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멜트(VOCALOID 오리지널 곡)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 ==== [include(틀:VIRTUAL SINGER)] ||<-5><tablewidth=100%><bgcolor=#0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tablebgcolor=#fff,#000> '''[[VIRTUAL SINGER|{{{#ffffff VIRTUAL SINGER의 수록곡}}}]]''' || ||<-5> '''난이도[br](노트 수)''' || ||<bgcolor=#66dd11><width=20%> '''{{{#ffffff EASY}}}''' ||<bgcolor=#33bbed><width=20%> '''{{{#ffffff NORMAL}}}''' ||<bgcolor=#ffaa01><width=20%> '''{{{#ffffff HARD}}}''' ||<bgcolor=#ee4566><width=20%> '''{{{#ffffff EXPERT}}}''' ||<bgcolor=#bb33ef><width=20%> '''{{{#ffffff MASTER}}}''' || ||<bgcolor=#cef9ae,#1a4000><rowcolor=#373a3c,#fff> 7[br](286) ||<bgcolor=#cceefb,#193b4a> 12[br](684) ||<bgcolor=#ffeabd,#403211> 17[br](1056) ||<bgcolor=#fbced7,#51313e> 25[br](1363) ||<bgcolor=#e9bcfa,#5c3771> 29[br](1586) || || '''해금 방법''' ||<-4> 상점에서 교환 || ||<-2> '''어나더 보컬''' || 미지원 || '''MV''' || 미지원 || ||<|4> '''지원 보컬''' ||<-4> '''버추얼 싱어 ver.''' || ||<-4> [[하츠네 미쿠(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하츠네 미쿠]] || ||<-4> 어나더 보컬 ver. || ||<-4> - || [youtube(DJCjfoL4YS0)] * EXPERT ALL PERFECT 영상 [youtube(J2m0SjEz2I8)] * MASTER ALL PERFECT 영상 출시 시점 프로세카에서 가장 긴 곡이였다.[* 이후 추가된 [[하츠네 천지개벽 신화]]가 멜트보다 0.3초 더 긴 러닝타임을 가지게 되면서, 가장 긴 곡 타이틀은 내어주게 되었다.] 첫 노트부터 끝날 때까지의 시간이 3분에 달한다. 그러다보니 마스터는 1500을, 하드조차도 1000개를 넘어가는 노트 수를 가지고 있다. 다행히 곡이 잔잔한 분위기라 전체적인 노트 밀도는 낮은 편이며, 롱노트의 비중이 높아 많은 노트 수에 비해서 실제 쳐야 하는 노트의 비율은 적은 편이다. 마스터 난이도에서는 2번 나오는 후렴구, 피버 직전 구간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와 빠른 손 이동 후 플릭 처리를 요구하기 때문에 풀 콤보와 퍼펙트를 노릴 때 난관으로 작용한다. 또한, 익스퍼트에 나왔던 최후반 트릴을 연타로 바꾸어 놓았는데, 박자는 같고 노트 크기도 널널하므로 익스퍼트와 같이 트릴로 처리하면 되지만, 한줄로 나오는 노트가 시각적으로 혼란을 줘 박자감을 잃고 말릴 수 있어 미리 숙지하고 박자를 익혀 두어야 하는 패턴이다. ||<table align=center><tablebgcolor=#fff,#000><nopad> [[파일:무한멜트.jpg|width=100%]] || || '''{{{#000,#fff 첫 이벤트 당시 선곡 편중을 여실히 보여주는 그림}}}''' || 이벤트 포인트가 곡 길이에 비례하기 때문에 부스트 대비 가장 이벤트 효율이 좋은 곡이다. 첫 이벤트에선 이 보정이 너무 심해서 짧은 곡의 2배에 가까운 포인트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다보니 같은 부스트로 포인트를 조금이라도 더 많이 받으려면 멜트 플레이가 강제되어 많은 유저들이 고통을 호소했고, 이에 따라 두 번째 이벤트부턴 길이에 따른 보정을 줄였다. 여전히 짧은 곡들에 비해 점수를 더 많이 주긴 하나, 압도적으로 차이가 나는 수준은 아니라 선곡 편중이 완화되었다. 그러나 보통은 길이가 짧은 곡을 여러 번 반복하여 플레이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멜트의 선곡률이 떨어졌다. 오히려 [[혼자 놀이 엔비]], [[비바해피]], [[잭팟 새드 걸]]처럼 1분 조금 더 되는 곡, 일명 '''효율곡'''들을 선택하는 경우가 늘어난 편. 이건 멜트의 길이가 다른 곡들보다 월등히 길다는 게 크게 작용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