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벽람항로/해역
(r2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제 14장 수리가오 야전 == 2021년 10월 21일,[* 한국 서버 한정으로는 10월 28일.] 13지 추가로부터 오랜 공백을 깨고 마침내 추가되었다. [[레이테 만 해전#s-4.4|수리가오 해협 해전]]을 배경으로 한 스테이지다. 이를 모티브로 삼은 야간전을 치르게 되며, 이에 맞춰 '''악천후'''라는 컨셉 하에 새로운 기믹들이 적용되어 있다. * '''은폐''' * 아군의 전열 함대와 잠수함을 중심으로 보라색 점선의 원 모양의 은폐 범위가 표시되며, 적함들은 은폐 범위 내의 무작위 지점을 향해 공격을 한다. * 은폐 범위는 전열 함선의 수와 기동(회피) 수치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제작사에서는 회피가 높은 구축함의 편성을 권장하고 있다. * 은폐 범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축소되어 가며, 은폐 범위가 사라지면 여타 해역 전투에서처럼 전열함대를 조준하여 적의 공격이 날아온다. * 화면상의 적들을 모두 처치했을 때 전열함대가 조명탄 범위 내에 있지 않을 시 일시적으로 은폐 범위가 소폭 회복된다. * 적 함선의 은폐의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은폐 게이지가 점차 떨어져가며, 이를 아군의 명중 스탯이 높을수록 게이지 감소 속도를 가속시킬 수 있으므로, 기본 명중 스탯이 높은 함선을 채용하거나 명중 스탯을 크게 올려주는 장비[* 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대공포(STAAG, 해즐미어)와 레이더 장비(SG 레이더, 고성능 사격 통제 레이더, FuMO 25) 등]를 여럿 끼워주면 효과를 볼 수 있다. * 특히 레이더 계열 장비는 장착 시 '''명중 스탯과 별도로''' 적 함선의 은폐 게이지 감소 속도를 추가로 가속시킨다. 해당하는 장비들 중 상시로 획득이 가능한 장비로 FuMO 25(코어 상점), 대공 레이더(2-3, 2-4), 고성능 대공 레이더(연구), 화기 관제 레이더(4-3, 10-3), 고성능 화기 관제 레이더(연구), SG 레이더(6-1, 10-2)가 있다. * 14-4 해역에서는 해무(안개)가 끼어있는데, 이 해무 속에서는 아군과 적군 쌍방의 은폐 범위 및 게이지의 감소 속도가 통상보다 천천히 떨어지게 된다. * 아군 전함에게도 항모와 마찬가지로 '발각 게이지'가 붙게 되어 지원 포격을 실시하거나 스킬을 발동시키면 게이지가 상승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감소한다. * '''조명탄과 탐조등, 그리고 등대''' * 필드에 탄약 보급과 비슷하게 조명탄 보급 칸이 등장하며, 조명탄을 획득한 다음 전투 3회 동안 전열함대가 전투 중 조명탄을 던지게 된다. [[센다이(벽람항로)|센다이]]의 스킬처럼 조명탄이 켜지고 그 범위 내의 적은 은폐가 풀리게 된다. 물론 센다이의 스킬 역시 보급 조명탄과 똑같은 효과를 갖는다. * 신규 적 유닛으로 탐조등을 켜고 돌진하는 양산형 카게로급 구축함이 추가되었다. 탐조등은 아군의 은폐를 무효화시키며, 일정 거리를 이동하고 잠시 멈춘 뒤 몇 초가 지나면 '''전방에 실드를 깔고''' 그대로 후열로 돌진하는데, 돌진할 때의 속도도 상당히 빠를뿐더러 실드때문에 전함들의 부포도 잘 안먹히는데다가 구축함이니만큼 자폭선보다 훨씬 높은 내구(14-4 기준 약 10,900)를 자랑하므로 전열의 어뢰로 컷해주는 것이 좋다. 이 유닛의 존재 탓에 맵을 쓸어버리는 특수탄막을 보유한 함선들이 크게 활약한다. 이 유닛을 컷하지 못하고 후열 통과를 허용하면 후열에 가해지는 피해가 엄청나므로 이들이 등장하는지 주의깊게 보다가 나타나면 최대한 빠르게 부숴야한다. * 적 유닛들 중에서는 조명탄을 쏘아올리는 몹도 등장하며, 탐조등 및 조명탄 범위 내에서는 아군의 은폐가 무효화된다. 둘 다 붉은빛 에어리어로 표시되어 플레이어의 것(노란색)과 구별되므로 육안으로 식별이 용이하다. * 필드에는 등대가 존재하며, 이를 점령하면 아군에게 탐조등 지원 효과가 부여되어 일정 범위 내 적들의 은폐를 무효화시킨다. 다만 14-3과 14-4 해역에서는 등대에 접근하려면 반드시 길을 막고 있는 대형 정찰함대를 격파하고 지나가야만 한다. 등대는 한 번 점등시키고 나면 해역 클리어 시점까지 기능한다. 14-2 해역에는 등대가 없다. 클리어 이후 주회모드를 발동한 상태에서는 등대로 가는 길을 막던 대형 정찰함대가 등장하지 않는다. 방공함, 수리함 같은 특수 유닛이 등장하는 것은 14지 역시 마찬가지이나, 적 항모는 등장하지 않으므로 그만큼 제공치에 따른 난이도 변화는 크지 않다. 다만 지휘함이 13지에서 항공모함으로 등장했던 것과는 달리 여기서는 전함으로 등장하여 후열로 포격을 발사해대며, 여기에 자폭선이 재등장하고 심지어 14-3, 14-4에서는 정찰함대와 전투시 잠수함들까지 줄지어 등장하기에 대잠까지 신경써줘야 한다. 이들도 자폭선, 자폭특공 구축함들과 마찬가지로 후열에 닿을 시 끔찍한 수준의 자폭피해를 입히는데다가 구조신호 해역들의 잠수함과는 다르게 내구도가 상당히 높기 때문에 쫄팟은 최소한 2명정도의 구축함/경순양함이 각자 헷지호그 박격포와 개량형 폭뢰 T3를 들고 있어야한다. 제공 요구치의 경우 13장보다 덜할 뿐이지 적 항공전함의 수상기들 역시 틈틈이 날아드므로 색적치 요구치를 만족시키는 선에서 최대한 충족시키는 편이 좋다. 보스전에서는 공통적으로 자폭특공 구축함들과 자폭선들은 물론 후소급 전함이 쉴새없이 리젠되면서 후열로 지속적인 포격을 가하기 때문에 이를 공습으로 노리고 컷하기보단 가능한 한 빠르게 보스를 처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포격으로 인해 후열은 화재 대미지를 지속적으로 입기 때문에 전함에 비해 다소 내구가 후달리는 항모의 경우 강화 유압 조타기 혹은 소화기가 사실상 필수.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