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명조: 워더링 웨이브/논란 및 사건 사고
(r1 문단 편집)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
을 통해 특정 게임 타이틀이 필터링 되었다는 내용을 존치하되 이에 대한 필터링 규칙과 특정 게임 단어를 필터링할 목적이었을 가능성은 낮다는 점을 포함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주딱
의 기분에 따라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주딱
의 기분에 따라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토론
- 특정 게임 타이틀이 필터링 되었다는 내용을 존치하되 이에 대한 필터링 규칙과 특정 게임 단어를 필터링할 목적이었을 가능성은 낮다는 점을 포함하기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원신]] [[원신라이크|카피캣]] 논란 === [[파일:명조원신비교.png]] 출시 후, 장르의 유사성을 감안하더라도 [[원신]]의 시스템과 일대일로 대응이 되는 부분이 많아 논란이 되었다. 이는 원신이 세계적으로 흥행한 이후 중국산 게임에서 원신의 시스템을 자사의 게임에 접목한 사례와 관련되어 있는데, 대표적으로 '''반천장'''이라 불리는 원신식 BM을 필두로 '''한계 돌파''', '''전용무기''', '''성유물''', '''연월 콘텐츠''' 등 그 기반이 원신 고유의 컨텐츠라고는 보기는 어렵지만 원신에서 확립된 시스템이 중국산 게임에서 통용되기 시작하였다.[* 원신 이후의 [[호요버스]] 게임은 콘텐츠 대부분이 원신을 기반으로 두고 있고, 그 외 회사의 게임이여도 [[리버스: 1999]], [[페르소나 5: 더 팬텀 X]], [[소녀전선2: 망명]]처럼 장르 불문하고 원신의 시스템을 참고한 게임이 많다.] 타 게임의 경우 이러한 원신식 시스템의 접목 사례가 장르의 차이나 개발사의 자체적인 수정으로 인한 시스템적 변화 때문에 직접적으로 원신과 대응하는 경우가 적었다. 하지만 명조의 경우 오픈월드 RPG로 장르가 겹치는데다 이미 중국산 게임에서 통용되는 시스템을 변화 없이 그대로 가져오다 보니 일대일 대응이 되어 버린 부분이 많은 것. 더군다나 원신의 성공은 오타쿠를 대상으로 한 서브컬처 오픈월드 게임 = '[[원신라이크]]'라는 2차 장르를 만들어냈는데, 명조도 실질적으로 이 원신라이크의 장르에 부합한 작품이다보니 명조의 출시로 인해 [[원신라이크]]가 하나의 장르로 확립되었다는 평가가 많다. 원신 또한 장르적 허용 이상으로 [[젤다의 전설 브레스 오브 더 와일드]]의 많은 유사성이 지적된 바 있고 실제로 세간에서는 [[야숨라이크]] 게임이라는 인식이 퍼져있다. 하지만 명조의 경우 원신이 야숨의 시스템을 모바일 구조에 맞게 자기식으로 확립시킨 시스템을 그대로 넣다 보니 명조-원신 간 차이가 야숨-원신 간 차이보다 적게 느껴지는 상황이다. 때문에 원신라이크로 불리며 원신의 카피캣 작품이 아니냐는 비판을 받고 있다. 오픈 이후 많은 버그 및 시스템 오류로 홍역을 겪자 해외 커뮤니티에서는 차라리 원신의 시스템과 다르게 가져가는 게 나았을 거라는 반응도 나왔다. [[https://www.reddit.com/r/gachagaming/comments/1d26w0v/do_you_think_wuwa_wouldve_caught_less_criticism/|#]] 카피캣 논란이 있는 작품의 경우 카피한 제품과의 비교가 매우 빈번하게 일어날 수밖에 없는데 밀리게 되는 쪽은 상당한 리스크를 가져가기 때문. 물론 시스템의 유사성으로 인해서 기존 모바일 오픈월드 시장의 유저가 쉽게 적응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기에 그 점을 어느 정도는 고려한 것 같다. 중국 게임 업계에서 타사의 콘텐츠를 가져오는 일이야 굉장히 흔한 일이지만, 아이러니하게도 [[미호요]]와 [[쿠로 게임즈]] 두 회사 모두 [[긴빠이|서로의 게임 컨텐츠를 자사의 게임에 포함시켰다는]] 표절 논란이 있어[* 미호요 쪽에서는 퍼니싱의 캐릭터 컨셉이나 모션을 참고한게 아니냐는 의혹이 있었으며, 쿠로 게임즈 쪽에서는 전작인 퍼니싱 그레이 레이븐이 붕괴 3rd를 참고해 만든 게 아니냐는 의혹이 있었다. 또 쿠로 게임즈가 미호요의 약관을 그대로 [[복사 붙여넣기]]해 올린 사례도 있었다.] [[중국의 비디오 게임#s-3.5|중국 게임이 또 중국 게임했다]]는 식의 반응도 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