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블루 아카이브
(r52 문단 편집)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
을 통해 '브루아카' 리다이렉트를 삭제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주딱
의 기분에 따라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주딱
의 기분에 따라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토론
- '브루아카' 리다이렉트를 삭제하기
토론
- '분류:나무위키 블루 아카이브 프로젝트'를 맨 뒤에 쓰기
토론
- 몰루 아카이브. 블아카. 우리 학교 특공대' 리다이렉트를 삭제하기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중국 서비스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600><table bordercolor=#128afa,#2c4c72><table bgcolor=#128afa,#2c4c72> {{{#fff,#fff '''사전예약 PV'''}}} || ||<nopad> [youtube(XgBEmsgUEAw, width=100%)] || 2023년 3월 16일, [[https://www.nppa.gov.cn/nppa/contents/318/106487.shtml|외자판호를 발급받았다.]] 중국판 제목은 蔚蓝档案(위람당안)으로 정체자가 간체자로 변경된 것 외에는 대만판과 동일하다. 퍼블리싱은 일본 서비스 퍼블리싱을 맡는 [[Yostar]]의 중국 자회사인 상하이 로밍스타[* 홈페이지 하단에는 Shanghai Yostar Co., Ltd.로 표기되며 로고는 Yostar의 것을 그대로 사용한다.]에서 맡게 된다. 서비스 개시일은 2023년 8월 3일. 화제성을 감안하면 판호 발급이 늦었는데, 이는 [[2021년 중국 규제]]와 관련이 깊은 것으로 보인다.[* 일례로 이 때문에 한참 개발중이던 [[소녀전선2: 망명]]이 개발이 상당히 진척된 상황에서도 판호를 발급받지 못했다. 공교롭게도 블아 중섭 판호가 떨어진 지 1주일 뒤, 소녀전선2: 망명도 판호 발급을 통과했다.] 중국 대륙 내수판에는 별도의 표준중국어 음성이 추가된다. 인터넷 커뮤니티 등지에서는 중국어 음성 녹음 추가가 판호를 받기 위한 법적인 필수 사항이라는 루머가 퍼져 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 다만 지난 2021년, [[2021년 중국 규제|중국의 게임 규제 관련 논의]]에서 [[중국공산당]] 간부가 현행 게임들의 적용 음성 관련 발언을 한 바가 있고,[* 여담으로 홍콩의 매체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의 보도에 따르면, 지난 [[2021년 중국 규제|2021년 8월 이후]]부터 중국 정부는 게임을 문화 산업이나 엔터테인먼트 산업으로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중국의 역사와 문화"와 "올바른 가치"를 강조해야 하는 ‘새로운 형태의 예술’로 보고 있으며, 관련 가이드라인과 교육 과정을 공무원들에게 전달했다고 한다.] 판호 발급 여부는 법안과 별개로 전적으로 공산당의 절대적 지배를 받는 [[광전총국]]의 직권으로 결정되며, 최근 극소수의 게임을 제외하고는 중국어 음성 녹음을 추가한 게임들만이 중국에서 판호를 받는 데 성공한 것도 사실이다. 즉, 중국어 음성 녹음 추가는 공식적으로는 안 넣어도 문제는 없으나[* 러브라이브 [[스쿠스타]]가 중국어 음성을 안 쓰고 판호를 따낸 이력이 있다.] 암묵적인 규칙에 가깝다고 볼 수 있겠다. 하지만 중국에 장기체류 중인 외국인을 제외한 일반 외국인은 사실상 플레이를 할 수가 없다. 이유는 중국 내 휴대폰 번호를 이용해서 만드는데 단기 체류 혹은 중국 비거주 외국인은 애당초 이런게 없기에 요스타 중국 계정과 중국 Apple ID를 만들 수 없으므로 그림의 떡이다. [[오파츠]] 중에 [[수정 해골]]이 [[하니와|수정 하니와]]로 대체되는 등 중국 서버를 고려한 요소가 이미 있긴 했지만, 본작에는 중국에서 검열될 수 있는 요소가 하도 많다 보니 어떻게 판호를 받아냈는지 의문을 자아내고 있다.[* [[소련]]과 [[쿠데타]]를 소재로 한 것은 이미 [[신소련|소녀전선]]과 [[원신/설정/이나즈마#s-3.3|원신]]에서 다룬 적이 있어 검열될 가능성이 낮다. 해골을 로고로 쓰고 있는 아리우스 스쿼드의 경우 프리코네에서 해골을 들고 다니는 [[시노부(프린세스 커넥트! Re:Dive)|시노부]]가 검열을 피한 것으로 보아[[https://wiki.biligame.com/pcr/%E5%BF%8D|#]] 이 부분도 수정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낮았고 [[https://twitter.com/sasurainopink/status/1719323338252906981|할로윈 기념 일러스트]]에서도 해골이 문제없이 등장했다.] 2023년 4월 19일, [[https://m.etnews.com/20230419000101|사전예약 100만 명을 돌파했다.]] 2023년 6월 22일부터 베타 서비스를 시작했다. 2023년 7월 8일에 [[https://t.bilibili.com/815830760181202993?spm_id_from=333.999.0.0|빌리빌리]]를 통해 정식 서비스 개시 일자를 공개하였다. 튜토리얼과 몇가지 중요 장면에서만 음성 녹음이 나온 일본 내수판과 글로벌 수출판과 달리 중국어로 '''메인 스토리 음성 녹음'''이 되어있고[* 메인 스토리 이외의 스토리 음성 녹음은 되어있지 않다.] 메인 테마곡은 서비스 주체가 같은 일본 서버에서 사용한 오구라 유이의 Clear Morning이 아닌 [[ClariS]]의 Blue Canvas로, 완전히 새로운 곡으로 정해졌다. 중국 서버는 앞서 서비스 중인 대만 서버와 비교하면 번역이 [[https://arca.live/b/bluearchive/84595063|달라진 점]]이 다수 있다.[* 애초에 중국에서 쓰는 간체자와 대만에서 쓰는 번체자는 사용되는 글씨의 형태부터 다르며, 이에 따른 문화적 특성조차도 다르다. 대만은 검열된 요소가 없기에 종교적 색채를 띠는 명칭 대다수가 문제 없이 번역됐다.] 일부 학생들의 일러스트에 검열이 들어가 노출도가 감소된 것이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projectmx&no=6766490|확인]]되었다. 이후 정식 서비스 전, 후로 검열된 학생이 확인되었다. 현재까지 확인된 검열 요소는 아래와 같으며, 검열은 정식 서비스 도중에 추가되고 있다. 일부 학생은 미검열로 출시했지만 점점 검열 범위가 늘어나고 있으며 한 학생이 수차례의 검열을 받는 등 한섭 15세판 검열 수위가 선녀로 보일 정도로 검열 강도가 심한 편이다. 수영복의 경우 직접적인 노출도 감소는 없었지만, 이후 이즈미의 수영복이 수정되었다. 수영복의 경우, 기본적으로는 [[벽람항로]]처럼 웹에서의 소개 이미지 한정으로 노출 부위를 뿌옇게 처리하며, 그 외 웹 소개에서 수위가 높을만한 부위는 코하루가 금지 팻말을 들고 있는 것으로 수정한다.[* 해당 코하루는 여러 배리에이션이 있어, 각 이벤트의 컨셉에 맞게 의상이 바뀌는 장인정신(...)을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영복 이격에선 학교수영복을 입은 코하루가, 드레스 아코 픽업에선 드레스를 입은 코하루가 팻말을 들고 등장했다. 나름 인기인 건지 따로 굿즈로도 나왔을 정도.] * 노출도 감소 * [[이즈미모토 에이미]]: 상의 추가. → 상의 면적 증가 및 가슴 축소 → 2차 검열에서 디테일 추가 * [[스노하라 슌]]: 상의 추가 → 1차 검열에서 디테일 추가 * [[아사히나 피나]]: 내려와 있던 옷을 올리면서 가슴을 가림. → 가슴쪽 상의 면적 증가 → 가슴쪽 상의 면적 증가 * [[카스가 츠바키]]: 옆가슴 부분에 붕대 추가.[* 베타 서비스 당시에는 미검열이었다.] → 가슴 축소 * [[토요미 코토리]]: 가슴 부분과 배꼽 부분 검열. → 가슴 축소 및 완전히 가림 * [[이치노세 아스나]]: 상의의 가슴 부분이 검열. → 리본 크기 증가 및 가슴 축소 → 가슴 축소 * [[네코즈카 히비키]]: 상의의 가슴 부분에 있는 망사 부분이 불투명화. * [[엔도우 시미코]]: 치마 각도 조정. * [[하네카와 하스미]]: 치마가 내려오면서 가터벨트 검열. * [[아마우 아코]]: 옆가슴 검열[* 원래는 정식 출시때도 그대로 있었으나, 2차 검열때 추가. 참고로 정식 서비스 전과 초기에 이미 검열됐다고 잘못 알려진 적이 있다. 당시 합성된 이미지는 ~~검열 대상이 뻔해서~~ 정식 검열본과 대동소이하다. 참고로 SD 캐릭터는 검열을 받지 않았다.] * [[켄자키 츠루기/수영복]]: 가슴골에 빛 추가 * [[시즈야마 마시로]]: 스패츠 착용 * [[우시마키 주리]]: 가슴 축소 * [[카쿠다테 카린]]: 가슴골 경감 * [[오토하나 스미레]]: 바지 부분이 위로 올라감. * 불량배(MG): 가슴 쪽 붕대 부분 확대 * [[시로미 이오리/수영복]]: 가슴과 고간에 빛 추가[*a 웹 소개 이미지 한정으로, [[벽람항로]]처럼 인게임 내에서는 검열을 받지 않았다. SD 역시 미검열.] * [[시시도우 이즈미/수영복]]: 가슴 부분 검열. * [[선상의 바니 체이서]] 등장 캐릭터 전원: 바니걸 의상의 노출도가 매우 크게 검열됐다. 공개 일러스트 당시에는 일러스트 검열은 안했는데, 일러 위에 금지 표지판을 들고있는 코하루 그림을 덮어씌워 검열했다. * [[아스마 토키/바니걸]]: 노출도는 줄어드지 않았으나, 소개 영상에서 가슴골 쪽에 금지 표지판을 들고 있는 코하루 그림을 덮어씌웠다. * 독일 관련 요소 * [[소라사키 히나]]: 치마 부분에 있는 훈장 삭제. 이후 검열이 완화된 건지 다시 돌아왔다. * 종교적 요소 관련 * [[스나오오카미 시로코]]: 가방에 달려있는 십자가 형태의 액세서리 삭제.[* 십자가는 [[트리니티 종합학원]] 로고에 직접적으로 있는 요소이므로, 이에 따라 중국 서버에서는 BD나 기술 노트에 적용된 십자가 형태를 뺀 로고를 사용할 확률이 높아졌다.] * 폭력적 요소 * [[켄자키 츠루기]]: 헤일로 혈흔 모양 검열 → 헤일로 색을 검은색으로 변경 * [[켄자키 츠루기/수영복]]: EX 스킬의 붉은 물을 보라색 물로 변경 & 헤일로 색을 검은색으로 변경 * 그 외 * 여름 하늘의 위시리스트: 이벤트 배너에서 [[아지타니 히후미/수영복]]의 크루세이더가 편집됨 * 불인의 마음: 이벤트 배너에서 [[나츠메 이로하]]의 토라마루가 편집됨 그러나 [[2023년]] [[8월]] [[중국 정부]]의 청소년 스마트폰 규제로 인해 블루 아카이브의 중국 흥행이 불투명해졌다는 인식이 확산되어 [[넥슨게임즈]]의 주가가 급락했다. [[https://m.moneys.co.kr/article.html?no=2023080410362242176&type=4&code=w0407&MVRN#_enliple|#]] 그리고 같은 해 12월, 중국에서 [[2024년 중국 온라인 게임 관리 대책|미성년자의 가챠와 로그인 유도 보상을 금지하는 법안]]이 새로 제정될 것으로 확인되면서 넥슨과 넥슨게임즈의 주가가 하락하였다. 중국 서비스는 타 서버와의 지나치게 벌어진 업데이트 간격 문제 탓인지 일부 이벤트를 개최하지 않고 스킵하고 있다. 이 중 하츠네 미쿠 콜라보 역시 스킵되면서 개최 여부가 불투명해졌었다.[* [[선상의 바니 체이서]]가 이 과정에서 스킵됐는데, 노출도 문제로 인해 스킵됐다고 보는 의견이 있지만 수영복 1차 이벤트와 언급된 미쿠 이벤트가 스킵된 걸 보면 단순히 일정 당기기 용으로 스킵됐을 확률이 크다.] 이후 0.5주년에 바니걸 이벤트의 예고와 미쿠 콜라보가 확정되면서 개최 순서가 뒤섞였다. 다만 수영복 1차 이벤트는 개최 시기가 애매해져도 너무 애매해진 탓에 사실상 완전히 스킵됐다. 또한 선술한 검열 등으로 인해 비주얼적으로는 사실상 타 서버의 열화판이기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인지 중국 특유의 넘쳐나는 생산력을 활용해 타 서버에서는 없었던 중국 서버 고유의 미디어믹스 컨텐츠를 많이 제작해 배포하고 있다. 당장 [[블루 아카이브/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 문서의 [[블루 아카이브/애니메이션#중국 서버 애니메이션|중국 서버 애니메이션 문단]]만 봐도 어마어마한 양의 오리지널 애니메이션이 제작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것도 상당수는 일본어 음성 녹음판과 중국어 음성 녹음판을 함께 제공하고 있다. 또한 스토리 이벤트를 개시할 때마다 완전히 새로 제작된 이벤트 대표 이미지를 공개하기도 한다. 중국 서버의 독자적인 한정 굿즈 역시 많이 만들어 내는 편으로, 특정 캐릭터의 픽업에 맞춰 굿즈가 전개되기도 한다. 웨이보에서는 SD를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형식으로 소개 중이기도 한데, 특히 일부 가구 모션의 경우 다른 서버에 비해 보다 자유로운 각도에서의 시연 영상을 사용하고 있다.[[https://g.us.sinaimg.cn/o0/unDX4Izglx08bMQvOvg4010412001Jpg0E010.mp4?ssig=KsfunRQ0X%2F&Expires=1705854513&KID=unistore,video|#]] 미래시를 따라가는 속도가 굉장히 빠른 편이다. 무려 2주년 만에 일섭 3주년 이벤트였던 빛으로 나아가는 그녀들의 소야곡을 진행중이다. 글로벌 서버의 미래시 단축을 따위로 만드는 엄청난 속도전 덕분에 과금 부담이 엄청난 것 아니냐는 타 서버 유저들의 반응은 덤. 문제는 이러고도 25년 7월 기준 글로벌 서버 대비 1년, 일본 서버 대비로는 무려 1년 7개월 가량이라는 여전히 긴 미래시를 가지고 있어 이런 초고속 진행은 한동안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 '''긍정적 전망''' 여러 투자 전문 업체들의 예상은 블루 아카이브가 일본 서버와 글로벌 서버 모두에서 출시 초창기 예상보다 낮은 인기에서 업데이트를 거쳐갈 수록 인기를 얻었다는 점 때문에 향후에도 낮은 중국 인기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수집형 게임은 매출이 업데이트에 좌우되고, 서비스 기간이 길어질수록 점차 매출이 증가하는 방식을 띄고 있어서 흥행의 섣부른 판단은 이르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2021년 당시 판호발급이 되지 않았던 시점에서 중국 내에서도 상당한 화제를 이끌었던 게임이고, 이는 2023년 시점으로 약 2년이나 늦게 나온 구작임에도 사전 예약에 많은 인원이 몰린 점, 출시 직후 반짝이긴 하나 높은 게임앱 인기 순위에 랭크됐던 점 등으로 분명히 긍정적인 평가를 내릴 수 있는 부분은 있다고 보고있다. 부정적인 측에서는 우회 경로를 통해 이미 즐길 사람은 대부분 즐겼다고 지적하지만 이는 한국 섭 당시에도 나왔던 말이며, 당연하겠지만 접근성 측면에서 우회 접속은 상당한 진입 장벽을 가지고 있기에 이는 대단히 신빙성 없는 주장에 불과하다. 애초에 일섭을 즐기던 유저들 입장에서도 정작 이 게임의 최고 어필 포인트라 할 수 있는 스토리 부분은 제대로 감상할 수 있는 일본어 능력자가 극히 드물고 대부분은 스토리를 번역한 게시물로 따로 보거나 그러는 게 한계인데 아무래도 인게임에서 직접 감상하는 것과는 몰입감에서 차원이 다르기 때문에 직접 현지화 된 컨텐츠로 제대로 즐기고 싶게 마련이다. 모바일 게임 매출의 대부분은 경제력이 부족한 청소년 및 20대 사회 초년생에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청소년 스마트폰 규제, 20대 실업률 증가가 유의미적인 영향을 미칠지는 신중히 분석해야 할 부분이다. 더구나 중국의 청년 실업률은 한국의 청년 실업률과 비슷하므로 이에 따르면 블루 아카이브의 한국 흥행도 제한적이었어야 했다. 오히려 원신, 붕괴 스타레일 등 미호요 발 게임의 대대적인 성공으로 비슷한 캐릭터 디자인과 설정의 모바일 게임이 우후죽순 양산되고 있는 중국 시장에서 블루 아카이브의 독특한 세계관과 캐릭터 디자인, 캐릭터성, 스토리는 충분한 경쟁력이 될 수 있다는 관점이다.[* 단순한 그래픽, 기술력 만으로 모바일 게임의 경쟁력을 판단하는 건 구시대적 발상으로 그런 논리에 따르면 AAA급 게임은 무조건 흥행해야만 한다.] 실제로 이러한 측면이 발굴되고 주목받아 일본 서버와 글로벌 서버에서 점진적인 매출 상승을 이뤄내어 모바게 수명의 분기점인 2주년에 최대 전성기를 누리고 있다. 이는 오리지날 IP를 내세운 모바일 게임 중에선 굉장히 흔치 않은 사례 중 하나다. 보통은 1주년도 안 돼서 MAU는 전반적인 하향세로 접어 들며 이후엔 코어 유저수를 얼마나 유지하느냐가 수명을 결정하기 때문. 블루 아카이브는 모바일 게임 이전에 오타쿠 게임이며 오타쿠 게임에서 중요한 건 게임성보다는 캐릭터성과 그 디자인을 얼마나 잘 살리느냐의 싸움이며 미호요 게임이 크게 흥행한 것도 바로 이 부분에서 기인함을 인지하고 그 추이를 봐야 할 것이다. 블루 아카이브의 중국 매출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직접적인 요인은 중국의 경기 침체에 따른 내수 시장의 축소이지 다른 요인을 근거로 들어 전망치를 하향하는 건 섣부르다는 의견도 있는 편. ---- '''부정적 전망''' 반면, 블루 아카이브의 중국 흥행에 부정적 평가를 내고있는 주장에서는, 중국에서는 이미 우회 경로를 통해 글로벌 혹은 일본 서버로 즐길 사람은 대부분 즐겼다라는 점이 지적된다. 일본 서버는 선행서버로서의 이점이 있고, 글로벌 서버는 대만 '''중국어'''를 지원하기 때문.[* 비슷한 예로 [[Fate/Grand Order]]가 있다. 일러스트 검열과 스토리 검열로 인해 한창 서비스 중이던 와중에 중국 서버 유저들이 일본 서버로 넘어가버려, 2023년에 와서는 중국 서버 매출이 매우 급감했다.] 또한 중국 서버는 서비스 연도의 차이 때문에 글로벌 서버에 비해 2년이라는 엄청난 시간차가 있으며, 중국 시장의 특성상 공안 당국의 까다로운 검열 기준을 만족해야 해서 일러스트를 비롯한 컨텐츠에도 엄청난 검열이 적용되고 있다. 단순한 일러스트 검열 뿐만 아니라 바니걸 이벤트를 비롯한 일부 이벤트는 아예 진행되지 않고 스킵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물론 이러한 이벤트 스킵은 단순히 검열 이슈 뿐만이 아니라 2년이라는 시간차를 극복하고 진도를 맞추기 위한 요소 중 하나로 생각할 수도 있긴 하나, 객관적 시선에서 보면 원본 컨텐츠를 즐기지 못하고 군데군데 구멍난 컨텐츠를 즐기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부정적인 부분들을 감안해서인지 중국 서버를 오픈하면서 각잡고 각종 PV 애니메이션 등은 물론 인게임 스토리의 중국어 음성 녹음까지 하며 중국 흥행을 위해 공격적 프로모션 투자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출시 후 2주가 넘는 시간동안 중국 내 인기 게임 앱 순위 상위권은커녕 중하위권에 머물고 있었다. 대부분의 게임 흥행이 초동 유저풀에 좌우된다는 점을 생각하면 향후 전망이 매우 어둡게 여겨지는 부분 중 하나다. 이는 중국 내 게임 업체들의 기술력이 [[원신]], [[붕괴 스타레일]] 등과 같이 이미 상당히 올라와 있는 상태라는 것이 보여지고 있고, 자국 내 게임에 대한 충성도가 과거 출시만 하면 큰 매출이익을 보았던 한한령 이전보다 훨씬 높아졌다는 점[* 이는 펄어비스의 검은사막이 중국 서비스 개시 이후 인기 순위가 '''100위권으로 추락'''하며 중국 흥행에 완전히 참패한 것으로 반증된다.]이 주로 작용된다. 특히 미중 무역 갈등으로 인한 중국 내 투자 감소, 자국 문화 및 게임 규제, 이로인한 상상을 초월하는 중국 경제의 빠른 속도 위축 및 게임 산업의 주요 이용층 중 하나인 청년층의 높은 실업률과 경제적 이탈 등의 악재가 여러 겹 겹쳐있기도 하다. 이러한 여러 복잡한 원인들이 얽혀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상술했듯 항후 전망이 밝을 수가 없으며, 블루 아카이브가 다른 중국 게임들 만큼의 대단한 경쟁력이 있는 것은 더더욱 아니다. 때문에 향후 이어질 업데이트들이 중국 서비스의 명운을 가를 것으로 보인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