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블루 아카이브
(r52 문단 편집)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
을 통해 '브루아카' 리다이렉트를 삭제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주딱
의 기분에 따라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주딱
의 기분에 따라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토론
- '브루아카' 리다이렉트를 삭제하기
토론
- '분류:나무위키 블루 아카이브 프로젝트'를 맨 뒤에 쓰기
토론
- 몰루 아카이브. 블아카. 우리 학교 특공대' 리다이렉트를 삭제하기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일본 서비스 === ||<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128afa,#2c4c72><bgcolor=#128afa,#2c4c72><color=#fff> '''일본 서비스 애니메이션 PV'''[br][[오구라 유이|{{{#white '''오구라 유이'''}}}]] '''「Clear Morning」'''[* 영상 초반을 보면 시로코가 보는 거울에 아티스트로 오구라 유이와 해당 곡의 제목이 적혀있다. 곡이 바뀐 한국 및 글로벌판에서는 내용을 바꾸지 않고 삭제했다.] || ||<nopad> [youtube(rFeBMv98X30)] || ||<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128afa,#2c4c72><bgcolor=#128afa,#2c4c72><color=#fff> '''일본 서비스 - 6th PV'''[* 해당 PV는 AX2025에서 글로벌에도 선행 공개됐다.] || ||<nopad> [youtube(JwWVgGE5b0Q)]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600><table bordercolor=#128afa,#2c4c72><table bgcolor=transparent><bgcolor=#128afa,#2c4c72> {{{#fff,#fff '''일본 서비스 카운트다운 일러스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able bgcolor=#128afa,#2c4c72> {{{#fff,#fff '''D-7'''}}} || ||<nopad> [[파일:일?루아카 카운트다운 D-7 일러스트.jpg|width=100%]] || || {{{#fff,#fff '''D-6'''}}} || ||<nopad> [[파일:일?루아카 카운트다운 D-6 일러스트.jpg|width=100%]] || || {{{#fff,#fff '''D-5'''}}} || ||<nopad> [[파일:일?루아카 카운트다운 D-5 일러스트.jpg|width=100%]] || || {{{#fff,#fff '''D-4'''}}} || ||<nopad> [[파일:일?루아카 카운트다운 D-4 일러스트.jpg|width=100%]] || || {{{#fff,#fff '''D-3'''}}} || ||<nopad> [[파일:일?루아카 카운트다운 D-3 일러스트.jpg|width=100%]] || || {{{#fff,#fff '''D-2'''}}} || ||<nopad> [[파일:일?루아카 카운트다운 D-2 일러스트.jpg|width=100%]] || || {{{#fff,#fff '''D-1'''}}} || ||<nopad> [[파일:일?루아카 카운트다운 D-1 일러스트.jpg|width=100%]] ||}}}}}}}}} || 넥슨[*A]/넥슨게임즈의 게임으로서 이례적으로 개발주체국인 대한민국 서비스가 확정되기도 전에 해외(중국) 퍼블리셔 [[Yostar]]에 의해 일본 서비스가 선행 개시되었다.[* 이는 넷게임즈(현 넥슨게임즈)의 CEO인 박용현의 제안이었다고 한다.] 넥슨게임즈 사내에서는 선행 서버로 분류한다. 이는 글로벌 서버 개발자 편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일본에선 2020년 7월 17일 클로즈베타 플레이어 모집, 동년 8월 6일부터 클로즈베타 테스트를 진행했고 8월 16일을 마지막으로 클로즈베타를 종료하였다. 2020년 이내 안드로이드 출시 예정이었나 2021년초로 출시가 밀렸고, 이후 2021년 2월 4일 일본 서버 정식 오픈해 [[https://youtu.be/UvuhKcv9KpI|(1:25:34)]] 오픈 하루 만에 Apple, 구글 양대 앱 마켓 인기순위 1위에 등극했다. [[김용하(게임 개발자)|자타공인 덕후 PD]]의 신작이라는 점, 일본에서 먼저 도전한다는 것 때문에 한국에서도 인지도가 높았고 일본에서는 비록 개발자에 대한 인지도도 없고 신규 IP이지만 캐릭터성과 음악, 독특한 설정 등이 호평받아 출시부터 큰 관심을 받으며 서비스 개시 1주만에 구글마켓 매출순위 5위로 [[원신]] 바로 다음까지 올라가 상당한 인기를 보여줬다. 일본을 우선적으로 공략한 게임이며, 아예 일본을 위시한 해외 게임으로 착각하는 게 당연할 수준이다.[* [[일본 내수용/오락 및 게임]]을 참고하면 되며 글로벌 서버에서는 일본어 자막 설정이 없다.] 한국을 연상시키는 요소는 밈 빼고는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신규 컨텐츠 대부분은 일본에 공개된 뒤 긴 텀을 지나야 한국 유저들도 즐길 수 있다.[* 2024년 기준으론 6개월 정도. 그래도 종종 한국 측에서 따로 손을 더 대서 일본에 공개될 때보다 내용을 보완하거나 한국 유저들에게 초점을 두고 공개하는 고유 컨텐츠를 준비하는 경우는 있다.] 하지만 곧 오픈 초기 서버 불안정 및 버그 등 잦은 점검 사고와 처음으로 열린 스토리 이벤트가 짜디짠 보상과 빡빡한 진행으로 엄청나게 욕을 먹으며 민심은 바로 바닥을 쳐버리고 유저 이탈이 크게 발생했고 코딩 덩어리라고 불리는 수준의 끊임없이 터지는 버그들로 인해 원래 예정되었던 스케줄들을 미루고 오직 서버 및 게임 안정화에 총력을 기울이면서 몇 달 동안이나 신캐 정도만 가끔씩 추가되고 스토리가 진행되지 못하는 없뎃 기간 때문에 유저들이 우수수 떨어져 나갔다.[* 이후 3주년 이벤트 회장에서 요스타 측 디렉터가 적은 메시지의 내용 중에선 "'''요절해버릴 것 같을 정도'''로 약해져 있던 시기가 있었다."란 메시지를 적었고, [[토요미 코토리|코토리]]의 담당 성우인 [[시노하라 나루미]] 역시 당시 넷게임즈(현 넥슨 게임즈)의 개발진에게서 같은 말을 들었다고 언급한 바 있다.[[https://twitter.com/Narumi_Shino/status/1749084481678696714?t=61F_kToSheSgADOMzBgegw&s=19|#]] 디렉터의 메시지를 본 초창기부터 해온 유저들 역시 공감한다는 반응을 많이 보였고, 여기까지 온 것 자체도 기적이라 보는 의견도 있었다.] 이렇게 런칭 초기의 기세가 꺾여버린 차에 설상가상으로 일본 현지에서는 오랜 개발 끝에 오픈한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가 일본을 강타하여 경마 열풍이 부는 등 우마무스메에게 장기간 화제성을 빼앗긴 것까지 악재로 작용하여 일본 내외를 막론하고 우마무스메에 의해 [[명예사]] 당했다며 반쯤 [[오와콘]] 취급을 받기도 했다. 당시 워낙 분위기가 좋지 않다 보니 회사 내부적으론 준비한 스토리라도 끝낼 수 있으면 좋겠다고 할 정도였다고 한다. 다만 눈에 띄던 캐릭터성은 통했는지 2차 창작물들은 게임의 인기에 비해 상당히 많이 쏟아졌는데, 캐릭터의 외형만 가져다가 2차 창작만 내는 전형적인 [[동인파락호]]들이 유독 많았다. ||<table align=center><table width=600><table bordercolor=#128afa,#2c4c72><nopad> [[파일:BA_일섭3주년총력전액티브.png|width=100%]] || 유저들의 정착률이 상당히 떨어지긴 했지만 꿋꿋하게 서비스를 전개하며 근근이 서비스를 이어갈 정도의 유지는 해 나가며[* 위 그래프상에서 바니 체이서 직전 시즌이 바로 최저점이다. 해당 시즌은 4일간만 개최되는 단기 총력전이었고 신캐도 스토리도 없었던 데다 한 주의 시작이 목요일에서 수요일로 바뀌는 어수선한 시기였다.] 선상의 바니체이서 이벤트를 열었는데 이 때 선보인 바니들은 곧바로 유저수 상승이나 매출 상승까지 이어지진 못했으나 픽시브 등지에서 폭발적 반응을 이끌어내며 블루 아카이브의 인지도를 높이는데 일조했다. 상기한 [[동인파락호]]들이 더욱 많이 유입된 건 당연했다. 이후 업데이트로 일단락 된 에덴조약 스토리가 좋은 평가로 업계의 주목을 받으며 점점 입소문이 퍼지고 코어 유저층을 확보하는데 성공한다. 일본 퍼블리셔인 Yostar의 공격적인 광고 프로모션이나 SNS, 자회사인 Yostar 픽쳐스를 활용한 애니메이션 제작에 아로나 채널 같은 유튜브를 적극 활용한 게임 외적 홍보에도 열을 올려 유저들을 즐겁게 해주었다. 유저 수가 완만히 상승하다가 2022년 7월에는 수영복 한정 시즌과 함께 1.5주년 기념 페스와 100연 무료 이벤트로 신규 유저들을 엄청나게 끌어모아 분위기를 반전시켰으며, 수영복 시즌 종료 직후 생각지도 못했던 메인 스토리 에덴 조약 4장 업데이트는 SNS에서 대반향을 일으키며 신규 유저들을 붙드는데 성공한다. 10월에는 1주년 PV때부터 주목받았던 황륜대제 이벤트와 바니체이서 복각으로 바니걸의 높은 인기를 실감케했으며 황륜대제 이벤트 2부에서는 운영상 큰 실수를 저질러 민심이 악화되었다가 자포자기 보상이라는 대출혈 서비스로 유저를 5만 더 추가하는 대성공을 거두게 된다. 대망의 2주년에는 아키하바라에서의 오프라인 행사와 2주년 기념 방송을 진행하며 염원의 인기 캐릭터 [[미소노 미카]]의 출시와 더불어서 발표된 메인스토리 최종장 업데이트는 고조되고 있던 분위기를 한 번에 크게 끌어올리는 데 성공한다. 4th PV가 굉장히 비장한 내용으로 분위기 있게 잘 뽑혀서인지 큰 관심을 받으며 유튜브 조회수는 순식간에 뛰어올랐고 이를 보고 유입된 유저들도 상당한 등 여러모로 화제를 일으켰다.[* 상기한 4th PV는 프로모션을 감안하더라도 서브컬쳐 게임 PV로서는 거의 드물게 약 1천만 뷰를 넘겼다.] 이를 통해 양스토어 세일즈랭킹 1위를 달성하게 되었고 과감한 최종장의 연속 업데이트로 쾌속 진격을 계속한다. 이후 2.5주년 업데이트로 추가된 [[수영복 히나타]]와 [[수영복 우이]] 한정 픽업 및 [[수영복 하나코]] 페스 픽업에서 또 다시 App Store 1위를 차지했으며, 이용자 수도 크게 늘어 꾸준한 우상향을 보여주고 있다. 타 게임을 오랫동안 전문적이고 중점적으로 하던 일본 쪽의 유튜버들도 넘어오는 진풍경을 연출하기도 했다.[* 주로 시스템이 비슷하기에 상대적으로 입문 장벽이 낮은 [[프리코네]] 쪽에서 건너오는 경우가 다수 있었다.] ||<table align=center><table width=600><table bordercolor=#128afa,#2c4c72><table bgcolor=#ffffff,#2d2f34><table color=#ffffff,#e0e0e0><bgcolor=#128afa,#2c4c72><color=white> '''C103 서쪽 전시동 부스 배치도 (좌측: 서쪽 홀 1 / 우측: 서쪽 홀 2)''' || ||<nopad> [[파일:BA_C103부스배치.jpg|width=100%]] || 2주년 이후 개최된 [[코믹 마켓]] 102(2023년 8월 개최)에서 총 1125개[* 해당 코믹 마켓 게임 장르 중 1위. 코미케에서는 부스들이 한데 모인 곳을 흔히 [[섬]]으로 부르는데, 코미케 당일에는 1위라는 명성에 걸맞게 부스 수가 굉장히 많았던 덕택에 이 방대한 규모를 두고, 아예 [[대륙]]이란 별칭으로 바꾸어 불렀을 정도다.]의 블루아카 작품 부스가 참여하게 되면서 [[2차 창작]] 분야에서도 흥행을 이어나가고 있다.[[https://gall.dcinside.com/m/projectmx/6623166|#]] 한국산 서브컬쳐 게임 중에서는 물론이고 해당 코미케 출전 수 1위를 차지한 매우 압도적인 수준이었고, 코믹마켓 103에서는 단일 IP 기준 참여 서클 수 1위를 [[https://m.gamevu.co.kr/news/articleView.html?idxno=29667|기록하면서]] 독자 코드를 [[https://twitter.com/comiketofficial/status/1682709343505117184?t=Yun2_xQLrzCEwC4qWBVsWw&s=19|부여받았다]].[* 2위는 [[버튜버]], 3위는 [[우마무스메]]다.] 참여 서클 수는 1,718개로 전체 참여 서클 8,480개 중 약 20%에 달한다. 일본에서 해외 IP로 서클 수 1위를 차지한 첫 사례다. 부스 수가 많은 만큼 서1홀을 모두 차지하고, 독자 코드를 발행 받지 못한 기타 온라인 / 소셜 게임들이 배치된 서2홀 역시 1/4 가량 점유하면서 사실상 서쪽 전시동을 대부분[* 서쪽 전시동은 2층에 3, 4 홀도 있지만, 코미케에 쓰이진 않는다. C103은 동쪽 전시동 1~7홀, 서쪽 전시동 1~2홀을 사용한다.] 차지하기도 했다.[[https://twitter.com/yRudolf516/status/1722913570466529626|#]] 일명 '''[[김용하(게임 개발자)#s-3.2.1.1|청계천 범람]]''' 사태.[[https://twitter.com/hoshinoouka/status/1722910552677347746|#]] 이후 다음 코미케 장르 분류에선 게임명으로의 분류 기준을 넘어 아예 '''학원별로 분류'''되는 또 다른 진풍경을 연출하기도 했다.[[https://twitter.com/hitotoserinR18/status/1757274310333669715?t=JkLH-yW6iGY9KP4US2SevA&s=19|#]] 3주년 업데이트 이후에는 서버 입장 대기자수가 10만을 넘는 광경을 보이기도 했다.[[https://gall.dcinside.com/m/projectmx/9540795|#]] 또한 3주년 직후 나온 총력전 참가 인원수가 무려 68 만명을 돌파했음이 알려지며 기존 N주년 때에 비해 더욱 가파른 유저 상승폭을 보여주었다. 모바일 게임은 보통 서비스 초기에 가장 많은 유저수와 가장 높은 매출을 기록한 뒤 이런저런 문제가 발생하고 신선함이 떨어지면서 신작게임에게 뒤쳐지는 게 일상이고 특히 서브컬쳐 장르는 캐릭터들이 쌓여가면서 매력 하락으로 점점 하향세를 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블루 아카이브는 3년이나 됬음에도 불구하고 인기 역주행과 함께 매출 1위를 달성하는 기현상을 보여줬는데 집계하는 방법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최고 DAU는 오픈 초기에 비해 엄청나게 상승했다. 이는 블루 아카이브가 흥행에 성공한 인기 IP로서 자리매김하였음을 보여주는 성과로 평가되며 애니메이션 전개 등 앞으로도 성장의 여지가 남아있기에 더욱 기대를 모으고 있다. 2024년 상반기 기준, 기존에 보여주었던 실망스러움을 극복한 뒤 활로를 찾은 상태이다. 이는 전적으로 1세대 오타쿠들인 개발진이 있었기 때문으로, [[올라갈 팀은 올라간다]]는 사례라고 볼 수 있다. 이후 넥슨의 30주년 게임 영상에서도 모습을 드러냈다. [[코믹마켓]] 104에서는 저번 코미케보다 203부스가 늘어난 1922부스(!)를 기록하며 여전한 기세를 보여주었다.[[https://arca.live/b/bluearchive/108225686?target=all&keyword=코미케&p=1|#]] 다만 게임 내외적으로, 대대적인 제작진 교체, 늘어진 신규 콘텐츠 업뎃 주기, 그리고 [[학원 아이돌 마스터]], [[명조: 워더링 웨이브]] 등 신작들[* 특히 학원 아이돌 마스터의 경우 출시 직후 엄청난 인기몰이를 하는 중이며, 실제로 블루아카를 다루던 창작자 중 일부가 해당 장르로 이탈하기도 했다.] 등 여러 요소로 인해 기세가 한 풀 꺾인 듯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 유저들의 우려를 사고 있다. 추가로 염원하던 애니메이션이 그야말로 대폭사하는 바람에 애니가 방영되는 기간에도 유저가 유입되기는 커녕 오히려 우하향하여 분위기가 침체되었다. 하지만 3.5주년 업데이트 후 다시금 앱스토어 1위를 며칠간 차지하며 여전히 흔들림 없는 인기를 증명하고 유저수도 단숨에 1.5배로 뛰어올랐다. [[코믹마켓]] 105에서는 2290부스를 돌파하며 역대 부스수 9위에 위치했고, 단일 장르 기준으로는 [[동방 프로젝트]] 다음으로 가장 많은 부스 수를 기록했으며[* 1위~8위는 개최 시기만 다른 동방 프로젝트가 기록했다.], 코미케 역사상 5번째로 2000 부스를 넘는 IP가 되었다.[* [[테니스의 왕자]](C66/2128서클), [[동방 프로젝트]](C77/2774서클), [[함대 컬렉션]](C89/2153서클), [[타입문]](C95/2072서클), 블루 아카이브(C105/2290서클).] [[코믹마켓]] 106에서는 105 대비 규모 자체가 축소되면서 1842부스로 절대수치는 크게 감소했지만 비율상으로는 오히려 소폭 증가하며 여전히 저력을 내뿜고 있다.[[https://arca.live/b/bluearchive/138879162?target=all&keyword=%EC%BD%94%EB%AF%B8%EC%BC%80&p=1|#]]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