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벽람항로/함선
(r2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선봉함대(전열) ==== 함대를 편성할 때 전방에 위치하는 함선. 전열이 전멸하면 즉시 패배한다. (연습전은 예외) 선봉함대의 종류에는 구축함/경순양함/중순양함/대형순양함/운송함이 있지만, 운송함의 경우 개체수도 쓰임도 거의 없고 대형순양함은 중순양함과 동일한 쓰임새를 가지는 일종의 업그레이드 버전이므로 실제로 플레이할 땐 주로 구축/경순/중순 3종류로만 구분한다. * 구축함 전열의 딜러. 최대 체력은 낮지만 빠른 항속과 높은 기동수치(회피), 어뢰 공격력, 발사속도가 특징인 함종. 기본제공하는 스타팅 3종도 각각 구축함의 특징을 장점으로 내세우고 있다.[* 아야나미는 어뢰 공격력, 라피는 속사, 재블린은 기동] 시스템상 구축함은 무조건 어뢰를 장착하게 되어있고, 그만큼 강력한 어뢰특화 함선또한 많아서 보통 구축함 하면 어뢰딜을 자주 떠올린다. 하지만 반대급부로 기본 체력이 상당히 빈약해서 어지간한 기동 특화 함선이라도 진짜배기 탱커 전열함에 비하면 탱킹 성능은 다소 손색이 있다. 하드해역의 뇌장/기동컷 담당. 적으로 만날 경우 주포는 고폭탄이, 설비는 어뢰딜을 줄여주는 방뢰 벌지가 상당히 유용하다. * 경순양함 전열의 올라운더. 중간급 항속/체력/사속을 지녔다. 보통 대공이 강력한 편이고 헬레나같은 고성능 서포터도 있긴 하지만, 올라운더가 보통 그렇듯이 딜은 구축에게 밀리고 탱은 중순/대형순에게 밀려서 대공이나 특이케이스 한 둘을 제외하면 22년 11월 현재 최종지역 기준으로는 써먹을 곳이 마땅치 않은 상태. 다만 대공이 중요한 12~13지, 그리고 15지에서는 방공에 뛰어난 경순양함이 활약할 여지가 많다. 2번째 장비슬롯에 어뢰를 낄 수 있는 경우 어뢰경순, 구축함 주포를 낄 수 있는 경우에는 부포경순이라고 부른다. 이는 중순도 마찬가지. 구축함과 함께 몇몇 예외를 제외하면 경장갑인 함종이므로, 고폭탄으로 타격할 때 철갑탄보다 훨씬 데미지가 많이 박힌다. 어려움 해역의 대공 스탯 상한 입장컷 담당이고, 어뢰경순은 구축함과 함께 뇌장컷을 맡기도 한다. * 중순양함 전열의 탱커. 느린 항속과 낮은 기동/높은 체력/강한 한 발을 가졌다. 기름 소모량과 항속에 예민하던 시절에는 기름은 많이 먹으면서 공속은 약하고 얻어맞기만 잘 한다고 잘 안 키웠으나, 점점 전열에 가해지는 화력과 명중률이 강해지고, 중순의 낮은 기동을 커버해줄 장비도 등장한 데다가, 연료 문제도 해결되면서 전열의 든든한 선봉 담당으로 자리매김했다. 다만 중순양함 탱커 국밥인 포틀랜드의 개장 성능이 상당히 좋아서, 포틀랜드改 이상의 중순양함을 원한다면 선택지가 많이 없고, 그마저도 대부분 한정건조나 특별계획함에 쏠려있어서 건조에서 중순양함을 뽑아도 편성에 있어 큰 이득을 보는 경우가 잘 없다. 중형 장갑(미들아머)를 차기 시작하는 함종으로, 경장갑인 런던이나 몇몇 R/N급 중순을 제외하면 철갑탄이 고폭탄을 이기는 스타트라인이기도 하다. 어려움 해역에선 전함 다음가는 포격 스탯 입장컷 담당이기도 하다. * 대형순양함(초갑순양함) 대형순양함은 24년 12월 기준으로 연구나 한정건조,이벤트로만 얻을 수 있고, 칼라 이데아스를 제외하면 전부 UR 등급에 준한다. 해당 함선으로는 [[크론시타트(벽람항로)|크론시타트]], [[아즈마(벽람항로)|아즈마]], [[에기르(벽람항로)|에기르]], [[브레스트(벽람항로)|브레스트]], [[칼라 이데아스(벽람항로)|칼라 이데아스]], [[괌(벽람항로)|괌]]이 있다. * 운송함 [[카시노(벽람항로)|카시노]] 항목 참조. 전용 설비인 '적재' 장비에 따라 함대에 다양한 버프를 부여할 수 있지만, 비슷한 수준의 버프를 주면서 딜까지 가능한 상위호환 함선들이 워낙 많아 거의 쓰이지 않는다. * 범선(전열) 전열함대에 배치 가능한 범선으로, 주무장은 구식 중화포와 같은 범선 전용의 주포. 범선 주포만을 연사하여 딜을 넣는다는 특성상 부포경순과 비슷한 느낌으로 운용할 수 있지만, 장비 가능한 설비의 종류에 제약이 아주 크다는 불리함을 안고 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