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블라디미르 레닌/생애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젊은 혁명가 == 레닌은 1895년 4월부터 9월 사이에 다른 [[마르크스주의]]자들과 접촉하려고 [[프랑스 제3공화국|프랑스]]·[[독일 제국|독일]]·[[스위스]]를 여행했다. 그러나 그해 12월에 《노동자의 대의》라는 신문을 준비하는 도중에 비밀경찰에 체포되어 1897년에 [[시베리아]]로 유배되었다. 1898년에는 시베리아에서 함께 유배된 [[나데즈다 크룹스카야]]와 결혼했으며, 1899년에는 그의 주요 저서인 《러시아 자본주의의 발달》을 집필했다. 유배에서 풀려난 레닌은 1900년 독일로 망명, 이 와중에 국가 [[고등고시]]에 수석으로 합격해 [[변호사]] 사무실에 취직하기도 했다.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의 기관지인 《이스크라(불꽃)》를 같은 해 12월 말 창간하여 편집자로 활동한다. [[마르크스주의]] 최초의 정치 신문인 《이스크라》는 러시아 지식인을 혁명 운동으로 포섭하고 [[마르크스주의]]자들을 규합해 사회민주노동당을 만드는 데 목적이 있었다. 또한 이스크라 편집진과 함께 마르크스 이론을 다루는 신문 《자랴(여명)》를 발간했다. 1902년에는 당 조직에 대한 자신의 사상을 정리해 《무엇을 할 것인가》를 집필했다. 한편 1903년에 열린 제2차 당대회에서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은 당원 자격을 둘러싸고 레닌이 주도하는 파와 [[율리 마르토프]]가 주도하는 파로 분열되었다. 최초의 분열은 앞에서 말한 기관지 《이스크라》의 편집진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발생했다. 이후의 [[볼셰비키]]와 [[멘셰비키]]의 전략적 대립과는 전혀 다른 양상으로, 그저 편집진의 구성에 있어서 이견이 있는 정도였고 볼셰비키와 멘셰비키의 구분 또한 명확하지 않았다. 이 과정에서 레닌의 편집진 구성을 지지하는 사람이 약간 더 많아서 레닌파가 '다수파(большинство)'라는 의미의 '''[[볼셰비키]]'''(большевики), 마르토프파는 '소수파(меньшинство)'라는 의미의 '''[[멘셰비키]]'''(меньшевики)로 규정되었다. 그리고 이것이 오늘날까지 공식 용어로 굳어져버렸다. 다만 이는 어디까지나 선전용 용어였고 실제로는 1917년 4월까지 멘셰비키가 근소하게나마 우위를 점하고 있었다. 구체적인 사회주의 건설 전략에서 견해 차이가 생기면서 레닌과 마르토프의 대립은 격화되었는데, 마르토프는 [[카를 카우츠키]]가 집대성한 정통 마르크스주의에 따라 부르주아 혁명으로 봉건제가 타도된 이후 정치권력과 경제적 주도권을 부르주아에게 이양하여 [[자본주의]]가 충분히 성숙한 후에 사회주의 혁명을 일으켜야 한다고 보았다. 반면, 레닌은 봉건제를 타도하고 자본주의 사회로 이행하는 것이 선결조건임에는 동의하나 정치권력과 경제적 주도권을 모두 부르주아에게 맡겨두면 노동자 계급에 대한 탄압이 격화되고 혁명의 원동력 자체가 소멸될 수도 있다고 보고 경제적 주도권은 부르주아에게 넘기되, 정치권력은 프롤레타리아 당이 갖고 있어야 한다고 보았다. 이렇듯 전략적 견해의 차이가 있다 보니 레닌파는 당원 자격을 소수의 직업 혁명가로 제한하길 원했지만, 마르토프파는 입당 자격 제한을 낮추는 등 대중 정당을 추구했다. 볼셰비키와 멘셰비키의 분열은 처음에는 전혀 심각한 대립이 아니었으나 이후의 논쟁을 거치면서 당내 파벌 수준을 넘어 실질적으로 다른 당이라고 할 만큼 갈라서게 되었다. 후술하겠지만 레닌의 파는 같은 당의 분파인 [[멘셰비키]]는 물론, 농민들의 열렬한 지지를 받는 인민주의 정당 사회혁명당에 비해서도 세력이 약했다.[* 이 당시에는 [[레프 트로츠키]]도 멘셰비키에 있어 레닌의 각종 논리를 공격하고 있었다.] 원칙적인 부분에서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이 대중적인 정치 정당이 되어야 한다는 데는 볼셰비키들도 동의했다. 허나 왜곡된 러시아의 현실에서 이미 민중이 [[혁명]]으로 달음박질하고 있는데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이 언제까지고 대의제적·의회적 정당 타령이나 하고 앉을 수는 없으니, 하루 빨리 민중의 움직임에 동조할 수 있는 혁명의 선봉으로써 훈련된 혁명가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혁명 조직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 레닌을 필두로 하는 볼셰비키들의 생각이었다. 이른바 '혁명 [[뱅가드|전위]]당' 이론이다. 그런데 이게 멘셰비키/볼셰비키의 입장 차이 전부는 아니고... 볼셰비키가 대중 정당이 아닌 전문적 혁명가 중심 정당을 요구한 이유 중에는 당시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이 탄압의 대상인 불법 정당이었다는 점도 있었다. 언제 당원들이 체포당할지 모르는 상태에서 규모가 큰 대중 정당을 만들면 유사시 당 간부들이 몸을 숨기는 것도 불가능하고, 당내의 비밀 유지도 힘들며, 가족과 생활이 있는 대중 당원들로서는 탄압에 저항하기도 힘든 것이 현실이라고 생각했던 것이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