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블루 아카이브
(r52 문단 편집)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
을 통해 '브루아카' 리다이렉트를 삭제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주딱
의 기분에 따라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주딱
의 기분에 따라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토론
- '브루아카' 리다이렉트를 삭제하기
토론
- '분류:나무위키 블루 아카이브 프로젝트'를 맨 뒤에 쓰기
토론
- 몰루 아카이브. 블아카. 우리 학교 특공대' 리다이렉트를 삭제하기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개발 관련 ==== * 개발 스튜디오 이름도 스튜디오 MX, 게임도 본래는 '프로젝트MX'라는 프로젝트명으로 개발되었다. 게임 내에서도 이 시절의 흔적을 학생에게 주는 선물인 'MX-레이션 C형 디저트 풍미'에서 찾아볼 수 있다. 21년 넥슨 NDC 강연과, 지스타 강연에서 MX의 의미는 [[모에|Moe]] [[엑스컴|Xcom]]이라는 의미라고 밝혀졌다. 즉, 직간접적으로 [[엑스컴 시리즈]]의 [[엑스컴라이크|영향을 받은 것]]. 실제로 게임을 구상하면서 처음 아이디어를 얻은 곳이 [[엑스컴2]]의 미소녀 모드였다고 한다. * 개발단계의 프리젠테이션에서 제시된 인게임 컨셉 목업 이미지 좌측을 잘 보면 [[유니티짱]]의 데포르메 모델링이 있다. 아무래도 유니티 엔진을 이용해서 그런듯. 그런데 이름이 [[하시모토 칸나]]라고 되어있다. 나머지 임시 캐릭터의 이름도 현행 게임에서는 실존하지 않고 그중 숏컷 여학생은 아예 [[하시모토 타카시]]의 이름을 차용했다.[* 사실 하시모토 타카시의 출세작인 With you는 [[노에미]]로 유명했고, With You의 노에미가 인기있던 시절이 2000년 전후, 즉 1세대 오타쿠이던 김용하가 혈기왕성했을 20대 한창일 때의 캐릭터였을테니 그 영향도 없지 않을 것이다.] 칸즈키 안나라는 캐릭터가 중복 편성되었는데 하나는 [[칼라시니코프]] 계열 소총을 쓰고 하나는 [[AR-15]]를 쓰고있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projectmx&no=486449|#]] 자세히 보면 일러스트레이션도 없어서 캐릭터 모델링 확대샷을 포트레잇으로 쓰고 있다. 다만 전투 화면의 뼈대는 이쯤에서 어느 정도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 [[김용하(게임 개발자)|김용하]] 총괄 PD의 인터뷰. 여기서 [[반어법|블루 아카이브는 건전하고 건강한 게임]]이라거나 블루 아카이브는 안전합니다!같은 말이 나왔다. 이후 블루 아카이브의 별명은 '밝고 건전한 게임'이 되었는데, 유저들은 이 표현을 뒤틀어 [[발기|발ㄱ]]고 [[총|GUN]][[戰]]한 게임이라고 셀프디스를 하기도 한다. ||<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128afa,#2c4c72><nopad> [youtube(nAbYPA75ObI)] || * [[즉흥환상]] 김인 前 아트 디렉터의 [[https://www.youtube.com/watch?v=E7I21pI878U|인터뷰]]. 여기서 욕망을 절제하고 만들었다는 이야기가 나오는데, [[시시도우 이즈미/수영복|수영복 이즈미]]나 [[카쿠다테 카린/바니걸|바니걸 카린]], [[아마우 아코|아코]]같은 엄청난 메모리얼들이 공개되면서 일본 내수판은 7세 이용가 드립과 합쳐져서 이런게 절제...? 라며 감탄할 때 쓰인다. * [[isakusan]] 양주영 前 시나리오 라이터의 [[https://www.youtube.com/watch?v=qDD9mNxtRMw|인터뷰]] * 참여한 일러스트레이터는 다양히 있지만 이 중 [[즉흥환상]], [[DoReMi|도레미]], [[Mx2J]], [[9ml]], [[유나물]] 등의 일러레들은 PV 제작 등에도 참여하여 정황상 개발진으로 여겨지며, 즉흥환상의 경우엔 그래픽 파트 팀장인 AD를 맡고 있었으며[* 아트북에 수록된 인터뷰에 따르면 AD [[즉흥환상]]은 2018년 중반기쯤에 개발에 합류했다고 한다.[br][[파일:블루아카pv.png|width=400]]] [[9ml]](본명 김국기)는 당시 아트실 2D 캐릭터팀 팀장을 맡고 있었다. 아트북에서 확인할 수 있는 키 비주얼의 대부분을 [[즉흥환상]]과 [[DoReMi|도레미]]의 태그로 추정되는 Doremsang[* DoReMi + HWANSANG]이 맡은 것이 확인되었다. * 前 아트 디렉터 [[즉흥환상]]이 세션을 통해 2nd PV 제작 스태프를 공개했으며, 애니메이션 PV외의 PV들은 기본적으로 넥슨게임즈 MX스튜디오의 작품이라고 밝혔다.[[https://youtu.be/TVCV5Z29FGM|#]] ||<table align=center><table width=600><table bordercolor=#128afa,#2c4c72><nopad> [[파일:블루아카3rd.png|width=100%]] || 인게임 내에서 3rd PV 제작 스태프를 확인할 수 있다. * 블루 아카이브 개발에 참여했다 퇴사 후 NC소프트를 거쳐 넷마블에 입사한 시나리오 라이터 양영기의 증언에 따르면 게임이 프로젝트 MX라는 가제로 개발중일 때 김용하 PD가 게임 타이틀을 무엇으로 할 건지 묻자 '여고생들이 학원도시에서 총 쏘는 이야기니까 '''우리학교 특공대'''는 어떨까요' 라고 했다가 거절당했다고 한다.[* 명칭의 세련됨과 함축성, 은유성인 표현의 중요 요소 중 일부라고 볼 수 있는 3개가 모두 결여된 환장할 조합인지라 유저들 사이에서는 [[What if|이게 그대로 넘어갔으면 게임성하고 상관없이 그대로 망하지 않았을까]]라는 얘기가 나오기도 했다. 사실 정상적으로 디자인하는 게임이라면 저 타이틀을 그대로 둘 리가 없으므로 반쯤 틀린 소리가 아닐지도 모른다.] [[https://m.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read/62557853|원본글 삭제로 인한 커뮤니티 게시글]] * 2024년 4월 [[박병림]] PD 퇴사 이후, 2024년 5월 MX스튜디오 내부의 조직개편으로 헤드 체제에 변화가 생기며 한때 프로젝트 RX에 신경쓰던 김용하 디렉터가 다시 블루 아카이브의 총괄 디렉터와 개발 PD로 돌아왔고, 기존의 임종규 디렉터, 시나리오 디렉터 [[isakusan]], 아트 디렉터 [[즉흥환상]] 등이 어드바이저로 변경되며 새로운 디렉터가 임명된 것으로 확인되었다.[[https://blog.naver.com/nexongames_inside/223461363150|#]] 이후 어드바이저였던 전임 디렉터 3인도 MX스튜디오를 떠난 것이 확인되었는데, 이들이 먼저 퇴사한 [[박병림]]PD의 [[디나미스 원]]으로 합류한 사실이 밝혀졌고, MX스튜디오에 있던 블루 아카이브의 개발진들 중 일부도 이들을 따라 이탈한 것으로 알려졌다.[[https://news.mtn.co.kr/news-detail/2024081411035063251|#]] 그로 인해 앞으로의 개발 과정에 대한 우려나 퇴사자들에 대한 개인적인 감정[* 링크된 기사에서도 퇴사자들 중 일부가 블아 개발 주역들이 제대로 된 보상을 받지 못했다며 퇴사자를 규합했다고 하거나, 반대로 넥슨게임즈가 퇴사자를 최소화하기 위해 적극 방어에 나서다 보니 디나미스 원이 당초 계획보다 프로그래머 인력 수급에 고전하며 프로토타입 제작이 어려워졌다는 말이 있는 것으로 봐서는 퇴사 후 서로 경쟁 관계가 된 회사 사이의 알력은 어느 정도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넥슨게임즈는 넥슨게임즈 소속일 때 [[V4]]를 개발한 주역들이 퇴사 후 신생 개발사 매드엔진을 설립해 [[나이트 크로우]]를 만들어 성공한 사례가 있다.]을 드러내는 글들이 일부 커뮤니티에서 돌기도 했다.[* 그리고 위에서 언급된 퇴사자들은 이후 스스로와 블루아카 모두에게 [[디나미스 원의 넥슨게임즈 퇴사 선동 및 블루 아카이브 표절 논란|크고 작은 상처]]를 남기게 된다.] 김용하 PD의 [[https://m.sports.naver.com/esports/article/439/0000028951|인터뷰]]에 의하면 최종편 이후 라이브 개발 체제에 있어 세대교체의 필요성이 있다는 인식은 모두가 공유하고 있었지만, 노출하는 과정에서 외부에서 보기에는 개발진이 갑자기 교체된 것처럼 보인 것 같다는 말로 마무리했고 외부의 일부 불미스러운 소문에 대해서는 소문의 출처가 우리 회사나 팀 인원인지도 불분명하고, 재직중이라고 해도 회사의 모든 일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위치에 계셨던 분인지에 대해서도 의문이라는 말로 일축했다. 아울러 개발자 누군가가 빠진다고 해서 게임 개발에 대한 대책이 서지 않는다면 그것은 게임의 상태가 건강하지 않은 것이고, 블루 아카이브는 개발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는 말로 앞으로의 개발 우려에 대해 답했다. 그러면서 개발팀에서는 현재 내년에 선보일 콘텐츠의 리소스를 작업하고 있는 중이고, 내후년 및 그 이후에 대해서도 계획을 세우고 있다는 것을 밝혔다. 다행히 팬덤에서의 우려와 달리 일본 서버 4주년을 기점으로 일섭에서는 확실히 개선된 수준의 업데이트를[* 비인기 캐릭터들의 재조명, 부실했던 서브 스토리 분량을 충족시키더니 '''[[고즈(블루 아카이브)|고즈]]를 사실상 리메이크 하는 등의 개선을 선보였다.'''], 글로벌 서버에서는 PC 클라이언트와 한국어 음성 녹음을 선보이는 등 그간의 개발자 편지가 빈말이 아니였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 [[프로젝트 RX]]의 개발이 시작되면서 넥슨게임즈의 서브컬처 게임 개발의 전문성 강화 등을 위해 '''IO본부'''[* 향후 넥슨의 서브컬처 게임의 개발을 전문적으로 할 것으로 보인다. 본부장은 김용하 PD로 프로젝트 RX와 블루 아카이브의 총괄 디렉터도 겸직한다.]를 설립하였다. 블루 아카이브를 개발 및 유지하는 MX 스튜디오도 서브컬처 게임의 카테고리에 들어가게 되어 '''넥슨게임즈 IO본부''' 소속이 되었다. * 김용하, 안경섭, 차민서가 [[중년게이머 김실장]]에 출연하여 개발 비화를 풀었다. ||<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128afa,#2c4c72><nopad> [youtube(7oo_766en9w)] ||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