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리무루 템페스트
(r2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인기투표 전적 === ||<table align=center><table bgcolor=#ffffff> '''인기투표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table align=center><bgcolor=#00bbff> {{{#black [[국제 사이모에 리그|{{{#ffffff 국제 사이모에 리그}}}]] (남자) 아쿠아마린}}} || || 2018 - [[리바이]] || → || 2019 - '''리무루 템페스트''' || → || 2020 - [[리쿠 도라]] || [include(틀:국제 사이모에 리그 역대 남성부 우승자)]}}} || 원작의 팬덤 체급이 워낙 크기 때문에, 외부 [[인기 투표]]의 대명사 중 하나인 [[모에 토너먼트]]에서도 [[일본식 이세계물|이세계물]] 주인공 캐릭터 중 [[https://saimoe.miraheze.org/wiki/Rimuru_Tempest|가장 성공한 캐릭터]]가 되었다. 다만 초기에 신인 자격으로 [[국제 사이모에 리그]]와 [[Best Girl Contest]]에 참여할 땐, 리무루가 '''[[성별 미상|남캐인지 여캐인지]]''' 운영진 사이에서도 논쟁거리가 되었다. --[[키노시타 히데요시|누구]]처럼 제 3의 성별 이라던가-- 즉 2011년 [[키노시타 히데요시]] 이후 참가 자체만으로 가장 큰 화두를 불러온 게 바로 이 슬라임이었다. 결과적으로 상술한 양대 2세대 메이저 모토 대회를 중심으로 여러 대회의 운영진이 같이 모여 성별 판별이 가능한 전생을 기준으로 둬야 한다는 결론을 냈고, 리무루는 그렇게 모토계 전반에서 '''남성부에 배정되는 것으로 약속'''된다. [[파일:2019 Scepter.png|width=35%]] 이후, 리무루는 처음 참여한 [[국사모]] 2019에서 아쿠아마린 목걸이를 따는 등 성공적인 출발을 했다. 비록 그 이후 정규시즌에서 부진하여 2패를 했다. 하지만 다시금 결선이 되어 부활한 뒤 [[아즈사가와 사쿠타]]를 결승에서 근소하게 이기고, [[키리가야 카즈토|키리토]]가 첫 번째 로얄로더가 된 지 무려 '''7년'''만에 남성부 두 번째 로얄로더에 등극했다.[* 물론 그 이후엔 ToC(챔피언 토너먼트)에서나 22시즌엔 이 만한 포스를 보여주지 못했지만.] 다른 메이저 모토 BGC에서도 나름 꾸준한 역량을 보여주었다. 첫 참가인 20년도에 64강, 21년도엔 128강을 찍는 등 그답지 못한 모습을 보여 주기도 했지만, 세 번째 기회인 22시즌에 잭팟이 터진다. 그에게 부정적이었던 여론을 뚫고 [[알폰스 엘릭]], [[가츠]], [[이시다 쇼야]] 등 양덕들에게 인기가 많은 남캐들을 결선에서만 줄줄이 격파하며 결승까지 간다. 비록 마지막에 만난 상대가 강적 [[히키가야 하치만]]이라 결실을 이루진 못했지만, 괜히 국사모 우승자들이 아님을 만 천하에 증명해 보였다. 이 두 대회와 달리 [[일본식 이세계물]]에 대한 인식이 매우 나쁘고 '''[[여존남비]]'''이기까지 한 [[애니플러스 캐릭터 토너먼트]]에서는 뚜렷한 성적을 내지 못했다. 19시즌엔 17강에서 떨어지고도 득표가 많아 작년 키리토 다음으로 10위 안에 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으나, '''공식에서 집계를 하지 않아''' TOP 8 진입에 실패했다. 이후 시즌에서는 매 번 32강을 넘지 못하는 중. 그래도 리무루의 통산 성적은 '''우승 10회 + 준우승 5회'''로, 남성부 기준 원탑 [[를르슈 람페르지|를르슈]]와 2인자 [[오레키 호타로|호타로]], 3인자를 두고 다투는 [[히키가야 하치만|하치만]]과 [[리바이]] 바로 다음 정도의 강자로 꼽히며 2010년대 남캐 사천왕 중 가장 체급이 낮은 [[키리가야 카즈토|키리토]]와는 비벼질 정도가 되었다. 비록 저 사천왕과 접점은 없고 [[시로가네 미유키]], [[아즈사가와 사쿠타]]와 확장기 3대 남캐로 묶여 고점은 미유키에 밀린다는 평을 받지만, 셋 중 커리어를 꾸준히 쌓고 가장 롱런한 캐릭터는 단연 그였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