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마이크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연결 방식 == 마이크를 다른 장비에 연결하기 위한 방식들을 기술한다. 겸하여 전원에 관하여도 기술한다. * [[XLR]] 커넥터 주로 XLR 3핀이 연결되며, EIA 표준 RS-297-A에 의해 연결된다. 여기에 전원을 인가하는걸 팬텀 파워라고 부르며, DIN 45596이나 IEC 61938:2018에 의해 표준화 되어있다. 일반적으로 48V가 산업의 [[사실상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규정집에서는 24V 시스템을 권장하고 있다. 48V 입력이 핫-콜드 라인에 6.81kOhm 으로 붙어있는 것이 특징이다. T-파워라는 젠하이저와 숍스(Schoeps)가 사용하는데, 영상쪽에는 해당 기술을 지원하는 장비가 꽤 있다. 핫-콜드로 120옴에 직결된 12V가 공급된다. 섞어쓰면 고장나므로 주의. * [[단자/오디오]] 항목 참고 * 1/4인치 (6.35mm) 폰커넥터 * 1/8인치 (3.5mm) 폰커넥터 일반적으로 마이크는 스피커와 독립하여 TS 또는 TRS의 연결선을 가질 수 있고, 헤드셋으로 사용될 경우 TRRS가 일반적이다. 스테레오 헤드폰/마이크 겸용의 경우 마이크와 스피커가 결합하여 TRRRS의 연결선을 가질 경우(소니)도 있고, 이를 별도로 나눠 TRS 2선으로 처리하는 경우 (Roland CS-10EM) 도 있다. 이쪽에 전원을 인가하는 시스템을 플러그 인 파워(PiP, Plug-in-Power) 라고 부르며, 3~5V 전원을 공급한다. IEC 61938 및 CP-1203A:2007 에 표준화 되어있다. 휴대용 녹음기, 사운드 카드등에 적용되어 있다. 주로 일렉트릿 컨덴서 마이크와 함께 사용된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