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민주집중제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긍정론 === 긍정론에서는 위에서 인급한 [[신좌파]]의 전통을 흡수한 민주집중제를 이야기하는 것일 뿐 [[이오시프 스탈린|스탈린]] 시대의 민주집중제를 이야기하는 것은 아니라고 한다. [[대한민국의 진보정당|한국의 진보 정당]] 내부에서는 '과도한 평당원 민주주의, [[직접민주주의]]적 강박이 당을 말아먹는다'라는 [[비판]]이 흔히 나오고 있다. 이러한 반발이 [[카리스마]]적 [[리더십]]에 환상을 지닌 민주집중제 지지론자들의 의견일 뿐이 아니느냐는 의심스러운 시선도 있지만, 저런 식으로 [[민주주의]]보다 [[리더십]]을 강조한 것은 전통적인 [[사회주의자]]들이 아니라 [[사민주의]]자들이었다. 원래 의미의 '민주집중제'가 어떤지를 떠나서, [[2000년대]] 이후 지금까지 [[진보정당]]들 내에서 통하는 '민주집중제'는 오히려 일반적인 [[의회민주주의]]의 기준보다 더 엄격하고 [[직접민주주의]]적 요소가 강한 민주주의로 해석하는 것이 옳다. 굳이 '민주집중제'라는 표현에 왜 집착하는가 하는 의문이 들 수도 있는데, [[자본주의]] 국가 내의 [[의회민주주의]], 부정적인 표현으로는 [[부르주아]] 민주주의와 의도적으로 구별을 두기 위해서라고 보면 된다. 이는 [[근로자]] 대신 [[노동자]]를 의식적으로 선호하고, [[국민]] 대신 [[인민]]을 선호하는 것과도 마찬가지이다. [[2010년대]] 현재 전세계 어디를 가도 좌익 정치세력은 이렇게 자체적인 좌익 문화와 이에 수반한 고유 명사, [[민중가요]], 구호 같은게 줄줄이 따라온다. 저런 자기들이 좋아하는 고유 명사에 좀 집착한다고 해서 헌정 질서를 직접적, 불법적으로 파괴하려고 하는게 아닌 한 딱히 제재할 근거는 없다.[* 전 세계적으로 좌파 정치 세력들은 직간접적으로 [[소련]] 시절과 그 이전 국제 [[혁명]] 운동, 단체와의 역사적 계승을 크게 중시한다. 90년대 [[탈냉전]] 시대 이후 국제 [[좌파]] 세력이 몰락을 겪는 와중에서도 명맥을 어찌 유지하여 [[2000년대]] 후반 세계적 경제 위기 후 여전히 활동하는 사회주의권은 미국식 주류 중도좌파 [[자유주의]], 대중적 진보 정치와의 선을 확실하게 긋기 위해 저런 [[20세기]] 초중반 국제 사회주의 혁명 시절의 상징에 더 집착하는 면이 있고, 민주집중제나 노동자 정당 같은 용어를 강조하는 건 이런 [[정체성]] 확인의 일면이다.] 그리고 오늘날 [[진보정당]]에서도 주류가 되어가는 [[사회자유주의]]자 내지 [[사민주의]]자들은 의회주의 원칙에 충실한, 리더십 있는 정치인관을 더 선호한다. 물론 진보정당 내부에서 [[패권주의]]가 없다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그게 제도 자체가 비민주적이어서 그렇게 되었다고 보기는 힘들다. 오히려 정당 내 주요인사들에게 좌지우지되고, 평당원의 힘이 거의 없는 여야 정당들을 보자면, 부정적인 의미의 '민주집중제'는 [[진보정당]]보다 주요 정당들이 더 철저하게 실현하고 있다(...). 60%의 찬성으로 통과한 법을 나머지 40%의 [[국회의원]]을 지지한 사람들도 따라야 하는 것은 일반적인 민주주의도 마찬가지이며 민주집중제에 한정된 비판점이 아니다. 게다가 사후통제 제도가 미비한 것은 모든 대의민주주의가 오래 전부터[* [[장 자크 루소|루소]]부터가 그랬다.] 비판받아 온 레퍼토리이기도 하다. [[소비에트]] 시절의 민주집중제로 표현되는 것은 분권보다 중앙집권을 강조하는 강조점의 차원이라고 보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굳이 따지자면 [[고대 로마]]에서 위기사태를 대처하기 위한 [[독재관]]의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물론 결국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추구하는 것은 그 다음 단계로 나아가서 [[국가]]와 [[군대]]가 소멸되는 이상향에 도착하기 위한 수단이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고 [[권위주의]], [[전체주의]], [[독재]]로 변질되어 버리고 말았다. 물론 이는 현실에서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추구하는 국가들이 하나같이 자본주의와 자유 민주주의 경험이 전혀 없거나 미약한 사회를 바탕으로 들어섰기 때문이긴 하지만, 그 때문에 현대 한국사회에서는 극소수 스탈린주의 광신도들 말고는 아무도 스탈린식 '민주집중제'를 옹호하는 사람은 없게 되었다. [[국가]]와 [[군대 무용론|군대]] 대신 자치 공동체를 강조하는 [[아나키즘]]과의 접목도 그러한 것을 극복하기 위해 시도되고 있다. 또한 과거나 현재 [[권위주의]]적 정권 하에서 활동하는 단체들은 [[비밀결사]]의 성격을 띄기 때문에 민주집중제적인 성향을 띄는 것이 불가피하기도 했다. 물론 이것을 현재에도 적용하려고 하면 시대착오적이라는 비판을 피할 수 없을 것이다. 실제로 [[노동자연대|다함께]] 등의 단체는 여전히 [[패권주의]]나 지도부의 [[권위주의]], 내지 [[엘리트주의]]적 관점에서 민주집중제를 [[교조주의]]적으로 적용하려 하기 때문에 여러 비판을 받고 있다. ~~맨날 하는 말이 비슷해~~ [[대한민국]]의 [[정당]]으로 따지자면 옛 [[진보신당]]이나 [[사회당(1998년)|사회당]]이 이러한 이론을 지지하는 정당이었다. 즉 레닌까지의 이상론을 의미하는 것이지 스탈린 이후의 [[독재]]의 정당화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물론 당장 그러한 이들 내에서도 온갖 논란과 비판의 대상이 되는 것이 레닌이며, [[마르크스-레닌주의]] 시절에 이미 독재체제로의 씨앗이 뿌려져있었던 만큼, 정당지도자들이 이상한 마음을 먹기 시작하면 큰일날 일을 주장했다는 것은 변함없는 사실이다. 저런 [[신좌파]]적 이론을 지지하는 이들은 [[노동자연대|다함께]]나 [[통합진보당 비례대표 후보 부정경선 사건|통합진보당 사태]]로 대표되는 [[권위주의]]적 좌파들을 '겉으로만 아닌 척할 뿐, 실제로는 [[스탈린주의]]자들'이라고 인식한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