종) 배열이 아닌 다른 배열을 사용하고 있다면 [[날개셋 한글 입력기]]를 사용하여 해결이 가능하다. 0번과 1번에 한글 [[두벌식]]과 [[QWERTY]]를 두고 2번에 세벌식을 두면 Shift+한/영 키를 누르지 않는 한 두벌식과 QWERTY로만 동작되기 때문. 이 경우 Shift+한/영 키를 누르면 세벌식으로 전환되고 이 상태에서 한/영 키를 누르면 두벌식으로 돌아온다. 추가적으로 날개셋 한글 입력기에는 '복벌식'이라는 사용자가 입력을 할 때 자동적으로 두벌식과 세벌식 사용을 눈치채서 바꿔주는 기능도 들어있다. 워드프로세서, 컴퓨터활용능력 시험에서는 규정상 세벌식의 사용이 금지되어 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