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28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문화방송/로고
(r16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5세대 초기형 (2005. 1. 3. ~ 2011. 12.) ==== ||<tablebordercolor=#ff0000><bgcolor=#000000><table width=600> {{{#FFF 상표 영문}}}[br]{{{-2 {{{#FFF (2005년~2011년)}}}}}} ||<bgcolor=#000000> {{{#FFF 상표 국문}}}[br]{{{-2 {{{#FFF (2005년~2011년)}}}}}} || ||<width=50%><bgcolor=white,#1c1d1f> [[파일:MBC 로고(2005-2011).svg|width=65%&theme=light]][[파일:MBC 로고(2005-2011) 화이트.svg|width=65%&theme=dark]] ||<width=50%><bgcolor=white,#1c1d1f> [[파일:MBC 국문 로고(2005-2011).svg|width=65%&theme=light]][[파일:MBC 국문 로고(2005-2018) 화이트.svg|width=65%&theme=dark]] || * 사용 기간: [[2005년]] [[1월 3일]] ~ [[2011년]] [[12월 31일]][* 화면 우측 상단의 워터마크 한정으로는 2005년 1월 3일부터 6일까지 4일간 사용한 후 2005년 1월 7일부터 5세대 개량형 로고로 바뀌었다. 2012년 이후로는 MBC 공식행사 등에서는 사용하지 않고 비공식적인 단체 행사에서만 사용되었다.] (약 7년) [youtube(kAVWNDHIE94)] 위 동영상은 2004년 12월 15일부터 2005년 로고 변경 초기까지 쓰인 티저광고 등 영상 모음집으로, 티저광고 배경음악은 [[Lemon Tree]]. 티저광고 속 아역 모델은 배우 [[서신애]]였다.[* <MBC CI 개정 백서(2005)> 참고.] iMBC 홈페이지에서는 2005년부터 진행되는 이벤트들의 홍보 배너에 선행 사용되기 시작했다. [[https://imnews.imbc.com/replay/2005/nwdesk/article/1936215_30781.html|2005년 1월 2일, 뉴스데스크를 통해 CI 교체를 단신으로 보도하였고]], 1월 3일부터 방송 화면에도 새 로고가 노출되면서 본격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단, [[iMBC]] 홈페이지에는 2005년 7월 31일까지 4세대 로고와 혼용하여 사용했다. 당시 [[박혜진(방송인)|박혜진]] 앵커의 단신 보도에 따르면 B에 새겨진 '빨간 네모'는 시청자와의 쌍방향적인 대화와 모든 콘텐츠를 포괄적으로 상징한다고 설명하고 있으며, 교체 당일 가진 NEW MBC 선포식에서 [[이긍희]] 당시 대표이사가 밝힌 바에 따르면 인터넷의 발달과 케이블 채널의 성장에 따른 다매체 시대에 발맞춰 공중파 채널 이미지를 탈피한[* 상기하였듯 4세대 로고와 함께 사용된 심볼 마크는 안테나가 전파를 송신하는 모양새를 표현하고 있어 아날로그 시대 내지는 UHF, VHF 안테나로 방송을 시청하곤 했던 브라운관 시대에 국한되는 듯한 시각적 한계로 인지했던 듯 하다.] 콘텐츠 중심의 종합 미디어 그룹으로 도약하고자 하는 의도가 담겨있다고 한다. 이와 같은 취지와 슬로건이 현재 MBC 홈페이지의 회사 소개에도 설명되어 있는 점과 이후 2010년도의 스마트폰의 발달에 따른 인터넷의 활성화, 2020년도의 [[유튜브]]와 OTT의 발달로 지상파 3사의 위상이 과거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점을 생각해보면 미래를 내다본 로고였던 셈. 로고가 적용될 당시 '[[https://mdg.ca/|MDG]]'라는 [[캐나다]] 컴퓨터 조립 업체의 로고 디자인을 표절했다는 의혹이 [[https://blog.naver.com/morandesign/40009341539|인터넷에서 떠돌았다.]] 이에 MBC 측에서는 [[https://blog.naver.com/morandesign/40009419363|표절이 아니라는 의견을 밝혔다.]] 다만 논란을 의식해 색상을 변경하거나 레드박스를 없애는 등의 여러 방안을 검토하였는데 결국 공식 로고 자체는 초안 그대로 적용하였으며, [[https://blog.naver.com/morandesign/40009483466|2005년 1월 7일부터 방송 화면에 송출되는 워터마크에 한해 레드박스를 제거하였다.]] 로고 적용 당시에는 워터마크에도 레드박스가 있었다. 로고 변경 후 1월 3일 방영된 [[https://imnews.imbc.com/replay/2005/nwdesk/article/1936180_30781.html|뉴스데스크에서 확인 할 수 있는데]], 이 레드박스가 시선을 분산시킨다는 지적을 받자 변경한 것. 그런데 레드박스를 없앴더니 'M'''D'''C'같이 보인다며 MBC가 방송국 이름을 바꾼 줄 알았다는(...) 비아냥도 오갔다. 이 로고의 폰트는 'MBC logo 2005'라는 이름으로 [[http://withmbc.imbc.com/withmbc/data/download/index.html|이 사이트에서 구할 수 있다.]] 하지만 2005년 당시의 MBC 사내 지역국 명칭이나 계열사 명칭으로 사용하는 데 필요한 글자들만 디자인이 되어 있다 보니 누락된 글자들이 너무 많아 다른 곳에 사용하기는 영 좋지 못하다. 그나마 숫자와 영문 대문자들은 누락된 부분이 없어 쓸만하다. 이런 글자 호환성 문제 때문인지 링크를 타고 폰트를 다운 받으면 zip 파일 안에 몇 가지의 폰트가 더 들어가 있다. [[http://aboutmbc.imbc.com/korean/corporateinfo/data/index.html|#]] [[파일:MBC 로고 확정안.png]] 이 로고는 2안과 3안도 있었는데, 2안의 경우 M자 부분이 중국 [[샤오미]]에서 이후 사용하기 시작한 로고와 비슷한 느낌이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117/0000001433|출처]] 가운데에 있는 B자를 잘 보면 상하대칭이 아니라 아래쪽이 좀 더 넓은 것을 알 수 있다. 2023년 3월 15일 발행된 MBC사우회보 76호에 따르면 이 로고를 제작하는 데 큰 역할을 한 사람은 당시 홍보부 직원이던 이철수라고 설명하고 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28)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28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