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부산광역시/문화
(r2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사투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동남 방언)] 시대의 흐름에 따른 인식 변화[* 사투리를 쓰면 촌스럽거나 나이 들어 보인다는 부정적인 인식이 점점 강해지고 있다.]로 인하여 전국적으로 [[사투리]]가 소멸되어 가고 있지만 젊은 사람들의 사투리 구사율은 [[충청도]] 등 타 지역 대비 높은 편인데, 방송에서는 지역색을 강조하기 위해 젊은 사람들도 노인들처럼 사투리를 심하게 쓰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부산 현지인들은 '젊은 사람들이 사투리를 심하게 쓰니까 애늙은이 같고 어색하다', '오글거린다' 등의 반응을 보인다. [[제빵왕 김탁구]]나 [[욕망의 불꽃]]에서 주조연 연기자들이 한 사투리 연기는 본고장 사람들이 들으면 모두 실소를 금치 못할 엉터리였다. 이것은 연기파 배우로 명성이 자자한 [[이순재]]나 [[신은경]]도 마찬가지였다. 반면에 영화 [[친구(영화)|친구]]는 거의 싱크로율 100%에 가까울 정도로 잘 만들어졌다.[* 부산 출신인 [[곽경택]] 감독이 실제 자전적 스토리를 가지고 직접 연기지도를 하는 탓도 있고(대사를 감독이 직접 녹음해서 주연 배우인 유오성, 장동건에게 듣고 익히게 했다고...), 중간에 등장하는 영어선생은 바로 양중경 진인사필름 대표다!] 이건 같은 감독의 [[사랑]]도 마찬가지, 영화 [[바람(영화)|바람]] 또한 싱크로율 100%로 출연자들도 대부분 부산출신이고 친구가 조금 과장하는게 없지 않아 있으나 바람같은 경우는 완벽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드라마 [[응답하라 1997]]도 어느 정도 싱크로율이 높은 편. 부산 사투리의 특징은 성조가 있다는 점. 모음을 'ㅏ,ㅣ,ㅜ,ㅔ,ㅗ'로 변환 가능하다는 점, 말의 축약이 많다는 점, 사투리가 매우 심한 [[노인]]들은 된소리(쌍자음, 이중모음) 발음이 잘 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다만 60대 이하 정도는 된소리 발음 잘 된다.] 예를 들어 쌀을 살로 발음한다든가 예(yes)를 에로 발음한다. 참고로 정승이란 단어는 서울과 부산사람이 서로 혼동하는 발음이 나므로 주의해야 한다. 서울사람이 정승이라 하면 부산사람은 정성이라 알아듣고 부산사람이 정승이라 하면 서울사람은 정성이라 알아듣는다.[* 서울과 달리 부산에서는 성조로 구분하는데서 오는 해프닝이다.] 사실 [[경상도]] 자체가 [[소백산맥]]으로 한국 다른 지방과 지형적으로 고립되어 있기 때문에 방언이 심한 편이다. [[동남 방언]]은 [[표준어]]에 비해 억양의 높낮이가 훨씬 크므로 사투리를 감추려고 해도 특유의 높낮이가 티가 난다. 대체로 다른 지방 출신에 비해 경상도 출신이 서울에 갔을 때 사투리가 쉽게 고쳐지지 않고 중장년층이 될 때까지 입에 남아있는 경우가 많은 것도 이 때문.[* 그래서 사투리 교정을 위한 스피치 학원에는 경상도 사람들이 절대다수를 차지한다.] 고치기도, 따라하기도 어려운 사투리이다 보니 반대로 다른 지방 출신이 경상도 사투리를 연기하면 어색한 경우가 많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