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삼성 라이온즈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개요 == ##나무위키:편집지침/특정 분야/문화예술: 문화예술인 문서의 개요 및 평가 문단에서 볼드체, 밑줄과 같은 강조 표현 사용을 예외 없이 금지합니다. 문화예술인 문서의 개요 문단에서 서열을 나누는 서술을 금지합니다. 이는 문화예술인 개인의 문서와 문화예술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스포츠 팀, 구단, 크루 등)에 모두 적용됩니다.## ||<tablealign=center><tablewidth=500><tablebordercolor=#074ca1><nopad> [[파일:삼성 라이온즈 메인.jpg|width=100%]] || [[삼성|삼성그룹]]의 계열사인 [[제일기획]]이 운영하는[* 2015년까지는 삼성 라이온즈도 삼성그룹의 계열사 중 하나였고 최대주주는 [[삼성전자]]였으나, 2016년 1월 1일부로 [[제일기획]] 산하로 이관됐다. 다만 제일기획은 구단 운영만 전담하고, 구단 운영비는 여전히 [[삼성전자]], [[삼성생명]], [[삼성화재]], [[삼성증권]] 등 그룹의 여러 계열사들이 나누어 부담하고 있다. 또한 창업주인 [[이병철]] 초대 회장의 뜻에 따라 [[범삼성가]]인 [[CJ제일제당]](15%), [[신세계(기업)|신세계]](14.5%)도 구단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건희]] 전 회장이 보유했던 지분(2.5%)은 2020년 사망 이후 [[대구광역시]]에 모두 기부됐다.] [[KBO 리그]] 소속 프로야구단. 1982년 [[KBO 리그]] 출범 당시 창단한 [[틀:KBO 리그/원년 참가 구단|원년 6개 구단]] 중 하나로, [[롯데 자이언츠]]와 함께 원년부터 [[대구광역시|연고지]]·[[삼성|모그룹]]·[[라이온즈|구단명]]의 명맥을 이어온 구단이다.[* 이는 삼성과 롯데의 맞대결이 '[[클래식 씨리즈]]'로 불리는 이유다.] 공식 연고지는 [[대구광역시]]지만, 실질적으로는 [[대구·경북|대경권]] 전체를 대표하는 구단으로 여겨진다. KBO 리그의 연고지 개념이 2000년부로 광역연고제에서 도시연고제로 바뀌기 전에는 공식적으로 대구광역시뿐만 아니라 [[경상북도]]까지 포괄했었고, [[KBO 신인 드래프트/1차 지명|신인 드래프트 1차 지명 제도]]가 존재하던 2014년부터 2022년까지는 [[강원특별자치도|강원도]] [[영동#s-1]] 지역 고교에 대한 지명권도 보유했었다. 대구를 연고지로 삼은 것은 1938년 [[이병철]]이 지금의 대구광역시 [[중구(대구광역시)|중구]] [[인교동]]에서 창업한 [[삼성상회터|삼성상회]](현 [[삼성물산]]의 전신)가 [[삼성|삼성그룹]]의 기원이기 때문이었다. KBO 리그에서 공식적으로 8회의 우승을 차지해 [[KIA 타이거즈]](12회)에 이은 2위다. 2010년대 초반에는 5년 연속 [[페넌트 레이스#s-2|페넌트 레이스]] 우승(2011~2015)과 4년 연속 [[KBO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 우승(2011~2014)을 달성해 언론과 야구 팬덤으로부터 '[[삼성 왕조]]'라는 칭호를 얻기도 했다. 또한 통산 최다 승, 한국시리즈 최다 진출(18회), 한국시리즈 최다 연속 우승(4년 연속, 2011~2014),[* 1986~1989 [[해태 타이거즈]](現 [[KIA 타이거즈]])와 동률.] 페넌트 레이스 최다 우승(9회)[* 단일 리그 기준. 전·후기 리그, 양대 리그 기록까지 포함하면 17회인데 이 역시 리그 최다.], 페넌트 레이스 최다 연속 우승(5년 연속, 2011~2015), [[KBO 포스트시즌|포스트시즌]] 최다 진출(30회), 포스트시즌 최다 연속 진출(12년 연속, 1997~2008), [[아시아 시리즈]] 우승(2011년)[* 또한 KBO 리그의 유일한 우승구단이기도 하다.] 등 여러 최다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리그에서 유일하게 [[꼴찌|최하 순위]]를 기록한 적이 없는 구단이다. 상징 색은 모기업 삼성을 따른 [[파란색]]이며, 과거에는 [[빨간색]](1982~1983, 2016~2023)과 [[노란색]](1984~1994)도 사용했었다.[* 1982년 창단 당시 [[삼성전자]]의 로고가 빨간색이었기에 삼성 라이온즈도 한동안 빨간색 위주의 유니폼을 입었었고, 1984년부터 1994년까지 보조 색으로 사용된 노란색은 [[이건희]] 전 회장의 부인인 [[홍라희]] 여사의 취향이 반영된 것이라 한다. 이후 빨간색은 2016년 유니폼 디자인 변경과 함께 보조 색으로 부활했지만, 공교롭게도 [[삼성 라이온즈/암흑기/2차|암흑기]]와 맞물려 지속적인 혹평을 받은 끝에 2024년 개막을 앞두고 사라졌다.] 상징 동물로 [[사자]]를 택한 것은 늠름한 [[백수(동음이의어)#s-4|백수(百獸)]]의 왕 사자의 기상으로 프로야구의 선구적인 팀이 되겠다는 의미였다. 마스코트 [[블레오]]는 팀의 상징 색 블루(Blue)와 만화 <[[밀림의 왕자 레오]]>의 주인공 [[백사자]] 레오(Leo)[* [[일본프로야구]]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의 마스코트이기도 하다.]를 결합해 만든 것이다.[[https://m.blog.naver.com/mcstkorea/220630918393|#]] 홈구장은 1982년부터 2015년까지 [[대구광역시]] [[북구(대구광역시)|북구]] [[고성동]]에 위치한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을 사용했었고, 2016년부터 [[대구광역시]] [[수성구]] [[연호동]]의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를 사용하고 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