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마이크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카본 마이크 === ||<tablebordercolor=#dcdcdc><tablealign=center><tablewidth=400><nopad> [[파일:탄소 마이크.jpg|width=100%]] || 말 그대로 탄소를 이용한 마이크. 무빙코일의 뒤를 이어 1876년 발표되었으며, 인류가 이전까지는 기록할 수 없었던 음향신호를 기록하거나 이용하는 방법을 고안해내는 것에 있어서 셀 수도 없이 많은 도움을 줬던 역사적인 발명품이라고 할 수 있다. 멀리 볼 필요 없이 앞서 설명한 콘덴서, 압전소자 마이크 모두 카본 마이크의 원리를 일정부분 차용하여 만들어졌으니 그 의미는 충분히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역사적인 의미는 충분하지만, 현재는 일상생활에서 보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고, 극히 제한된 용도로만 사용되고 있다. 전화 기술이 이제 막 발달하기 시작한 시절에 개발된데다, 당시의 음향은 기초적인 왁스 실린더 같은 기록 매체도 발명 되기 이전이었으므로, 남는 것은 전화. 즉, 수화기에 사용되기 적합한 마이크가 대세가 될 수밖에 없었다.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감도가 좋아야 하며 대량생산이 가능한 구조가 필요했는데, 이에 딱 부합하는 것이 바로 카본 마이크였다. 카본 마이크는 수화기, 연설용, 라디오 방송용 마이크와 후에 나온 실린더 디스크 기반 녹음기의 마이크로 사용되기도 했다. 그러나, 1916년에 콘덴서 마이크가 세상에 발표되고 1940년대 전기음향 시대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탄소 마이크를 사용할 이유가 없어져 고스란히 사양길을 걷게 됐다. 이로 인해 카본 마이크와 동시기에 개발되었지만 외면받아왔던 무빙코일 마이크가 시장을 지배하기 시작했다. 구조적으로는 진동판 내부에 탄소 알갱이가 있고, 진동판 정면에는 유동성 전극판, 후면에는 고정형 전극판이 위치한다. 정면과 후면 모두 유동성 전극판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바로 위 사진의 마이크가 그러한 형태의 마이크다. 두 판은 서로 전극으로 작용하며, 항상 동일한 전압의 직류 전원이 공급되어야 한다. 이는 콘덴서 마이크의 원리와 굉장히 비슷한데, 실제로 콘덴서 마이크의 작동 원리는 이를 참고하여 만들었다. 먼저 소리가 정면의 진동판에 입사되면, 진동판이 소리의 파형에 따라 저항체인 탄소 알갱이들에 압력을 가하면서 알갱이들끼리 서로 붙었다 떨어졌다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진동판과 전동판 사이의 저항값이 변화하게 되면서 진동판과 전극판 사이에 걸려있던 전압의 평형이 깨지게 된다. 이로 인해 두 판 사이에 유도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것을 이용한 것이다. 또, 탄소 소재 자체의 높은 전도율 덕분에 감도 또한 좋다. 약 -33dBV 까지 출력되는데, 이는 어지간한 저가 콘덴서 마이크와 맞먹을 정도로 꽤나 높은 수준이다. 여기까지 보면, 딱히 흠잡을 곳이 없어보이는데도 왜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가 하는 의문점이 들 것이다. 이유는, 수백 개의 탄소 알갱이가 들어가는 진동판의 무게로 인해 고음에 대한 주파수 특성이 급격히 떨어지며 자체 노이즈 또한 너무 심해 S/N 비율이 매우 나쁘기 때문이다. 실제로 대부분의 탄소 마이크의 주파수 응답은 최대 200~4000Hz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또한, 강한 음압이 입사되면 그에 대한 자극으로 탄소알갱이가 진동판 내부에서 이리저리 움직이면서 전기적으로 왜곡을 일으킨다. 이렇듯, 장점보다는 단점이 많았기 때문에 카본 마이크는 사장될 수밖에 없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