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명조: 워더링 웨이브/등장인물 및 세력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야귀 ====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 bordercolor=#2A2C32,#383b40><nopad> [[파일:명조 세계관 소개 야귀.jpg|width=100%]] || 금주의 국경 수비군. 공격대인 '파진(선봉부대)'과 수비대인 '복파(후방부대)'로 구분되며, 이 외에 예비군이나 자원봉사자로 운영되는 일종의 척후 부대인 '답백(행정부대)'이 존재한다. 현 야귀군의 장군은 [[기염]]이다. ---- * '''[[기염]]''' * '''[[양양(명조: 워더링 웨이브)|양양]]''' ||<table bordercolor=#b39e4f><table width=500><table align=center><nopad> [[파일:숙성닮은놈.jpg|width=100%]] || * '''가서림''' {{{-1 - 성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정의한(성우)|정의한]]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타케우치 슌스케]]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마양[* [[방랑자(명조: 워더링 웨이브)|방랑자(남)]]와 중복.]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0]] [[조슈아 위처드]]}}} 야귀군의 전대 장군. 처음으로 공개된 일러스트에 있던 캐릭터 중 하나이기도 하다. 스토리 애니메이션 [[https://www.youtube.com/watch?v=zMlA8txOCKk|「곡도 전쟁」]]은 그의 활약과 몰락을 다루며, 그의 뒤를 이어 장군이 된 [[기염]]의 캐릭터 트레일러에도 등장한다. 검은 불꽃을 다루는 공명 어빌리티를 가진 강자로, 곡도 전쟁에서 망자의 잔향을 잔상으로 바꾸는 "더 엑시온" 을 타도하고자 출정했지만 역행비가 내려 군대가 위기에 몰렸고, 가서림은 마지막 명령을 내리고[* 명령의 내용은 전군 전선을 유지하고 마지막까지 싸우라는 것이었다. 그냥 다 죽으라는 소리. 기염이 아니었다면 야귀군이 전멸당했을 것이다. 한국어판에서는 어째선지 스토리 애니메이션 곡도 전쟁에서 이 명령의 내용을 빼먹었다.] 병사들은 최후의 방어전을 치렀다. 가서림은 더 엑시온과의 결투 끝에 더 엑시온을 억제시켰으나 행방불명되었고 이 시기 군의관이던 기염이 전장에 남은 병력을 수습하여 무사히 퇴각한 공로를 인정받아 용의 별자리에게 선정되어 다음 장군직에 올랐다. 또한 가서림은 이 전쟁에서 큰 피해를 받은 것으로 야귀군을 전멸시킬뻔한 대역죄인으로 취급받게 되었다. 조수 임무 제1장 6막에 환상에서 등장. 당시 군의관이던 기염의 전략과 실력은 나름대로 인정하는 모습을 보이지만, 군대를 운용하는 방침에 대해 크게 다투었고[* 기염은 '사람이 있기에 금주가 있는 것'이라며 급하게 싸우기보다는 방어로 일관해야한다고 하는 한편, 가서림은 적들이 앞에 서있는 한 금주에 진정한 평화는 없다며 군인이 전멸하더라도 적을 전멸한다면 그것으로 평화를 이룩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곡도 전쟁 이야기를 듣고 주변 인물에게서 들을 수 있는 가서림 장군의 소문에서는 엄격하게 병사들을 다스리고 본인도 선봉에 서서 싸웠던 훌륭한 장군이였던건 맞으나 목적을 위해서라면 눈 깜박안하고 병사들을 죽음으로 내몰았었다고 한다.] 결국 기염의 반대를 묵살하고 대규모 회전을 벌였으나 이는 결과적으로 기염의 말대로 큰 피해를 만들었다.[* 전투 자체는 큰 피해를 봐도 이기긴 했으나, 당장 이 전투에서 수많은 병사들이 희생된 것에 더불어 이후 이어진 교전으로 현재 금주 최전방은 500여명밖에 안 되는 병사만 남아있으며, 이는 가서림이 '천 명이 죽어서라도 승전하면 그만'이라는 데서 알 수 있듯 본인 부임 시기에 최소 1천명의 병사가 있던 것에 비하면 반도 안 되는 수치다. 심지어 역행비라는 특성상 희생과 격렬한 전투가 많아질수록 역행비 발생시 생기는 환상도 많아진다는 것도 문제. 결과적으로 보면 [[피로스의 승리]]를 거둔 것이 된다.][* 사실 승리라고 하기도 좀 애매한데 북락 광야의 전선 함락을 막아 금주 본토의 피해를 막을 수는 있었지만 더 엑시온을 무찌르는 데에 급급하여 남은 군사에 대한 대책없이 기세좋게 치고 나왔을 뿐이었고 실제로 역행비가 내리자 바로 수세에 몰렸다. 그 와중에 가서림 본인은 병력 지휘를 포기하고 엑시온을 억제했으나 지휘관인 자신도 행방불명되어 남은 군대는 전멸 위기에 처했다. 한국어판 애니메이션에서는 승리를 눈앞에 두고 역행비로 전세가 역전당한 것처럼 묘사했는데 더 엑시온을 완전히 무찌르는 건 처음부터 불가능했고 가서림이 대역죄인이 되었다는 걸 생각하면 생각없이 돌격했다가 역행비로 전멸 위기에 처한 것이 정확하다.] 그리고 현재로썬 사망했다기 보단 과거 전쟁을 기점으로 실종된 걸로 보이는 만큼, 추후 재등장할 가능성이 있다. 마침 목에 있는 성흔이 잔성회의 스카와 동일한 위치에 있기 때문에 동일인설도 제기되고 있어서 이후 밝혀져야 알듯 하다. * '''공지사항''' * [[https://game.naver.com/lounge/WutheringWaves/board/detail/4096701| 🎵『명조:워더링 웨이브』 공식 테마곡 | 액션의 잔상, 끝없는 모험]] | [[https://www.youtube.com/watch?v=AWFScyR7sm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s://game.naver.com/lounge/WutheringWaves/board/detail/4105296| 🎬스토리 애니메이션 | 곡도 전쟁]] | [[https://www.youtube.com/watch?v=zMlA8txOCK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