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벽람항로/해역
(r2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제 13장 풍운의 마리아나 하 == 제 12장에 이어 [[필리핀 해 해전]]을 배경으로 한 스테이지다. 그 중 "마리아나의 칠면조 사냥" 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샌디에이고(벽람항로)|샌디에이고]]의 무대'''[* 칠면조 사냥 때 미함대에 폭격하러 온 일본 함재기들이 헬캣에 격추되지 않은 나머지는 대공포화에 죄다 갈려나간걸 생각하면 고증에도 맞아 떨어진다고 볼 수 있을듯. ] 2019년 3월 22일 업데이트 후 추가된 해역. 중국, 일본, 그리고 한국 서버 모두 동시에 해금되었다. 설명에 앞서 이 해역에 대해 3줄로 요약한다면, '''1. 적이 아군함대처럼 튼튼하고 강력한 함재기를 날리고,[br]2. 아군함대처럼 대공포격으로 아군의 함재기를 갈아버리며,[br]3. 아군함대처럼 버프와 힐을 건다.''' 새로 생긴 적 지원함과 제공권 시스템, 더욱더 악랄해진 함재기들과 보스 패턴 때문에 난이도가 끔찍해서 원성을 듣는 중. 안전해역 을 만들기 전까지는 만랩함대로도 손컨이 필수이다. 끝까지 클리어했다는 유저도 적지 않으나 도중에 막혀서 도움을 청하거나 포기했다는 사례도 꽤 있다. 13장부터 출현하는 지원함은 3종류로, 다음과 같다. * 방공함: --이곳은 비행 금지구역입니다-- 양산형 취급이라 계속 리젠되며, 2기가 있으면 아군 항모는 데미지를 주는 게 불가능할 정도로 무지막지한 대공 능력을 자랑한다. 1기만 있어도 전투기와 폭격기에는 큰 데미지를 줄 수 있어 방공함을 철거하기 전에는 항모로 데미지 줄 생각은 안 하는 게 좋다. 추가로 미드아머 타입에다 항모에게서 받는 데미지는 1/8로 줄여서 받는 특성이 있어, 중순포나 어뢰 혹은 전함포로 파괴하는 것을 추천. 뇌격기는 그래도 터지기 전에 투하는 한다. 보스방 등에서는 한번 잡아놔도 다시 등장하기 때문에 깜짝 대공에 아군 함재기가 뿅 하고 사라지기도 한다. * 수리함:호위함대와 같이 출현하는 A형은 어뢰정과 비슷한 크기에 반해 적 엘리트 함선을 넘는 막나가는 내구를 가지며, 3초마다 모든 함선의 내구를 10% 회복시켜서 빨리 철거하지 않으면 전투가 굉장히 길어지게 된다. 보스전에는 S형 수리함도 출현하는데, 보스의 내구가 80% 이하로 감소하면 20% 회복시키는 능력을 가져 나오자마자 죽이지 않으면 이를 갈게 될 것. 보스가 있어도 사쿠라 뇌격기와 전함포의 표적이 될 정도로 우선순위가 높은데, 경장갑이라 철갑포로는 데미지를 거의 줄 수 없기에 주의를 요한다. * 지휘함:공격력 상승을 비롯한 버프를 걸어주는데다 어뢰에 공습까지 날린다. 3만이라는 말도 안 되는 떡대에 헤비아머 타입이라 죽이는 것도 고행. 주력 함대의 공격이나 어뢰 없이 잡는 건 불가능에 가깝다. 게다가 쏴 대는 함재기의 양도 장난이 아니라서 후열함들의 내구도를 크게 깍아 먹는다. 타카오급을 포함한 중순양함 네임드 캐릭터들에게 전열함들을 상대로 전함마냥 유탄포를 쏴날리는 패턴이 추가되었는데, 여러발을 줄지어 발사하므로 주의. 보고 피하기는 쉽지만 기존의 전방주포 및 어뢰 발사 패턴도 함께 사용하니 경계할 필요는 있다. 또 구축함 등이 노란색 길쭉한 유탄 덩어리들을 던져대는데--고속유탄발사기-- 이것도 중순포에 못지않게 아프다. 특히 바닥에 표시도 안해주고 쏴대는 직사포라 가까이 갔다가 맞으면 경순/구축은 한방에 갈수도 있으니 주의. 항공 함대도 매우 악랄해졌는데, 중형 항모만 해도 히요 준요가 12-3 마냥 함재기를 무한히 소환해서 후열에게 만만치 않은 데미지를 주고, 대형 항공함대는 벌떼마냥 함재기가 쏟아지는지라 안전해역이 아니라면 잠수함 없이는 상대하지 않는 게 상책. 이전처럼 한 편대가 5/6대인 수준이 아니라 편대 자체가 6/12/15대가 한 편대로 편성돼서 나온다. 그 편대가 동시에 3~8편대가 날아오니... 내 전열함 위치가 공격기에 묻혀서 안보이는 수준. 한번 공습해서 살아남은 함재기는 다시 적 뒤쪽에서 나오는 시스템이므로 함재기 정리가 빠르게 안되는 조합이라면 누적되어 깔려죽기 전에 해상병력을 그냥 항공세력을 무시하고 때려잡아 클리어해버리는게 낫다. 어차피 공격기들의 공격은 피하지도 못하니 탱킹력으로 맞아주고 해상병력의 어뢰와 중순포를 항공세력의 시야방해를 뚫고 보며 피해야한다. 안전해역 상태라도 여러 항공함대를 상대하는 건 피하는 편이 좋다. 소형 항공함대는 중, 대형에 비해 함재기가 덜 날아오지만, 대신 마지막 웨이브에서 이전 해역들에 비해 훨씬 강력해진 [[무츠(벽람항로)|무츠]]가 등장해 공습으로 함포 공격을 컷하지 못할 경우 후열이 불타버리기 때문에 공습은 충분히 아껴둬야 한다. 어떤 의미에선 함정이라면 함정. 적 함재기가 끊이지 않고 나오기 때문에 대공이 트리거인 스킬을 가진 캐릭터들의 가치가 떡상한다. 15기 잡는 트리거 등도 전투 시작 후 10초만에 켜지기도 한다. 대형 주력 함대는 12장과 비슷하게 무츠 한마리만 출현하는데, 소형 항공 함대처럼 함재기는 적어서 수동으로 한다면 후열에 피해 없이 클리어할 수 있다. 전반적으로 잡몹 난이도는 항공함대>주력함대>>>정찰함대 순이며 중형 항공함대가 대형 정찰함대보다 훨씬 어려울 정도니 피해를 최소화 하고 싶다면 가능한 한 정찰함대 위주로 노리는 것이 좋다. 다만 2022년 3월 시점, 그동안 상당히 강력한 스킬과 성능을 가진 함선들과 장비의 등장으로 파워인플래가 발생하여 현재는 편성만 잘한다면 120레벨이라도 13-4까지 어렵지 않게 클리어가 가능해졌다. 더구나 키워놓은 120함선들이 많은 유저일수록 함대 전체의 추가스탯을 지원하는 장전작 등의 효과가 커져서 125가 아니더라도 클리어할 수 있다. 2023년 10월 12일[* 한국 서버 한정으로는 10월 26일] 하드 모드가 추가되어 현재 하드 모드 최종 지역이다. 노멀과 달라진건 제공권 확보 최대가 위험해역 '''4500 이상''' 이라서 보통 우세가 될텐데[* 별 수와 상관없이 100% 클리어를 하면 제공권 확보 최대치가 내려가서 제공권 확보 최대치를 채울 수가 있게 되어서 난이도가 체감될정도로 쉬워진다.], 비행기가 쏟아지는건 변함이 없기 때문에 항공피해가 정말 엄청나다. 대형 항모는 웬만하면 피하는게 좋고 최대한 비행기를 격추시켜야 하는 만큼 방공을 나가지 않는 로켓탄 전투기등은 사용을 안하는게 낫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