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모바일 게임
(r1 문단 편집)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
을 통해 스마트폰에 대해 특정 회사의 콘솔이나 PC에만 치우쳐서 비교하는 것을 금지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주딱
의 기분에 따라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주딱
의 기분에 따라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토론
- 스마트폰에 대해 특정 회사의 콘솔이나 PC에만 치우쳐서 비교하는 것을 금지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품질 경시 경향 === 기존 게이머와 모바일 게임 유저층의 차이로 인해 서로간의 시장양상 또한 크게 차이가 난다. 시장 초기에는 모바일게임 시장도 기존 게임 시장과 별차이가 없었지만, 골드러시가 시작된지 오래되지 않아서 변질되기 시작했다. [[인디 게임]]의 범람도 잠시, [[과금]]과 [[광고]] 중심의 무료게임들이 넘쳐나기 시작하여 인디 게임 개발자들이 살아남을 수 없게 된 인디 [[아포칼립스]]가 온 것이다. 더 나아가 인기있는 게임의 양식을 베껴서 만드는 클론 게임이 많아졌으며,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는 게임들이 쏟아져나오기 시작했다. 즉, 시장 자체가 추악해진 것이다. 이에 대해 실험한 사례도 있다.[[https://www.gameinformer.com/2019/10/10/how-two-developers-made-a-living-with-awful-games|#]] 모바일 게임 개발자 2명이 실험삼아 저품질 [[클론]] 게임을 개발하는 것을 자동화한 사례이다. 인터넷으로 트렌드를 쉽게 읽어내어 스타일만 바꿔서 똑같은 게임을 여러 개 출시하는 자동화 시스템을 만들었더니, 이해할 수 없는 다운로드와 광고에 의해서 쉽게 수많은 수익을 창출해냈다. 이에 대하여 실험자는 시장의 선별없는 완전한 개방이 보여준 논리적인 결과라고 주장한다. 시장에 유통되는 상품들은 저품질화되고 해당 시장 시스템을 악용하는 사람들만 늘어나서 결국 소비자들에게 전반적으로 저품질의 상품만을 경험하게 된 것이다. 반대로, 콘솔/게이밍 PC의 패키지 게임 시장을 보자. [[Grand Theft Auto V]], [[젤다의 전설 브레스 오브 더 와일드]] 같이 작품성과 대중성을 모두 잡은 대작 [[AAA 게임]]은 시간이 지난 후에도 호사가들에게 게임의 역사에 남을 명작으로 언급되며 큰 명예를 얻는다. 입이 딱 벌어지는 수준의, 어머어머한 개발비를 투자해 제작한 AAA 게임이었던 [[ANTHEM(게임)|ANTHEM]]이 평론가와 유저들로부터 게임성면에서 대혹평을 받자, 개발사인 [[바이오웨어]]와 [[일렉트로닉 아츠|EA]]는 개발비라도 되찾기 위해 온갖 프로모션과 행사를 진행했고, 결론적으로 엄청난 적자만을 남긴 채 시장에서 쫓겨나야만 했다. [[더 라스트 오브 어스 2]]는 평론가들의 호평과 여러 상을 싹쓸이하는 반면 대중적으로는 큰 비판을 받으며 시장에선 실패했고, [[정치적 올바름]]의 오용과 현행 게임 리뷰의 평론가와 대중의 괴리감에 대해 진지한 고찰을 하게 만들었다. 결론적으로 모바일 게임 시장은 콘솔 시장과 달리 상품의 품질이란게 존재하지 않는 시장인 셈이다. 모바일 게임은 이윤을 남기기 위해서는 창의적일 필요도 없으며 그저 클론과 저품질만으로 광고와 과금 시스템만 갖춰놓으면 된다. 이는 심지어 그 시장을 이용하는 주고객층이 상품의 일반적인 가치성이 중시되지 않음을 말하며, 그 상품이 게임이라면 게임성이란 품질이 필요없음을 방증한다. 물론 [[마인크래프트/포켓 에디션|마인크래프트]], [[배그 모바일]]이나 [[와일드 리프트]], [[브롤스타즈]]와 같은 예외는 존재하지만 시장 초기의 [[클래시 오브 클랜|전작]]과 [[리그 오브 레전드]], [[배그]] 등 PC원작의 인기에 의한 흥행으로도 볼 수 있으며, 극소수에 해당된다. 실제 매출차트에서는 다른 저품질 게임들에 쉽게 밀려 상위권에 들어가기 힘들어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인디 게임계 자체도 무료와 과금에 크게 의존하는 경향을 보이고, 매출차트에서는 품질에 우선시해야 할 대기업이나 중소게임사들의 저품질 게임들로 인해 인디 게임들은 완전히 사라져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