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버츄얼 유튜버/포크
(r1 문단 편집)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
을 통해 문서 상단에 설명을 위한 이미지를 '파일:키즈나 아이.png'와 '파일:high quality hololive members.png'를 사용.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주딱
의 기분에 따라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주딱
의 기분에 따라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토론
- 문서 상단에 설명을 위한 이미지를 '파일:키즈나 아이.png'와 '파일:high quality hololive members.png'를 사용.
토론
- 대한민국 버튜버 문단에 일부 인터넷 커뮤니티의 버튜버에 대한 거부감 서술, 인터넷 인기글 근거로 서술 및 관련 링크 기재, 해당 부분만 NPOV 적용.
토론
- '한국의 버츄얼 유튜버 시청자들이 볼만한 일본 버튜버가 없다고 느낀다'는 내용을 삭제.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활동 === 기획사 소속이라도 회사 방침에 따라 활동하는 방향성이 나뉘는데, [[MCN]]으로 개인 방송에 간섭하지 않고 법적 보호만 해주는 경우도 있고, [[연예 기획사]]처럼 자본 지원, 철저한 일정관리, 활동 제한이 있는 경우도 있다. * 영상 콘텐츠 유튜브에 업로드 되거나 생방으로 진행하는 콘텐츠는 게임 플레이와 잡담, 노래 등이 있다. 지상파 방송 포맷을 차용하기도 하며, 오리지널 기획 방송이나 정기적으로 라디오 등을 진행하기도 한다. * 연기자와 캐릭터 아바타를 사용한 시연자가 [[성우|직접 목소리를 담당]]한다.[* 보통 일반인이나 무명 성우를 쓰는 경우가 많지만 YUA처럼 [[미카미 시오리|프로 성우]]를 쓰는 경우도 있으며 [[VOICEROID]], [[CeVIO]]와 같은 프로그램을 쓰는 경우도 있고, 본인이 직접 목소리를 내되 보이스체인저를 사용하여 출력되는 목소리를 실시간으로 바꾸는 경우도 있다.] 때문에 시청자는 강한 [[성캐일치]]를 경험한다.[* 일반적으로 의미하는 [[아이돌물]]의 성캐일치와는 개념이 비슷하면서도 다르다. 아이돌물의 성캐일치는 이미 정보가 드러난 [[성우]]를 캐릭터와 일체화시키면서 성우 개인의 특징과 캐릭터의 특징이 상호 교류되는 방식이다. 서로 다른 존재인 성우와 캐릭터 사이에서 성우가 캐릭터의 요소를 흡수해 성우의 특징이 되기도 하고, 캐릭터에 성우의 요소를 흡수시켜 새로운 캐릭터성으로 편입시키기도 한다. 반면 버튜버의 성캐일치는 일반적으로 안의 사람이 드러나지 않으며 안의 사람의 활동 또한 캐릭터의 명의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안의 사람이 드러내는 특징 자체가 그대로 연기하는 캐릭터의 특징이 된다.] 예전에는 캐릭터 연기를 중요시 여기는 경향이 있었지만 상당히 자유로워진 편이다. 방송이 진행될수록 캐릭터가 바뀌는 경우가 많은데, 그런 요소마저 캐릭터 성격의 하나로 보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기업세가 개인세가 되어 아바타가 완전히 바뀌서도 이전의 인기를 그대로 따라가는 사례가 상당히 많다. 결국 본질은 방송인이라는 것. * 대표적인 사례가 홀로라이브 EN 2기의 [[하코스 벨즈|벨즈]], [[오로 크로니|크로니]]는 캐릭터 설정[* 원래 캐릭터 설정은 벨즈의 경우 혼돈, 크로니의 경우 쿨 뷰티]과 달리 방송에서의 행적 때문에 성격이 점점 변하더니 이내 완전히 반대[* 벨즈의 경우 질서, 크로니의 경우 허당. 엄밀히 말해서 이쪽이 진짜 본인의 성격에 가깝다. 이런 사례는 꽤 많은 편이며 데뷔 1년 후 자신의 첫 방송을 돌아보는 컨텐츠에서 너무 컨셉에 충실하려는 자신의 모습을 부끄러워하는 경우가 많다.]가 되어버렸지만 오히려 인기를 끌었다. 애초에 시청자들은 캐릭터를 보고 시청한 것이 아닌 내면의 인물을 바라보거나 캐릭터와 내면의 인물을 동일시하며 시청한 것이기 때문이고, 본질적으로 방송이 재미있었기 때문에(=내면의 사람의 실력에 의존하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벌어진 것이다. 홀로라이브에서 [[졸업(버츄얼 유튜버)|졸업]]한 인기 멤버에 다른 성우를 기용하지 않는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 반면 이러한 점을 전혀 캐치하지 못하고 똑같은 캐릭터를 4명이 출연시킨 [[키즈나 아이]]는 성우 다변화 이후 순식간에 몰락하고 만다.[* 정확히는 1세대 버튜버 특성상 성우 한 명으로는 컨텐츠를 많이 만들 수 없으니 성우를 여러 명 기용한 것이고 실제로 담당 성우가 꽤 과로를 했었다고 한다. 여기까지는 그래도 일부 이해하는 분위기였지만 여러 키즈나 아이를 동시에 출연시키자 더 이상 키즈나 아이는 아이돌 같이 팬들이 애호할 수 있는 단독 인물이 아니게 되었고 이후 여러 무리한 사업 끝에 upd8은 파산하게 된다.] [[게임부 프로젝트]] 역시 성우 교체 이후 구독자 수가 이틀만에 약 3만명이 감소했으며, 만 단위의 싫어요 폭격을 받았다. 물론 [[세아 스토리]]처럼 2번이 바뀌어도 5년간 잘 운영된 예외도 있다. * 버츄얼 유튜버는 방송인이 일상생활과 다른 [[페르소나]]를 장기간 [[RP|연기]]한다는 점에서 연극 배우와 비슷하다 할 수 있다. A 연극에서 B 캐릭터 연기를 했던 배우가 나중에 C 연극에서 D 캐릭터 연기를 할 때 왜 B같이 연기를 안하냐고 따지지 않듯, 방송인과 명의상 활동하는 캐릭터 아바타는 다른 존재로 간주된다. 시청자에게도 버튜버 캐릭터를 연기자 본인과 별개의 존재로 간주하는 것이 예의로 여겨지고, 그 버튜버가 새 명의의 버튜버로 [[환생]]했다는 사실(속칭 [[빨간약(버츄얼 유튜버)|빨간약]])을 알더라도 이전 버튜버와 별개로 간주하는 것이 예의로 여겨진다.[* 다만 최근에는 환생하는 방송인이 많아져서 이미 알 사람들은 다 아는 공공연한 비밀이 되어 잘 지켜지진 않는다.] * 캐릭터 연기의 분업화 생방송 진행, SNS 관리 등 활동 분야마다 실제 연기하는 사람이 다른 경우도 존재한다.[* 목소리, 게임플레이, 트위터 등의 활동 영역을 전부 다른 사람이 담당하는 것이다.] 주로 기업형, 게이머형 유튜버에서 발견되는 경향이 있다. 다만 이 스타일은 특성상 논란이 될 수 있다. 일반적인 PvP게임에서 대리를 사용했다면 게임 계정이 정지를 먹을 수 있는 심각한 어뷰징 행위이기 때문에 최근에는 게임을 분업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물론 [[모에미 & 요메미#요메미|요메미]]처럼 의외로 게임 실력이 진짜였던 경우, [[전뇌소녀 시로]]처럼 입담으로 메워서 게임을 잘하는 인상이 되어버린 경우도 있고 아즈림처럼 실제 배우가 업무상의 불합리한 부분을 트위터로 폭로해 버려 연기자도 직접 작성하는 트윗도 있던 게 나중에 밝혀지는 경우도 있다. [[키즈나 아이]]는 게임을 못하는 실황으로 유명해서 이 형편없는 실력이 절대로 [[대리]]일 리가 없다는 안타까운 신뢰를 받기도 했다. * 공연과 아이돌 활동 규모가 큰 회사일수록 소속 버튜버들을 가수나 아이돌처럼 활동시키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공연 티켓을 팔고 각종 굿즈를 낼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이 방식은 단점이 있는데 상대적으로 본업인 방송이 소홀해질 수 있다는 점과, 필연적으로 다른 전업 아이돌과 춤 및 노래 실력이 비교당하게 된다는 점, 그리고 실제 사람이 드러나지 않는 이상 누군가가 대리로 노래를 부르거나 춤을 춰도 관객은 알 수 없다는 점이 있다. 특히 한국의 경우 과거부터 [[립싱크]] 등이 많아 아이돌을 정직하고 엄격한 잣대로 평가하는 분위기가 강했고, 일본처럼 성장형 아이돌이 아니라 처음부터 완성형인 아이돌을 원하는 분위기가 강했다. 이는 태생상 아마추어일 가능성이 높은 버튜버들이 프로급의 실력을 갖추어야 한다는 말이 되고, 이는 아이돌이 연습생 시절부터 수년간 훈련을 받아도 실력이 떨어진다고 비판받는 현실에 비춰보면 사실 불가능에 가까운 것이다. 그럼에도 워낙에 앞서 말한 공연 티켓과 굿즈 장사가 이득이 크다보니 독이 든 성배인 걸 알면서도 소속 버튜버들을 아이돌로 포장하려 시도하는 경우가 계속 나오고 있고, 관련 논란도 계속 나오고 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