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마이크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콘덴서 마이크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dcdcdc><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nopad> [[파일:콘덴서 진동판.jpg|width=75%]] ||<width=50%><nopad> [[파일:U87Ai.jpg|width=100%]] || ||<bgcolor=#ffffff><-2> {{{#000000 {{{-1 콘덴서 마이크 다이어프램(CK12 스타일)과 Neumann의 U87Ai 마이크.}}}}}} || 진동판이 고정된 전극판과 도전성 유동 전극판의 두 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두 가지의 판들은 서로 사이에 미세한 틈을 두고 분리되어 있다. 콘덴서는 이 두 판에 직류 전압을 가해 일종의 전하를 충전한 콘덴서 역할을 하도록 만들어진다. 이때 음파가 유동 전극판을 자극하면, 이 판이 음파에 의해 움직이면서 두 판의 사이의 거리가 변하므로, 축전 용량이 변화하게 되며, 이 차이는 음파의 모양과 거의 흡사하게 전기신호로 변환된다. 콘덴서 마이크는 전극판 양면에 전기가 흘러야만 소리를 전기신호로 변환할 수 있으므로, 항상 두 전극판에 전압이 걸려 있어야 작동할 수 있다. 때문에 필수적으로 외부에서 직류 전압이 가해져야 한다. 콘덴서 마이크들 중에 아주 작은 소형 마이크들은 폴리머 수지로 만든 전기 막을 이용하여 정전 현상을 응용한 덕분에 항상 두 판에 직류 전압이 걸리게 되어 있으며, 이들은 외부 전압을 가하지 않고도 동작이 가능하다. 대표적으로 핸드폰에 들어가는 마이크가 이러한 형태이다. 다만, 구조가 간단한 만큼 감도가 떨어지며, 이는 자체 잡음이 많아지는 원인이 된다. 물론,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파수 응답은 나쁘지 않은 편이다. 앞서 말한 내용을 쉽게 요약해보면, '콘덴서 마이크는 음파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고작 판때기 두 개로 구성된 진동판만 있으면 된다.' 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무빙코일 마이크보다 훨씬 간단한 것이다. 그런데 무언가 이상하다는 생각이 들지 않는가? 정상적이라면 콘덴서 마이크는 무빙코일 마이크보다 비쌀 이유가 없는데 왜 대부분의 콘덴서가 무빙코일보다 비싼 것인가? 이는 사람들이 가장 많이 오해하는 사실인, 콘덴서 마이크가 감도가 정말 좋은 마이크라고 알고 있는 것으로부터 설명이 가능하다. 이는 정확히 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 실제 콘덴서의 진동판은 자가발전 능력이 거의 없다시피 하므로, 전기가 공급되지 않으면 전혀 의미가 없다. 상술했듯이, 무빙코일 마이크는 애초에 자가발전으로 유도되는 전류를 이용하는 방식이다. 반면 콘덴서는 자가발전의 원리와는 거리가 멀다. 심지어 마이크에 장착된 콘덴서는 약 2,000,000옴 이상의 높은 교류 저항(임피던스, Z)을 가진다. 보통, 마이크의 출력 임피던스가 150~600옴 정도인데, 이렇게나 높은 임피던스를 가진 전류를 그대로 출력하여 마이크 외부 프리앰프에서 증폭해봤자 소용이 없다. 때문에 마이크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임피던스를 낮게 매칭해주는 한편 신호를 증폭하는 기능이 있어야 하므로 모든 콘덴서 마이크에는 내장 프리앰프가 필요하다. 사실 대부분의 콘덴서 마이크가 다이나믹 마이크보다 비싼 이유는 다 이 내장 프리앰프 때문으로, 이처럼 프리앰프의 증폭 성능 덕분에 콘덴서 마이크의 감도가 매우 크게 향상되는 것이다. 잘 생각해보면 팬텀전원 같은 고작 직류 48V 0.01A 이하의 전류 공급만 가지고도 신호 증폭에다 임피던스 매칭 역할까지 해주는 것이므로 왜 값비싼 콘덴서 마이크들이 그렇게 비쌀 수밖에 없는가 하는 의문을 해결해준다. 사실 +48V 팬텀전원을 사용하는 콘덴서 마이크라고 해도 종류에 따라 12V, 24V짜리 팬텀 전원에 작동하기도 한다. 이는 콘덴서 마이크에 따라 9V~52V에 이르기 까지 공급 전압이 큰 폭으로 차이가 나더라도 정상적으로 작동하도록 설계된 모델인 경우다. 다만, 전압이 낮을 경우 마이크의 전체적인 감도가 떨어질 수 있고, 이 때문에 S/N 비율이 나빠지며, 이는 곧 음질이 안좋아지는 결과를 낳는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