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벤조디아제핀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종류 == 대한민국 국내 승인이 없는 경우 ^^{{{#yellow '''▲'''}}}^^로, 승인 후 전건 취하된 사실이 확실한 경우 '''†'''로 표기한다. * '''벤조디아제핀류(Benzodiazepines)''' * 디아제팜(Diazepam) 상품명: 바리움(Valium®, 로슈)[* "발륨"이라고 쓸 수 있겠지만 공식 한글 상표명은 바리움이다.] [[불면증]], [[불안장애]] 치료제로 많이 쓰인다. 그 외 구토나 구역질 등에 진정제로 사용되기 때문에 내과와 가정의학과에서도 처방 빈도가 꽤 높다. [[항경련제]] 및 근육이완제로도 자주 처방된다. 그래서 [[뇌전증/증상#s-2.3|뇌전증지속증]](발작이 5분 이상 지속되는 증상)의 응급약으로 페니토인과 함께 사용하고, 그래도 효과가 없을 시 페노바르비탈을 투여한다. [[WHO 필수 의약품 목록|WHO 필수 의약품]] 중 하나로 올라가 있다. 1세대 벤조디아제핀인만큼 북한 등 의료환경이 열약한 지역에서도 구하기 쉽다. * 클로르디아제폭시드(Chlordiazepoxide) 상품명: 리브리움(Librium®, 로슈), 리버티(Liberty®, 환인제약) 최초로 개발되고 상품화된 벤조디아제핀. 반감기가 최대 30시간에 달하는데다 대사되면서 나오는 데스메틸디아제팜(desmethyldiazepam)이 최대 200시간에 달하는 반감기를 갖기 때문에 초장시간 작용제로 분류된다. 저역가인데다 반감기가 지나치게 길어 현재는 다른 벤조디아제핀 약제에 밀려 잘 사용되지 않으며, 그나마 불안장애의 치료 또는 다른 벤조디아제핀의 의존증 치료용으로 주로 쓰인다. * [[로라제팜]](Lorazepam) 상품명: 아티반(Ativan®, 웨스트워드)[* 원래는 미국 화이자 사(구 와이어스)에서 개발되었으며 한국에서는 일동제약에서 제조, 판매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항목 참고. * 멕사졸람(Mexazolam)'''†''' 상품명: 멜렉스(Melex®, 알프레사), 세독실(Sedoxil®, BIAL PHARMA), 메리움(Melium®, 한화제약) 항불안제로 불안, 긴장, 우울, 쉬 피로감, 강박, 공포 및 수면장애에 사용되는 약이다. 한국에서는 한화제약의 메리움정 0.5 mg 정제와 1 mg 정제가 있었는데 1 mg 정제를 2010년경에 자진취하하고 0.5 mg 정제도 2019년경에 자진취하했기 때문에 더 이상 생산되지 않는다. 반감기는 60~150시간이다. * 미다졸람(Midazolam) 상품명: 도미컴(Dormicum®, 로슈)[* 한국에서는 2007년경 환각 등의 부작용과 오남용 문제로 정제의 경우 공급 중단되어 주사제만 공급되고 있다.] 수면마취제로서 주사제로 주로 쓰인다. 로라제팜보다도 효과가 매우 강하며, 일반인들은 보통 [[수면 내시경]]을 할 때 [[프로포폴]]과 이것 중 하나를 접하게 될 것이다. 또한 뇌전증 발작의 진정, 응급 심장율동전환(DC cardioversion) 시 마취에도 사용한다. 디아제팜, 로라제팜과 함께 엄청 흔히 쓰이는 벤조디아제핀 3신기. [[WHO]] 필수 의약품 중 하나로 올라가 있다. * 브로마제팜(Bromazepam) 상품명: 렉소탄(Lexotan®, 로슈) [[불안장애]] 치료제로 널리 쓰인다. * 페나제팜(Phenazepam)^^{{{#yellow '''▲'''}}}^^ 상품명: 페나제팜(Феназепам®, Valenta Pharm), 펜지타트(Фензитат®, Tatchempharmpreparaty) 1970년대 소련([[우크라이나 SSR]])에서 개발되어 21세기에도 구소련권에서 [[불면증]] 및 [[불안장애]], [[알코올 의존증]] 치료제로 널리 쓰인다. 대한민국에서는 2016년에 독일의 신종향정신성물질법(NpSG) 개정을 근거로 임시마약류 2군으로 지정된 적이 있으나 이후 다른 벤조디아제핀계와 같은 분류인 향정신성의약품 라목으로 재분류되었다. 러시아에서는 페나제팜을 상품명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https://minzdrav.gov.ru/ministry/61/10/gosudarstvennaya-farmakopeya-rossiyskoy-federatsii-xv-izdaniya|러시아 연방 국가 약전 제15개장(ГФ РФ XV)]]에서는 브롬디히드로클로로페닐벤조디아제핀(Бромдигидрохлорфенилбензодиазепин; ФС.2.1.0072)이라는 일반명으로 수재되어 있다. * 히다제팜·기다제팜(Hidazepam·Hydazepam·Gidazepam)^^{{{#yellow '''▲'''}}}^^ 상품명: [[https://mozdocs.kiev.ua/likiview.php?id=42694|히다제팜 IC]](ГІДАЗЕПАМ ІС®, Interchem), 기다제팜(Гидазепам®, Valenta Pharm), 디아미다제팜(Диамидазепам®, Dalkhimfarm) [[https://www.elibrary.ru/item.asp?id=23352881|소련 말기인 1990년대에 개발]] 및 승인되어 주로 우크라이나를 비롯한 구소련권에서 [[불면증]] 및 [[불안장애]], [[알코올 의존증]], 심혈관질환 치료제로 쓰인다. 반감기가 86.7~87.7시간으로 매우 길다. 대사물질인 데스알킬히다제팜(데스알킬기다제팜)은 브로모노르디아제팜(Bromonordiazepam)이라는 별명이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2023년 10월 9일 스위스의 마약류목록조례(BetmVV-EDI) 목록 e(목록 a의 마약 관리 조치가 적용되는 마약 및 향정신성물질에 관한 연방법 제 7조 1항에 따라 마약과 유사한 효과가 의심되는 원자재 및 제품) 지정에 근거해 2023년 11월 16일부로 대사물질인 데스알킬히다제팜(데스알킬기다제팜)과 함께 임시마약류 2군으로 지정된 상태다.~~한소수교도 소련붕괴도 30년이 넘었는데 이제서???~~ 우크라이나에서는 서방 국가와 같이 히다제팜을 일반명으로 간주하지만 러시아에서는 상품명이기 때문에 러시아에서 일반명으로 가리킬때는 히드라지노카르보닐메틸브로모페닐디히드로벤조디아제핀(Гидразинокарбонилметилбромфенилдигидробензодиазепин)이라는 이름을 쓴다. 히다제팜 개발에 관여한 우크라이나의 선발품 제약회사 인테르힘(인터켐) 관계자 4명이 [[페트로 포로셴코]] 대통령으로부터 2017년 우크라이나 과학기술상(Державна премія України в галузі науки і техніки 2017 року)을 수여받았다. * '''니트로벤조디아제핀류(Nitrobenzodiazepines)''' * 니메타제팜(Nimetazepam)^^{{{#yellow '''▲(?)'''}}}^^ 상품명: 에리민(Erimin®, 스미토모파마), 라볼(Lavol®, Kimia Farma) 일본에서 수면제로 개발되었으나 작용기전이 알코올과 비슷해 남용의 위험성이 비교적 큰 의약품이다. [[빨간약]](赤玉)이라는 별명을 이 의약품이 가져갈 정도. 2015년 11월부로 생산이 중단되었다. 라볼은 인도네시아의 국영 제약회사인 키미아제약에서 생산하며 말레이시아에서도 승인되어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습관성의약품관리법이 현행법이던 1979년 11월 5일에 시행령 법제2조제1항제4호[* 향정신성의약품 다목과 라목에 해당하는 약물이 지정되어 있었다.]에 해당하는 습관성의약품에 추가되었다. 정황상 한번 승인이 났다가 오남용 우려로 취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 니트라제팜(Nitrazepam)'''†''' 상품명: [[https://pdfs.doctorsnews.co.kr/1969/19690310/19690310_06.pdf|모가돈]](Mogadon®, 로슈), 벤자린(Benzarin®, 시오노기제약) 수면제로 개발되어 1960년대 대한민국에서 종근당이 로슈의 모가돈을 총판한 적이 있으나 1996년 5월 1일부로 보험급여에서 삭제되었다. 일본에서는 시오노기제약이 벤자린을 생산하고 있다. * 클로나제팜(Clonazepam) 상품명: 리보트릴(Rivotril®, 로슈, 체플라팜) [[간질]]발작 치료용으로 처음 개발되었으나 이후 [[불안장애]]와 초기 [[공황장애]]의 치료제로도 많이 쓰인다. 진통제로도 꽤 쓰인다. 유소아에게도 투여가 가능할 정도로 안전성 하나는 끝내주게 입증된 약물이라고 알려져있으나, 부작용이 2500여건이 넘을정도로 많은 사례가 있다. 가장 많은 부작용으로는 불안과 이명, 인지장애, 불면증. 뇌내 [[세로토닌]] 대사를 감소시켜 세로토닌 농도를 늘리는 것이 확인되었다.[* [[SSRI]]와는 기전이 다르다. SSRI는 세로토닌 수송체에 개입해 재흡수를 억제하지만 클로나제팜은 세로토닌의 대사를 직접 억제한다.] 미국에서는 클로노핀(Klonopin®, 체플라팜)이라는 상품명이 더 유명하다. * [[플루니트라제팜]](Flunitrazepam) 상품명: 로히프놀(Rohypnol®, 로슈, 에자이), 루나팜(Lunapam®, 명인제약), 라제팜(Razepam®, 환인제약) 강력한 중장시간 작용 [[수면제]]로, 데이트 강간 약물로 불리기도 한다. 약효가 지나치게 길고 남용의 위험성이 큰 약이라 한국을 비롯한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절대 1차적으로 처방하지 않고 졸피뎀, 트리아졸람 등에 내성이 생긴 환자에게 최후의 수단으로써 처방되며, 미국에서는 FDA에서 허가를 내리지 않아 불법 약물로 취급된다. 그 외 영국과 스페인 같은 국가에서는 한때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시장에서 퇴출되었다. * 플루토프라제팜(Flutoprazepam)'''†''' 상품명: 레스타스(Restas®, 머크, 일본제네릭) 스미토모에서 항불안제로 개발되었으며 반감기가 무려 60~190시간에 달하는 초장시간 작용제다. 일본 국내에서는 남용 우려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향정신성의약품 지정 없이 전문의약품으로 남은 특이한 이력이 있었으나 원료 제조사인 오카미 화학공업이 2021년 3월 행정처분을 받아 결국 2022년 7월부로 생산중단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1993년 2월 4일 [[삼아제약]]에서 승인을 받은 적이 있으나 취하되었다. * '''트리아졸로벤조디아제핀류(Triazolobenzodiazepines)''' * 알프라졸람(Alprazolam) 상품명: 자낙스(Xanax®, 화이자), 자나팜(Zanapam®, 명인제약), 알프람(Alpram®, 환인제약) [[불안장애]]와 [[공황장애]] 치료용으로 자주 쓰이며, FDA에서 발표한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벤조디아제핀계 신경안정제이다. 동시에 또 가장 많이 남용되는 약물들 중 하나이고 한국에는 최대 1 mg짜리 용량의 알약밖에 없으나 미국에는 2 mg를 4개로 쪼갤 수 있는 막대 모양의 약도 있다.[* 원래 한국에서도 0.8 mg와 2 mg가 있었으나 각각 1995년 5월 1일, 1998년 5월 1일 보험급여에서 삭제되었다.] 다른 벤조디아제핀과 마찬가지로 복용시 나른해지기 때문에 수면제로 쓰이기도 하지만 이건 오프라벨(off-label) 용법이다. 서방형 제제인 자낙스XR정도 있지만 한국에서는 비급여이다. * 트리아졸람(Triazolam) 상품명: [[할시온]](Halcion®, 업존), 졸민(Zolmin®, 명인제약), 트리람(Triram®, 환인제약) 대표적인 단시간 작용 [[수면제]]로, [[불면증]]에 많이 쓰인다. 지속시간이 짧아 기상 이후 졸리지 않다는 장점이 있으나 200 μg 남짓의 극소량으로도 강력한 효과를 발휘하는[* 보통 0.125 mg, 0.25 mg의 두 가지 정제가 존재한다.] 고역가 약물인데다 의존성이 강해 한국에서는 최대 3주까지만 처방이 가능하며, 그나마 [[졸피뎀]]이 등장한 이후부터는 처방 빈도가 많이 줄었다.[* 그런데 최근 졸피뎀이 처방이 쉽다는 이유로 대표적인 오남용 의약품이 되며 식약처에서 규제를 강화하는 추세에 들어가며 오히려 트리아졸람이나 플루니트라제팜의 처방이 다시 늘고 있다.] 원본 할시온정을 비롯해 제네릭 제품들도 공통적으로 새파란 색의 자그마한 알약[* 일본에서는 에리민정(니메타제팜)을 '빨간약(赤玉)'으로 부르듯이 할시온정을 '파란약(青玉)'으로 부르기도 한다.]으로 한번 보면 잘 잊혀지지 않는 형태를 하고 있는데,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이런 눈에 확 띄는 형태가 환자의 약물의존에 관여한다고 주장하는 경우도 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