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블루 아카이브
(r52 문단 편집)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
을 통해 '브루아카' 리다이렉트를 삭제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주딱
의 기분에 따라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주딱
의 기분에 따라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토론
- '브루아카' 리다이렉트를 삭제하기
토론
- '분류:나무위키 블루 아카이브 프로젝트'를 맨 뒤에 쓰기
토론
- 몰루 아카이브. 블아카. 우리 학교 특공대' 리다이렉트를 삭제하기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게임 설정, 스토리, 세계관 관련 ==== * 블루 아카이브라는 타이틀이 정확하게 무얼 의미하는지 개발진이 직접 얘기한 바는 없지만,[* 아카이브라는 단어는 기록 보관소나 기록물 자체를 의미하기에 직역하면 '푸른 기록 보관소', 또는 '푸른 기록 문서'이다.] 메인 스토리에서 [[아지타니 히후미]]가 학원과 '청춘'의 이야기라는 대사를 할 때 [[루비 문자]]로 Blue Archive가 표기된다. 즉 Blue는 '청춘'같이 밝고 희망찬 것을 의미하며 Archive는 흔적이 있어야 비로소 [[이야기]]라고 할 수 있기에, 청춘 이야기 같이 인연과 추억 같은 테마를 담아내려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인연이란 키워드는 스토리 내에서 중요하게 작용되며, 게임 내에서도 [[블루 아카이브/스토리/인연 스토리#메모리얼|메모리얼]]이란 표현이 쓰이기도 한다. * 한국 게임이라서 그런지 일본문화의 색채가 강한 게임임에도 [[요비스테]]가 거의 묘사되지 않는다. 학생들끼리나 선생이 학생을 호칭할 때도 주로 이름이 나온다. 성을 부르는 경우는 보통 누군가를 소개할 때 풀네임을 잠깐 언급하거나, 격식을 차린 대화, 그리고 서로 사이가 험악한 관계에서만 가끔 쓰이는 정도. 예외로 콜라보 캐릭터인 [[하츠네 미쿠(블루 아카이브)|하츠네 미쿠]]와 [[어과초]] 인물들[* 후자의 경우 키보토스인들이 아닌 일본인들이였으니 당연하긴 하다.]의 경우엔 콜라보 인물들끼리, 그리고 선생이 언급할 때는 요비스테를 썼으며, 모모톡이나 학생부에서도 풀네임으로 나온다. * 학생들의 성씨는 일부 가상의 성씨[* [[리쿠하치마 아루|리쿠하치마]], [[스나오오카미 시로코|스나오오카미]], [[이자요이 노노미|이자요이]], [[나나가미 린|나나가미]], [[이와비츠 아유무|이와비츠]], [[시라누이 카야|시라누이]], [[요자쿠라 키라라|요자쿠라]], [[사이바 모모이|사이바]], [[고료 나구사|고료]], [[나나카도 아야메|나나카도]], [[카와루 시논|카와루]], [[쿠치나시 유메|쿠치나시]], [[코마카제 라브|코마카제]], [[이마시노 미사키|이마시노]].]나 아직 성씨가 밝혀지지 않은[* [[니코(블루 아카이브)|니코]], [[오토기(블루 아카이브)|오토기]], [[쿠루미(블루 아카이브)|쿠루미]], [[코노카(블루 아카이브)|코노카]], [[블루 아카이브/등장인물#더미 데이터|마리아, 로네, 나오 등 5명]].] 학생들을 제외하면 대부분 일본에 실존하는 성씨로 구성되어 있다. [[오노 츠쿠요|오노]]처럼 전국 단위로 집계되는 성씨도 있으나, [[츠카츠키 리오|츠카츠키]]처럼 한 가구 단위밖에 집계되지 않는 희성들도 제법 보이는 편이다. 그래서 가상의 성씨로 여겨졌던 것이 진짜 실존하는 성씨였음이 밝혀지는 경우가 종종 벌어지곤 한다. [[이마시노 미사키|이마시노]]처럼 본래 성씨와 한자가 같음에도 발음이 다르거나[* 본래 발음인 '카이노'는 실존하는 희성이나, '이마시노'는 실존하지 않는다.], [[쿠치나시 유메|쿠치나시]][* 쿠치나시는 '梔子'와 '梔'로 갈리는데, 전자는 가상의 성씨이고 후자는 한 가구 단위로 실존하는 성씨이다.], [[코마카제 라브|코마카제]][* 코마카제는 '河駒風'와 '駒風'로 갈리는데, 전자는 가상의 성씨이고 후자는 실존하는 성씨이다.]처럼 한자 개수에 따라 실존과 가상으로 갈리는 경우도 있다. * 비슷하게 학생들의 이름 역시 일본에 실제로 있을법한 이름이 대부분이다. 그래서 일본 유저들 중에는 가족이나 주변 사람들과 본인의 최애캐의 이름이 겹쳐서 고생한다는 케이스가 종종 있다고. 그래서 너무 있을법한 이름들을 사용하는 것 아니냐는 불만아닌 불만이 나오기도 한다. * 캐릭터가 소지한 총기의 명칭은 상표권 문제 때문인지 직접적으로 언급되지는 않으며, 캐릭터들의 개성 표현을 위해 비교적 대중적인 FPS게임들의 총기 스킨마냥 도색이 하나같이 알록달록하다. [[FOX 소대]]나 [[오쿠소라 아야네]], [[이케쿠라 마리나]]의 총기들처럼 도색이 되지 않은 총기들도 여럿 존재하긴 하다. * 캐릭터의 체력이 다하면 아군의 경우 쓰러지는 게 아니라 어디선가 나타난 헬기를 타고 퇴각하는 식으로 표현되며, 각양각색의 표정을 한 패배 학생들을 헬기로 실어나른다. 흔히 팬덤에서 '헬기 탔다'고 하면 맥락상 아군 유닛의 체력이 다 했다는 소리. 반면 적 캐릭터들은 그냥 쓰러진다. 같은 학생부의 캐릭터라도 적으로 등장하는 경우는 체력 소진 시 다른 적들과 마찬가지로 쓰러진다. * 한국에서 개발되었지만 일본 서버에서 먼저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일본과 관련한 요소는 일부 담고 있으면서도 [[크레이지 택시|한국적 요소를 포함한 배경이나 캐릭터는 없는 게임이다.]][* 예컨대 학교學校를 학원學園이라 부른다든지.] 원래 애초부터 일본을 대상으로 서비스할 목적으로 개발되었기도 하기에 작중 배경에 필요 이상으로 한국적 요소를 넣는 것이 되려 배경 분위기를 망칠 수 있으며, 다른 나라들을 포함해 한국 유저들한테도 책을 잡힐 만한 여지가 충분하기에 굳이 쓰지 않는 것에 더 가깝다고 보는 의견이 많다.[* 일각에서는 혐한 세력의 눈치를 보기에 한국의 문화요소를 넣지 않는다고 보기도 하지만 단순히 나라 눈치를 본답시고 넣지 않았다 하기엔 [[라스트오리진]], [[검은사막]], [[배틀그라운드]] 등 일본인들도 잘만 즐기는 한국 게임도 있으며 라스트오리진에서는 현재도 한복 스킨이 자주 나오고 있고, 검은사막에서는 아침의 나라 스토리를 추가해 한국과 관련한 요소를 가득 채운 컨텐츠가 등장한다. 더군다나 현재 블루 아카이브의 주 이용층은 MZ세대로 이들은 대체로 한국 문화에 익숙하다. 오히려 일본 유저들 사이에서 김용하 총괄PD와 관련된 [[청계천 드립|청계천 밈]]이 생겨나기도 했으며 일본 서비스 초기에는 요스타가 넥슨의 흔적을 지우려 하기도 했으나 현재는 각종 이벤트, 콜라보 일러스트에는 넥슨게임즈 저작권 문구가 요스타에 앞서 표기되며 해당되지 않는 사항이다. 학생들 명칭의 경우 한국만 한해서 이름을 완전히 개명해 바꾸려는 것은 어색하다. 그렇다고 해서 고증에 맞춰 이름을 따로 낸다고 하면 학원간의 통일성이 없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그럴 필요 없이 애초에 본 게임의 학원들이 [[게헨나 학원|독일을 모티브]]로 했건, [[트리니티 종합학원|영국을 모티브]]로 했건, [[산해경 고급중학교|중국을 모티브]]로 했건 모티브가 된 국가와는 상관없이 소속 학생들이 전부 일본식 이름을 가지고 있기에 한국 테마 학원이 나와도 마찬가지로 일본식 작명을 쓰면 되는 문제이기는 하다.] 일부 계층은 이런 행보에 아쉽다는 반응을 보이기도 하지만, 해당 주제는 대개 분탕용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흔한 탓에 커뮤니티에서 배척되는 대표 주제 중 하나이기에 언급에는 주의하는 것이 좋다. 대신 일부 밈적 요소와 한국 내 사건들이[* [[보배드림 옥수수 사건]], [[브라운더스트|진짜 갓겜입니다]], [[해물비빔소스]], [[케장콘|하지만 이렇게 간단히 피했습니다]], 그리고 [[내가 고자라니]]를 필두로 한 백병원과 야인시대 관련 묘사 등.]나 무기 및 장비류[* 게헨나 학원 교실 배경의 [[K2 소총]], 수영복 미야코가 사용하는 드론의 베이스로 추정되는 RQ-102K 참매 등.]를 비롯한 소소한 곳[* 그 밖에 키보토스의 전경을 보면 서울특별시의 모습과 비슷하고 편의점인 앤젤24가 한국 편의점 [[GS25]]에서 모티브를 따온 것으로 묘사된다.]에 한국 요소가 포함된 경우가 있다. * 비슷한 맥락으로 한국 서버 오픈 전 인터뷰에서 원래 김용하 PD는 한국어의 경우 자막으로만 지원하고, 음성은 일본어 그대로 적용하겠다는 발언을 한 바 있다. 그러나 본래 개발진들이 가지고 있던 일본 서버와의 '동일한 경험'이라는 기조가 게임 서비스 과정에서 틀어지기 시작하고, 중국 대륙판의 중국어 음성 지원 등의 이슈가 생겼으며 이 과정에서 개발진들 역시 한국 유저들과의 소통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한국어 음성 음성 녹음을 추가하기로 마음을 바꾼 뒤 [[키보토스 라이브]]를 통해 한국어 음성 녹음을 발표했다. 발표 이전의 한국어 음성 녹음 떡밥의 경우도 비슷한 취급을 받았었고, 그렇기에 키보토스 라이브 방송에서 4th PV 공개와 동시에 한국어 음성 녹음이 등장했을 때 대부분의 한국 블루 아카이브 커뮤니티가 과열되기도 했다. 그러나 PV 공개 직후 김용하 총괄PD의 발표로 한국어 음성을 강제하지 않고 기존의 일본어 음성도 선택할 수 있게 해두었으며, 개발에 지장을 주지 않기 위해 적용 예정 시점을 2024년 하반기로 넉넉하게 잡아 떡밥을 잠재우고 호평을 받았다. 그 결과 아직 일본어 음성 녹음을 바라는 일부 유저들이 있긴 하지만, 한국어 음성 녹음을 한 것 자체에 대해 불만을 표출하는 유저들은 많이 줄어들었고 있어도 [[참으세요 미노타군|억지 떡밥 및 분탕]] 취급을 받게 되었다. * 게임 배경 요소의 모티브로 차용한 것 같다는 이야기를 자주 듣는 작품이 [[어떤 시리즈]][* 학원도시라는 기본 배경, 기독교를 메인으로 하는 실존 종교 모티브, 학생들만이 초인적인 전투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점, 날뛰는 불량학생들과 그들을 상대하는 학생들로 구성된 치안유지조직, 모든 학교들이 합동으로 개최하는 대규모 운동회, 학생들을 실험대상으로 착취하는 연구조직이 주요 적대세력으로 등장하는 등의 공통점이 있다.]와 [[걸즈 앤 판처]][* 각 학원들이 특정한 국가를 테마로 하는 독자적인 사회로 표현되는 점, 그러면서도 교직원들은 거의 등장하지 않고 학생들이 직접 운영하고 있는 점, 학생회가 그런 사회의 지도자 그룹으로 나오는 점, 학생들의 소지 무기가 소속 학원별로 생산 국가가 통일되어 있는 점, 전쟁 병기로 싸우면서도 절대로 다치지 않는다는 설정, 폐교를 막기 위해 분투한다는 초기 에피소드 등의 공통점이 있다. 그외에도 [[아지타니 히후미]]나 [[렌카와 체리노]] 등 몇몇 캐릭터들의 컨셉이 걸판의 등장인물과 비슷하다는 이야기도 있다.]인데, 실제로 이 두 작품은 [[김용하(게임 개발자)|김용하]] 총괄 PD가 기획단계에서 참고로 했다고 강연에서 증언한 적이 있으나 지금에 와서는 많이 변했다고 덧붙였다.[[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projectmx&no=8105863|#]]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