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벽람항로/시스템
(r2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편성과 진형 === * 편성 || 후열(주력함대) || ④ ||<bgcolor=#ffff00> ⑤ || ⑥ || || 전열(선봉함대) || ① || ② || ③ || 함대를 편성할 땐 전열함 최소 1척과 기함(⑤번 자리에 배치된 함선)이 있어야 한다. 기함이 된 함선은 경험치 보너스를 받지만, 파괴되면 다른 함선의 체력 상태와 관계없이 곧바로 패배하게 되는 위험한 자리이기도 하다. ④번은 필드 아랫쪽, ⑥번은 필드 윗쪽에 배치된다. ① ② ③은 순서대로 선봉/중간/마지막으로, ①번자리는 당연히 제일 많이 얻어맞으니 단단한 함선 위주로 배치하고, 필드 내에서 항상 전진만 할 수는 없는 관계로 ②번자리보다 ③번자리가 더 많이 얻어맞는 편이다. 따라서 셋 중에 제일 내구가 불안한, 또는 오랫동안 살리고 싶은 함선이 보통 ②번자리에 배치된다. * 진형 해역 공략 중이라면 화면 왼쪽위에 현재 진형이 표시되며, 오른쪽 중간의 화살표를 눌러 나오는 슬롯에서 진형을 바꿀 수 있다. ||<width=140px> 단종진 ||<|2> 기본적으로 설정되어있는 진형이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진형. || || 포격/뇌장 +15% [br] 기동(회피) -10%[*전열 전열함 한정] || || 복종진 ||<|2> 내구도 보충이 필요한 상태일 때 가끔씩 쓰이는 진형. [br]단종진과 비교했을 때 전열의 기동이 40%p나 상승해 안정성 상승 체감이 매우 크다. [br]전열 체력관리가 불안한 경우 써볼만한 진형. || || 포격/뇌장 -5% [br] 기동(회피) +30%[*전열] || || 윤형진 ||<|2> 대공용 진형. 함재기만 나오는 12~13지역에선 유용하나 평소에는 크게 사용할 일은 없다. || || 대공+20% ||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