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상등병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어원 및 역사 == 국어의 상등병은 말 그대로 병 중 윗 등급이라는 뜻으로, 이등병이나 일등병과는 달리 무언가 권한 및 권위가 부여된다는 점을 암시한다. 영어로는 미국의 경우 corporal, specialist, specialist 4, senior airman 혹은 petty officer third class,[* 첫번째는 육군 및 해병대, 둘째는 육군, 세번째는 우주군, 네번째는 공군, 다섯번째는 해군 및 해안경비대이다. 육군은 권한 유무에 따라 corporal과 specialist로 나뉜다.] 영국의 경우 corporal 혹은 leading rate이다.[* 전자는 육군, 해병대 및 공군, 후자는 해군이다.] 이중 전통적인 명칭은 지상군의 corporal과 해상군의 Leading계열이다. 육상의 corporal은 중세 [[이탈리아어]]인 capo corporale에서 왔는데, capo는 [[캡틴|captain]]과 마찬가지로 "으뜸"이나 "(우두)머리"를 뜻하는 [[라틴어]] caput에서 왔으며 corporale는 "몸체"를 뜻하는 라틴어 corpus에서 비롯한바, 곧 "몸체의 으뜸"이란 뜻이었다. 부대 인원의 절대다수로서 몸체가 되는 병 계급 내에서 가장 높은 지위였던 셈이다. 이것이 축약되어 corporal이 되었고 현재 한국군에는 미군 대응 공식 번역체계에 따라 Corporal을 상등병으로 번역해 지금에 이르게 되었다. [* 몸체의 으뜸 즉, 병사 집단(분대)의 우두머리(長)라는 뜻에 집중한다면 Corporal은 상등병이 아니라 병장이라는 더 걸맞다. 실제 주어진 역할도 최소 부분대장에서 분대장 정도의 직위였다. 현대 한국군의 상등병은 어지간히 풀린 군번이 아닌 이상 분대장하기도 어렵고 본연의 뜻도 병사들의 우두머리가 아닌 '상위 등급의 병사'라는, 말 그대로 선임병이라는 의미만 담고 있기에 상등병을 Corporal로 번역하기엔 무리가 있다. 이는 미군 Corporal의 역할과 직무의 대응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아무튼간에 Corporal은 병장이나 [[오장]]이라는 뜻에 더 가깝다는 뜻이다.] 이 직책 겸 계급은 근대 서양에서는 군 조직의 고도화 과정 중 [[부사관]] 개념이 탄생하면서 그 대우를 병사에 맞출지 부사관에 맞출지로 갈리게 되었다. 장교가 아니지만 제한적인 지휘권을 가졌으므로 '일단은 부사관'이라 대우를 해주는 군대가 있는가 하면, 아직 정식으로 부사관으로 임관 된 것도 아니고 어디까지나 병사 신분으로 지휘권만 인정 받은 것이니 '일단은 병사'로 구분하는 군대도 존재한다. 명칭은 다 똑같은데 대우는 서로 다른 상황이다.[* 전자는 영국과 미국, 후자는 한국군, 프랑스군, 독일군이다. 한자 문화권 군대에서는 Corporal을 [[준부사관|준하사]] 혹은 정규 부사관인 하사로 여기는 등 번역조차도 병이냐 부사관의 관점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일례로 싱가포르군은 Lance Corporal와 Corporal을 준하사와 하사로 번역하지만 정작 신분 자체는 부사관이 아닌 병이다. 반면 중국군과 대만군은 상등병을 Private으로 표기하고 하사를 Corporal로 번역하며 하사를 부사관으로 구분한다.] 심지어 스페인군 같은 곳에서는 Cabo[* 스페인과 포르투갈에서는 Capo corporale의 Capo가 남아 계급명이 되었다.]도 등급을 두어 일정 등급 이상은 부사관으로 그 아래는 병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해상에서는 부대당 인원수가 더 적기에 상대적으로 계급 분화가 덜 된 경향이 있었는데, 아직은 장교 역량이 더 중요했던 범선시대에는 병-하사관(petty officer)-하사관장([[CPO|chief petty officer]])-[[사관후보생]]([[준사관|midshipman]])-사관으로 이어지는 단순한 위계구조를 보이다가, 근현대에 [[병사]] 숙련도의 중요성도 부각되면서 19세기 무렵에는 육군처럼 더 많은 병사계급이 추가되었다. 인식상 하사관(petty officer)의 말단으로서 파생한 미 해군의 petty officer third class와 병 계급(rate)의 상단으로서 파생한 영국 해군의 leading rate으로 갈린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