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마르크스-레닌주의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개요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d0000><nopad> [[파일:Stalin-lenin.jpg|width=100%]] || '''마르크스-레닌주의'''란, [[이오시프 스탈린]]이 주도하여 성립된 일련의 [[레닌주의]] 사상 체계를 말한다. 스탈린이 [[소련]] 권력의 정점에 올라서고 이와 더불어 세계 [[공산주의]] 운동의 지도자 위치에 서면서, 이 사상이 세계적으로 공산주의의 주요 사상으로써 보급되었다. 한편으로는 '''[[스탈린주의]](Stalinism)'''라는 이름으로도 불리는데, 이는 주로 마르크스-레닌주의에 비판적인 [[마르크스주의]]자 또는 [[반공주의]]자들이 사용하는 명칭이다. 사용되는 용례는 보통 스탈린주의보다 마르크스-레닌주의가 더 폭넓게 사용된다. 마르크스-레닌주의는 원본인 스탈린주의와 그 계보를 이어 나타난 사상들, 곧 [[흐루쇼프]]의 [[수정주의]] 이후 [[브레즈네프]]의 [[현실사회주의]], 그리고 반수정주의적 변종인 [[마오주의]]와 [[호자주의]] 그리고 [[주체사상]]을 포함하고, 넓게는 [[티토주의]] 등 스탈린에 비판적이지만 [[일국사회주의]]를 실질적으로 사용하는 현실사회주의 국가들의 이념을 모두 포함한다. 즉 흐루쇼프 이후의 ([[알바니아]]를 제외한[* 알바니아의 국가 원수인 [[엔베르 호자]]는 강경한 반수정주의자였다.]) 동구권은 스탈린주의 체제로 불리지는 않지만 마르크스-레닌주의 체제로는 불린다. 마르크스-레닌주의는 [[관료주의]], [[일국사회주의론]], 일국혁명, [[통일전선]]이 핵심 개념으로 자리잡고 있다. >《레닌주의의 기초》 {{{-2 (1924)}}}라는 소책자에서 ([[이오시프 스탈린|나는]]) 레닌주의를 정의하였고 이는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진 것 같다. 그 정의는 다음과 같다. > >"레닌주의는 [[제국주의]]와 [[프롤레타리아 혁명]] 시대의 [[마르크스주의]]다. 좀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레닌주의는 보편적으로 프롤레타리아 혁명에 관한 전술과 이념이며, 특수하게는 [[프롤레타리아 독재]]에 관한 이론과 전술이다." > >이 정의가 옳은가? > >나는 옳다고 생각한다. > >첫째로, 레닌주의가 제국주의 전쟁 이후 탄생했다고 주장하는 특정 비판자들에 대항하여, 레닌주의를 '''제국주의 시'''라고 규정함으로써 레닌주의의 역사적 뿌리를 올바르게 나타내었기 때문이다. 두 번째로, 레닌주의가 러시아의 특정한 조건에서만 적용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사회민주주의에 대항하여, 레닌주의의 국제적인 특징을 정확하게 나타내었기 때문이다. 셋째로, 레닌주의가 마르크스주의의 발전이 아니라 마르크스주의를 그저 러시아의 상황에 맞게 적용한 것 뿐이라는 비판자들과는 달리, 레닌주의가 제국주의 시대의 '''마르크스주의'''라고 규정함으로써, 레닌주의와 마르크스주의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정확히 나타내기 때문이다. >---- >[[이오시프 스탈린]] 저, 레닌주의에 관한 문제들(Concerning Questions of Leninism, 1926)[* [[https://www.marxists.org/reference/archive/stalin/works/1926/01/25.htm]] 과거에는 일본어판을 중역했기 때문인지 한국에서는 "레닌주의의 제문제([[諸]][[問]][[題]])"(즉 '여러 문제')라는 일본식 한자 명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 레닌주의의 기초(1924)와 레닌주의에 관한 문제들(1926)은 스탈린이 레닌이 사망하고 당내 권력 다툼의 와중에 작성한 공산주의자들에서 성경 취급 받는 저서다. 여기서 스탈린은 레닌주의를 제국주의 시대 이후의 보편적인 마르크스주의라고 선포하여 러시아 외부의 반볼셰비키 마르크스주의자들은 비난하며 마르크스주의 일반을 자신이 해석한 레닌주의(마르크스-레닌주의)로 '''대체'''시킨다. 당시 서구의 마르크스주의자들은 1차 세계대전을 비롯한 전쟁에 관한 문제, 여러 내부 논쟁 등을 거쳐 지리멸렬해진 상태였기 때문에 이 주장은 사실상 20세기 공산주의의 보편적인 정의가 된다. [[블라디미르 레닌]]이 죽은 지 5년 뒤인 [[1929년]], 스탈린 자신은 자신의 사상을, 고전 [[마르크스주의]]와 [[레닌주의]]와의 관계를 정리하여 발표한 후, 정당한 후계 사상이라는 의미에서 '''마르크스-레닌주의'''라는 그 자신이 고안한 신조어로 표현했다.[* The New Fontana Dictionary of Modern Thought (1479) Third Edition, Allan Bullock and Stephen Trombley, Eds., p. 506.][* Lisischkin, G. (Г. Лисичкин), Novy Mir (Мифы и реальность, Новый мир), 1989, № 3, p. 59] 자주 오용 되곤 하는 용어인데, 마르크스 사상은 [[마르크스주의]]고, 레닌의 사상은 [[레닌주의|볼셰비즘]]이며, 마르크스-레닌주의라는 용어는 그냥 "마르크스주의+레닌주의"라는 의미가 아니라 스탈린이 정리한 마르크스주의와 레닌주의 이론을 뜻하는 표현이다. 스탈린주의라는 용어는 1930년대에 라자르 카가노비치(Lazar Kaganovich)라는 소련의 정치가가 찬양의 의미에서 쓴 적이 있지만[* Montefiore, Simon Sebag (2004). Stalin: The Court of the Red Tsar. Knopf, p.164], 광범하게 쓰이기 시작한 건 스탈린 사후에도 한참이 지난 1956년에 열린 제 20차 소련 공산당 전당 대회부터이다. [[니키타 흐루쇼프]]가 스탈린의 죄과를 공공연히 비난하기 위해 사용한 것이 그 이유이다.[* 흥미롭게도, 스탈린주의자들의 최대 정적이었던 [[레프 트로츠키]]의 지지자들 역시 스스로를 레닌의 정통성을 계승했다는 의미에서 '''볼셰비키-레닌주의자'''라고 지칭했고, 트로츠키의 저서인 '배반당한 혁명' 이나 '스탈린주의 날조학'에서도 '스탈린주의'라는 명칭을 '정통 맑스주의와 레닌주의에서 벗어난 사이비놈들'이라는 의미의 멸칭으로 사용했다. 물론 당시 동구권의 [[현실사회주의]] 진영 내에서 [[트로츠키주의]]라는 지칭이 얼마나 강렬한 적대감과 혐오감을 내포하고 있었는지는 밀란 쿤데라의 소설 '농담'만 봐도 잘 알 수 있다. 결국, 소련의 공산주의 전통(레닌주의의 전통)에 속한 계파들은 자신들이야말로 맑스주의와 레닌주의의 정통파라고 자칭하면서 적대적인 다른 정파들을 '스탈린/트로츠키의 이단적 분파' 라고 지칭한 것이다.] 이후 스탈린주의라는 용어는 사회주의 운동에서는 마르크스-레닌주의 라는 사상을 스탈린의 잔학성과 연결시켜 정당성을 상실하게 하려는 목적으로 트로츠키주의자들이 거의 독점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흐루쇼프는 [[대숙청]] 시기의 스탈린의 폭력성을 비난하면서도 그 이전의 산업화 정책[* 상기한 연설문에서도 스탈린이 반동파를 숙청하고 급진적인 공업화 정책을 성공시켜 [[쿠르스크 전투|군을 기계화]] 했기 때문에 독소전에서 승리할 수 있었다고 언급한다.], 사회주의 사상가로서의 이념투쟁 등은 긍정하며 초기 스탈린 체제와 후기 스탈린 체제를 분리했다. 스탈린이 소련에 남긴 영향력이 막강했기에 스탈린에 대한 비판은 [[1956년 헝가리 혁명|소련 체제에 대한 공격]]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두려움 때문이었다. 이렇게 조금의 수정을 거친 스탈린주의는 그대로 마르크스-레닌주의로 불리거나 '''[[현실사회주의]]'''라는 명목으로 동구권 사회주의 국가에 보급되었으며 이후에도 [[중국]], [[베트남]], [[라오스]], [[쿠바]] 등의 마르크스-레닌주의에 기반한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북한]]은 [[주체사상]]을 주요 이념을 삼으며 그 어떤 사회주의보다 더 뛰어나다고 선전하고 있다. 북한은 앞의 수정주의 국가들과는 달리 여전히 반수정주의를 표방하는 유일한 나라이다.] 즉 20세기 공산주의 운동은 스탈린에 대한 평가가 어떻든 간에 스탈린 없이는 이해가 불가능하다.[* 한국에서는 타국에 비해 비정상적으로 트로츠키주의를 자처하는 이들이 많아서 그렇지, 트로츠키주의는 한 번도 스탈린주의에 비빌 만한 영향력을 가진 적이 없었고, 다른 종류의 사회주의자들 사이에서도 기회주의적 이미지 때문에 평가가 좋지 않다. 한국에서는 이곳 위키에도 종종 보이는 소련 망했으니까 트로츠키주의가 대세라는 둥의 근거 없는 헛소리가 대표적인데, 공산주의자들에게 트로츠키주의는 스탈린주의의 라이벌이나 대안이 아니라 없애버려야할 [[이단]]이라는 입장에 가깝다. 한국에서는 민주화 이후 군부에대한 [[인민민주주의]]의 비교 우위가 사라지면서 보수세력의 "[[PD(정파)|인민민주주의]]=스탈린식 전체주의=사이비 민주화 세력"이라는 비난[[https://shindonga.donga.com/3/all/13/2259948/1|#]][[https://www.chosun.com/opinion/chosun_column/2021/05/03/RDW5AZPLX5CX5OFLJRXOQ3I4RY/|#]] 때문에 공산주의자들이 몸을 사리느라고 입을 다물고 있기 때문에 [[호가호위|저런 주장이 판치는것에 불과하다]]. 스탈린을 개무시 하면서 일개 독재자로 묘사하고 그가 없어도 공산주의 이론이 제대로 굴러 간다고 주장(혹은 그런척, 통칭 "그냥 레닌주의")하는 것도 같은 맥락에서 운동권에서 몸을 사리고 있는 것 뿐인데 스탈린은 역대 공산주의자들 중에서 가장 많은 업적을 남긴 사람으로 무시한다고 무시할 수 있는 급의 인물이 아니다. 스탈린은 트로츠키주의자들의 주장처럼 공산주의자들에게 절대로 개무시당하는 사람이 아니고, 스탈린을 그의 비민주성으로 비난한다면 레닌주의 노선 전체는 그 문제에서 자유롭지 않다. 즉 공산주의자들 중에서 소련이 스탈린 때문에 엇나갔다고 주장하는 것은 트로츠키주의자들밖에 없으며, 비레닌주의자들은 결코 스탈린만 문제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오히려 트로츠키주의자들은 국제적으로 좌파 사이에서 TROTS이라는 멸칭으로 불리면서 무시당하며 왕따당하는 노선이다.] 이에 맞서서 트로츠키 본인과 그 후계자들은 자신의 사상을 '트로츠키주의'라 하기도 했지만 그보다는 ''''볼셰비키-레닌주의\''''라는 단어를 선호했다. 남한 운동권의 유일한 정통 트로츠키주의 단위인 볼셰비키그룹의 예전 이름도 '볼셰비키-레닌주의자'이다. 마르크스-레닌주의는 [[냉전]]기 동안 국제 공산주의 운동에서 다수파를 차지했고, 흐루쇼프가 스탈린을 격하해서 해빙기가[* 스탈린주의자들이 흐루쇼프를 지칭하는 멸칭이 수정주의자(Revisionist)인데 이는 그들의 용어로 덜 스탈린주의적인 인물이라는 의미다.] 왔다고 하지만 공산주의 이념상 큰틀 자체는 달라지지 않았으며 조금의 수정을 거친 스탈린주의는 냉전 시절 부터 [[소련 붕괴|소련이 붕괴된]] 이후에도 일부 사회주의 국가의 명목 상의 이념으로 유지되었다. [[변증법적 유물론]]을 왜곡해서 자신들이 세상에서 가장 진보적인 이데올로그들이자 체제라며 독재를 정당화 하는 것은 물론, 흐루쇼프 집권기 이후에도 [[1956년 헝가리 혁명|민주화 운동]]에 군대를 보내서 유혈진압하는 만행은 빈번했고, 이 때문에 서구의 사회주의 운동에서는 이들을 가르켜 탱크로 사람 깔아 뭉개는거 좋아하는 "인간 [[백정|도살자]]"라는 의미에서 탱키(tankie)라는 멸칭으로 불린다. 이에 맞서 마르크스-레닌주의자들은 '타협주의자, 개량주의자 반동'이란 말로 응수해 왔다. 오늘날까지도 반스탈린주의 좌파 진영과는 험악한 대립을 유지하고 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