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로스트 미디어/목록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방송물 === * 한국의 [[지역방송]] 프로그램 중 일부[br][[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JAKO201708733753883|지역방송국 기록관리 현황과 개선 방안]]이라는 2017년 논문에 이와 관련된 내용이 나와 있다. * [[1 대 100]] 방송 내용 대부분[br][[네덜란드]] 엔데몰 사가 만든 포맷을 가져와서 방송했고, 애초에 인터넷 다시보기 서비스나 녹화 판매 등을 하지 않는 조건으로 포맷을 수출하기 때문에 저작권 문제로 다시보기 자체가 불가능하다.[* 2015년 5월 26일 방송분부터 홈페이지에서 다시보기가 4주간 제공된 적이 있다.] [[나무위키]]에 있는 자료들은 당시 본방송이나 다른 자료를 토대로 작성했으며, 유튜브 등 각종 동영상 사이트에서 불법적으로 녹화한 방송분 정도만 볼 수 있다. 이는 [[NBC(미국)|NBC]] 등 포맷을 수입한 다른 국가의 방송사들도 마찬가지. 예외로 김태우가 우승한 490회 마지막 문제 클립은 KBS 유튜브 채널에 올라와 있다. * Winchell-Mahoney Time[br][[폴 윈첼]]이 제작한 TV 쇼 중에서 가장 성공적인 TV 쇼로 1965년부터 1968년까지 방영되었다. 방송 이후 판권사 메트로미디어와 윈첼 간의 협상 과정이 원만해지지 않아 메트로미디어가 방송자료를 파기하겠다고 경고하였고 윈첼이 (메트로미디어의) 제안에 동의하지 않자 진짜로 이들 자료를 파기시키기에 이른다. 이런 결과에 분노한 윈첼이 메트로미디어에 소송을 제기해 테이프(방송자료)의 가치 소실로 메트로미다어에서 3만 달러+징벌적 손해배상 8만 달러를 윈첼에게 지급해야 한단 판결이 나오면서 승소하였다. 이에 메트로미디어가 연방 대법원까지 항소하기도 했지만 판결은 번복되지 않았다. * [[컴백전쟁: 퀸덤]][br]컴백전쟁 시리즈의 첫 프로그램으로 방송 후 무대 영상 조회수가 1000만을 기록하는 등 높은 조회수와 화제성을 유지했으나 출연자였던 [[i-dle|(여자)아이들]] 前 멤버 [[수진]]의 [[수진 학교폭력 가해 논란|학교폭력 가해 논란]], [[AOA(아이돌)|AOA]] 전 멤버 [[신지민]]의 [[AOA 지민 권민아 괴롭힘 논란]], [[마약]] 밀수 혐의로 논란이 되었던 [[박봄]]의 출연 여파인지 [[TVING]]을 비롯한 모든 플랫폼에서 다시보기가 중단되었다. 다만 일부 클립 영상은 Mnet K-POP 유튜브 채널에 남아 있다. * [[MBC GAME]]의 대부분의 방송 자료들[br][[MBC GAME 폐국 사태|채널이 폐국된]] 후 [[MBC 플러스]] 측에서 수많은 방송 자료들을 자체 파기해버려 인터넷에 업로드된 영상들을 제외하면 정상적인 감상 자체가 불가능해졌다. 이는 나중에 전직 해설진들에게서 밝혀진 사실이며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 출시 이후로 [[아프리카TV]]에서 제작한 SC 리마스터 리콜 1화에서도 [[MSL]]과 관련된 리플레이가 많이 남아 있지 않았고 방송 자료가 유실되었다고 언급했다. 폐국 이후에도 한동안 통합 사이트에서 결제를 하면 다시 볼 수 있었지만 2015년 초부터 서비스가 중단되었다. * 옛날 [[바둑TV]] 방송 프로그램들 다수[br]2021년 11월 즈음에 실전사활 365일, 기적의 묘수, 월간 이 한 수 등을 비롯한 상당한 양의 바둑 프로그램이 올라와있던 바둑TV 유튜브 채널이 KB국민은행 바둑리그 채널로 바뀌면서 기존에 있던 모든 자료를 비공개 처리해버려서 더 이상 볼 수 없게 되었다. 게다가 따로 유튜브 영상을 다운받아 보관하던 사람들이 아닌 이상에야 더 이상 볼 방법이 없다. 바둑TV 홈페이지에도 2000년대까지만 해도 이 당시의 자료들이 업로드되었지만 홈페이지 개편으로 사라졌고, 현재 바둑TV가 운영하는 공식 유튜브와는 다른 채널이다. 2024년 4월에 누가 직접 문의해본 결과 2024년 하반기에 유튜브 채널 리뉴얼을 진행하면서 재작업 후에 다시 공개될 예정이라고 한다. 그러나 2024년에는 결국 공개되지 않았고 바둑TV 유튜브를 통해 2025년 5월부터 새로운 유튜브 채널에서 공개한다는 소식이 알려졌다. 어디까지나 예정이지 공개되지 않은 상황이므로 공개될 때까지 로스트 미디어 신세는 유지된다. * [[언론통폐합]]으로 인해 사라진 방송국들의 대부분의 방송 자료들[br]그나마 [[동양방송]], [[동아방송]]의 일부 자료들은 보존된 자료가 있어서 [[JTBC]]나 [[동아일보|동아닷컴]] 등에서 찾을 수 있다. [[한국FM방송]]의 경우는 [[시보 방송|시보]]가, [[전일방송]]의 경우에는 방송종료멘트가 남아 있다. * [[서해방송]]의 모든 자료 서해방송과 비슷한 위치였던 전일방송은 전일가요제 2, 3기 자료와 방송종료멘트라도 남아있지만 서해방송은 남아있는 것이 전혀 없다. * [[경인방송|iTV]]의 많은 방송 자료들[br]현재 [[아이넷TV]]에서 영상 자료를 보유하고 있고 가끔 재방송하지만 아이넷TV에서는 영상 판매를 하지 않아 볼 방법이 없다. * 한국의 대다수 [[홈쇼핑]] 채널들의 방송 자료들 홈쇼핑 방송 자체가 상품 판매를 위한 방송이고 상품 판매가 종료되면 방송 분량도 폐기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1995년 한국에서 TV 홈쇼핑이 등장한 이후 그 당시 방송자료가 남아있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간혹 유튜브 등지에서 개인이나 홈쇼핑 납품기업이 녹화해 놓은 자료가 올라오기는 한다.] * [[HLKZ-TV]]의 사실상 모든 방송 자료들[br]HLKZ-TV의 방송 영상 중 오늘날에 전해지는 건 [[https://youtu.be/UUbHlNPAzqk|1956년 9월자 대한뉴스에 보도된 몇 초 가량의 장면]]이 전부다. 다만 HLKZ-TV가 존재하던 1950년대 중후반의 한국은 [[일제강점기]]와 [[6.25 전쟁]]의 여파로 세계 최악의 최빈국 가운데 하나로 꼽혔던 데다 기성 선진국들도 1950년대 방송자료가 남아 있는 게 드문 마당인 것을 넘어 모든 방송을 생방송으로 진행해 녹화 자료를 남길 수도 없었으니 1959년 2월 2일에 방송국 건물이 화재로 사라진 걸 감안하지 않아도 방송자료가 제대로 보존되는 게 더 이상한 일이긴 하다. 전술했듯이 HLKZ-TV의 폐국으로부터 20년도 더 지난 1980년대 방송자료도 [[언론통폐합]]과 방송자료 재활용 때문에 상당수가 유실된 상황이다. * DuMont의 여러 방송 자료들[br]1942~1956년에 존재했던 미국의 지상파 방송국으로 텔레비전 방송만 했다. [[NBC(미국)|NBC]], [[CBS(미국)|CBS]]와 경쟁했었으나 여러 가지 사정으로 인한 재정 문제 때문에 결국 폐국되었다. 한 증언에 따르면 1970년대 초반에 많은 방송자료가 바다에 버려졌다고 한다.[[https://loc.gov/programs/national-film-preservation-board/preservation-research/television-videotape-preservation-study/los-angeles-public-hearing|#]] 그래서 그런지 남은 자료들이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의 모든 방송 회차들[br]공식 홈피 개편으로 모든 에피소드가 사라지기 이전에도 방영 이후 많은 논란을 불렀던 방송들은 다시보기가 불가능했다. 대표적인 사례가 [[미운오리새끼 태형]]. 간혹 가다가 유튜브에 [[SBS]] 공식 채널에서 볼 수 없는 방영분이 올라오기도 하며, 거의 모든 에피소드가 2018년 이전까지만 해도 유튜브에 올라온 적도 있었으나 대부분이 SBS 측의 조치로 인해 로스트 미디어가 되어 버렸다. 단, [[페이스북]]이나 [[데일리모션]] 등에 올라간 영상들은 대부분 차단 당하지 않고 그대로 감상이 가능하다. 그 외에도 각종 [[중국]]계 동영상 공유 사이트에 올려진 경우도 많으나, 이도 소실된 경우가 많다. 전술한 유튜브에 올려진 거의 모든 에피소드의 출처가 유쿠 같은 곳이도 하다. 방송 이후 논란이 큰 에피소드에 등장한 아이는 근황 공개하는 스페셜 에피소드에서도 다시보기할 땐 편집되어서 볼 수 없다. 2020년에 SBS가 홈페이지를 개편하면서 모든 에피소드를 삭제한 터라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도서관 내에서 일부 회차의 DVD 복사본에 의지해야 하며, 2006, 2008, 2011년에 일부 방송 내용을 추린 단행본 총 3권이 각각 있긴 하나 이마저도 절판된 상태. * [[육군, 우리 육군]] 공식 뮤직 비디오[br]다만 이는 처음부터 안 좋은 의미로. * 위즈원츄, 마루짱 등 [[WIZ*ONE]] 유튜버들의 [[IZ*ONE]] 영상들[br]주로 [[프로듀스 48]] 당시 멤버들의 영상이나 [[아이즈원츄]] 시즌 1, [[컬러아이즈]] 활동 때의 영상들이다. 2019년 4월 경 [[일본]] [[엠넷]]의 저작권 철퇴로 인해 전부 비공개로 전환되었고 일부는 채널마저 삭제되었다. 다만 [[아이즈원 허브홈]]에 가면 일부 영상들이 보존되어 있어서 완전히 [[로스트 미디어]]는 아니었지만, 2021년 12월 31일부로 허브홈이 문을 닫으면서 완전한 로스트 미디어가 되었다. * [[SBS 인기가요]] 96회 '''방영분''' (2000년 1월 23일 방송)[br][[조성모]]의 2.5집 Come back special과 [[S.E.S.]]의 3집 활동 도중 유일한 1위 수상이 있었던 회차로, SBS 측에서 방송분을 유실하여 다시보기가 제공되지 않는다. * [[배철수의 음악캠프]] 첫 방송분[br][[MBC FM4U]]를 통해 방송 중인 장수 라디오 프로그램인 [[배철수의 음악캠프]]에 따르면 1990년 3월 19일 오후 8시에 [[MBC-FM]]을 통해 첫 방송된 배철수의 음악캠프의 첫 방송분은 MBC에 있는 자료실에서도 유실되었다고 한다. 배철수의 음악캠프 10주년인 [[2000년]]부터 MBC에서 찾기 시작했지만 계속 못 찾고 있다고. 2014년에 MBC 본사 사옥을 여의도에서 상암으로 이전한데다가 이 자리에 [[브라이튼 여의도]]가 입주하면서 더욱더 찾는 건 어려워진 상태이다. * [[개그콘서트]] 14화 '''방영분'''(1999년 12월 11일 방송)[br]크큭TV 측에서 당시 방송 자료가 유실되어 업로드할 수 없다고 하였으나, 이후 크큭정주행을 통해 개그콘서트 14화 분량도 무사히 업로드되었다. 다만 당시 방송 자료가 올라간 것이 아니라 서버에 남아 있던 14화 원본 촬영본이 사용되어 재편집되고 올라온 것[* 실제로 타 방송분과는 다르게 공연 시작 전 흥을 돋구기 위한 오프닝 공연이 잘리지 않고 그대로 포함되어 있고 무대 촬영 원본이 일부 유실된 상태인지 코너를 진행하고 있음에도 관객들만 계속 비추는 장면이 포함되어 있다. 쉽게 말해 무대 쪽 촬영본 역시 대부분 유실 된 것. 1시간짜리 영상에서 오프닝 공연만 40분이고 실제 방송용 코너는 20분 정도의 분량만 나오고 [[사바나의 아침]]을 비롯한 당시 인기 코너들의 대부분이 나오지 않고 끝나버린다.]이기에 실제 방송분과는 달라 정식 방송분으로 편집된 버전은 여전히 로스트 미디어 상태이다. * [[꼬꼬마 텔레토비]] KBS 2TV판 대다수 에피소드[br][[영국방송공사|BBC]]에서 인터넷 다시보기 서비스[* 까다로운 수수료와 관련이 있다. [[영국방송공사#s-4|4 문단]] 참고.]나 녹화 판매 등을 하지 않는 조건으로 프로그램을 수출하기 때문에 저작권 문제로 다시보기 자체가 안 된다. 이는 일본의 [[테레비 도쿄]] 등 프로그램을 수입한 다른 국가의 방송사들도 마찬가지. 다만 [[https://youtu.be/bTW5eG6VZR4|유튜브]]를 잘 찾아보면 방송 내용을 녹화한 영상들이 많이 남아 있고 [[KBS 2TV]] 신판은 아예 유튜브 채널도 있다. * [[김구라]]의 위자료 청구소송 [[tvN]]에서 2007년 방영된 프로그램인데 2024년 기준 그 어떤 정보도 남아있지 않다. [[곰TV]]를 비롯한 몇몇 매체에서 다시보기를 제공했던 것으로 보이나 판권이 만료되어 볼 수 있는 곳이 없다. * [[야 개 짖는 소리 좀 안 나게 하라]]의 [[두시탈출 컬투쇼]] 사연 * [[기내더빙]]용 작품들[br]기내더빙된 작품들은 대부분 기간 한정 판권 계약으로 운용되어 있어서 VOD 같은 서비스를 지원해 주지 않는다. 다만 [[어메이징 스파이더맨(영화)|어메이징 스파이더맨]]처럼 기내 더빙을 공식적으로 제공하는 경우가 극소수나마 있긴 하다. * [[동물의 왕국]][br]일부 방영분[* KBS 방영 당시 제목 마지막 회색곰을 찾아서, 고릴라: 불투명한 미래, 치암부라 협곡의 침팬지들, 호랑이 원정대, 부탄의 야생 호랑이, 히말라야 호랑이를 찾아서, 위기의 사자들, 강아지들의 놀라운 세계 - 마법 같은 여정, 신비의 섬 마다가스카르, 고릴라 가족 2부, 특선 다큐로 방영된 프로즌 플래닛 7부 등 11개 영국 [[영국방송공사|BBC]] 다큐들과 2010년 프랑스 키파루(Kifaru) 제작 다큐 작은 몸집으로 살아가기와 2022년에 방영된 독일 닥나이츠(Doclights) 제작 다큐 온화한 거구 해우 등 13개 다큐들. 그리고 이 중에서 위기의 사자들과 강아지들의 놀라운 세계 - 마법 같은 여정는 현재 비공개로 전환되어 볼수 없다.]의 일반 방영분[br][[KBS]]에서 2021년부터 [[동물의 왕국]] 방영분을 [[유튜브]]에 업로드하고 있는데 일부 방영분들은 일반 방영분이 아닌 화면 해설 방영분으로 업로드 되었다. 이 방영분들 외에 다른 방영분들은 대부분 화면 해설이 없는 일반 방영분으로 업로드한 것으로 볼 때 이 방영분들의 일반 방영분은 소실된 것으로 보인다. * KBS 해외 다큐[br]일부 방영분[* 지구라는 이름의 기계, 빅뱅 이전에 무슨이 있었나, 위성 고고학, 고대 이집트를 발견하다 2부, 신(新)북극 사람들, 지구와 우주 4부, 멕시코만 원유 유출, 87일 간의 기록, 윌리엄 왕자와 약혼녀 케이트 등 7개 영국 [[영국방송공사|BBC]] 다큐들과 [[내셔널 지오그래픽]] 제작 다큐 아프가니스탄의 추억 - 사진작가 레자 등 8개 다큐들. 그리고 이 중에서 멕시코만 원유 유출, 87일 간의 기록과 윌리엄 왕자와 약혼녀 케이트는 현재 비공개로 전환되어 볼수 없다.]의 일반 방영분[br][[KBS]]에서 2023년부터 KBS 해외 다큐들를 세상의 모든 다큐[* 유튜브 계정 이름이 2011년 부터 KBS 해외 다큐들를 방영하고 있는 세상의 모든 다큐이지만 그렇다고 세상의 모든 다큐의 방영분들 뿐만 아닌 과거에 방영되었던 세계걸작 다큐멘터리, 해외걸작선, KBS 특선, KBS 다큐 월드, 글로벌 다큐멘터리, 해외걸작 다큐, 특선 다큐 등의 방영분들도 업로드 하고 있고 심지어 [[동물의 왕국]]의 방영분도 업로드한 적이 있다.]라는 [[유튜브]] 계정에 업로드하고 있는데 [[동물의 왕국]]과 달리 [[내셔널 지오그래픽]] 제작 다큐 아프가니스탄의 추억 - 사진작가 레자[* 이 다큐는 현재 KBS [[세계는 지금]] 유튜브 계정에 있다.]과 미국 [[히스토리 채널]] 제작 다큐 세계 박물관 기행를 제외한 모두 영국 [[영국방송공사|BBC]] 다큐들를 업로드하고 있으며 [[동물의 왕국]]처럼 일부 방영분들이 일반 방영분이 아닌 화면 해설 방영분으로 업로드 되었다. 이외에 다른 방영분들은 대부분 화면 해설이 없는 일반 방영분으로 업로드한 것으로 볼 때 이 방영분들의 일반 방영분도 역시 소실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해외 다큐인 만큼 [[타이타닉]]: 충돌에서 침몰까지,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비밀노트, 미국 [[히스토리 채널]] 제작 다큐 세계 박물관 기행 처럼 시간이 좀 지나면 비공개로 전환되어 못 볼수도 있으니 보고 싶은 방영분들이 있다면 빨리 보는게 좋다.[* 이는 위의 동물의 왕국 유튜브도 역시 마찬가지이다. 심지어 다른 KBS 유튜브 계정에도 시간이 지난 직후에 비공개로 전환된 프로그램들과 클립 영상들이 꽤 있는데 세상의 모든 다큐와 동물의 왕국처럼 해외 다큐인 경우는 저작권 문제 때문에 더 빨리 비공개 전환될 가능성이 높으니 볼 수 있을 때 빨리 보는 게 좋다. 비공개 및 삭제된 이후에도 계속 보고 싶다면 그 전에 유튜브 동영상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확장 프로그램]]으로 사용해서 다운 받아야 한다.] * 외화 더빙(특히 지상파) 상당수 : 애니메이션과 비슷한 이유다. 다만 유명했던 것들은 녹화비디오에서 찾아낸 것들이 유튜브에 업로드되기도 한다. * [[테크워|사이버 캅]] (테크워로 추정되는 외화의 더빙판) 미국 [[Syfy]] 채널에서 방영된 [[윌리엄 섀트너]] 著[* 실제로는 론 굴라드라는 SF 작가가 섀트너로부터 대필을 받았다.] 동명의 SF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미국 드라마로, 드라마가 방영되기전 드라마의 일부 편집본 에피소드가 《테크워》라는 제목 그대로 자막 비디오로 연작인 것처럼 발매되었으나, 이와 별개로 한국어 더빙판 방영이 예정되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1990년대 중반 심야시간대 KBS쪽으로 추정되는 방송국에서 《사이버 캅》이라는 제목의 신작 외화가 방영 예정이라는 예고가 있던 것으로 보인다. 특정 편집자의 오기억일 수도 있으나, 국내 방영명부터가 '사이버'가 들어가있고, 테크워가 [[사이버펑크]] 작품이며, 테크워 비디오게임판에 등장하는 특유의 기계손 인터페이스([[:파일:tek_interface.png|참고 이미지]])와 흡사한 장치가 해당 예고편의 스틸에서도 나온 것으로 보아 [[테크워]] 드라마의 한국 더빙판일 가능성이 높다. 파일럿으로라도 방영이 되었는지의 여부는 불명. * 스포츠 방송: 생중계와 녹화가 원활하지 못하던 1960년대까진 중요 대회가 아니고선 선수들의 활약상을 확인할 수 있는 매체는 문서나 라디오 음성 밖에 없었고, 이들보다 여건이 더 열악했던 한국은 말할 것도 없다. 특히 [[이회택]]과 [[차범근]] 등이 수 놓던 1960~70년대 국내 영상물은 대부분이 녹화되지 못했고 있더라도 소실된 게 절대다수다. * 1970년대 이전 상당수의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중계 영상들 * 1976년 박대통령컵 말레이시아전: 1:4로 패색이 짙은 상황에서 경기 종료 6분을 남기고 [[차범근]]이 [[해트트릭]]을 몰아치며 팀을 패배로부터 구해낸 국대 역대급 명경기로 회자되지만, 안타깝게도 녹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남아 있는 영상은 유실되어 전해지지 않는다.[[https://sports.hankooki.com/news/articleView.html?idxno=6505221|#]] [[https://youtu.be/lleCWNn9rUw|MBC에서 당시 촬영한 일부 영상이 있다.]]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벤투호/2019년#s-6.3|2019년 북한 원정 경기]]: 이 경우는 영상 중계가 원활한 2019년임에도 영상 자료가 보존되질 못한 희귀 케이스. 지극히 폐쇄적인 북한 사회와 급속 냉각된 남북 정세가 맞물려 북한 측의 비협조적 태도로 남한 선수단을 향한 홀대도 심했고 중계는 물론 관중석을 텅텅 비우는 증인까지 인멸시켜 '깜깜이 축구'로 논란을 불러일으킨 경기였다.[[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9/10/17/2019101701095.html|#]] 남은 건 포메이션과 출전 기록, 카드 수집 등 문서적 자료들과 선수단과 스탭들의 증언 뿐으로서 흙오이로만 남겨질 중계가 되어버린 것. 한편, 경기는 악조건 속에서도 0-0 무승부로 마무리되었고 이후 북한 측의 월드컵 기권으로 해당 경기는 예선 기록으로선 말소되고 친선 경기로 전환되었다. * [[천사랑(EBS)]][br]EBS 홈페이지에서 다시보기 영상이 내려간 이후 유튜브에 오프닝과 엔딩만 남아있다. * 최초의 [[긴급지진속보]] 풀 버전 [[2008년]] [[4월 28일]]에 [[미야코섬]] 앞 바다에서 규모 5.2, 최대 진도 4의 지진이 발생하여 긴급지진속보가 발령되었지만 정작 중요한 지진 보도 순간이 빠져있다.[[https://m.youtube.com/watch?list=PLSnXKKcKuLpoG-TJzV3-obhE2BzigQtZm&v=8h3PzZiFcZ0|#]] * [[퀴즈장사 만만세]][br][[EBS]]의 해당 사이트 삭제 및 유튜브 영상 3/4가 비공개화되었다. 전자 사이트는 유료로 구매해야 하며 HD 화질에 프레임 진행이 안정적이나, 후자 유튜브에 업로드된 영상들은 프레임 끊김이 상당히 심하다. * [[흙오이]][br]오랫동안 [[만델라 효과]]로 여겨졌지만 일부 자료가 발견되어 부분적으로 발견된 로스트 미디어가 되었다. 자세한 건 문서 참고. * [[왜 그리스는 새벽에 축구해요?]][br] 발언의 진실 여부와 별개로 해당 발언이 나온것으로 추측되는 [[SBS]] '가자 아테네, 이기자 대한민국'이 VOD 서비스조차 되지 않아 로스트 미디어가 되었다. * [[가족놀이터 하늘땅 별땅]] : [[EBS]]에서 2010년 이전에 방영되었던 프로그램이며, [[출발 드림팀]]처럼 다양한 놀이와 게임을 진행했던 방송이었다. 현재 [[EBS]]공식 홈페이지에서는 이 프로그램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전혀 찾아볼 수 없으며 웹사이트에 검색해 보아도 찾아볼 수가 없다. 이는 너무 오래전에 방영된 데다가 별로 인기가 있는 프로그램이 아니었던 탓일 수 있다. * [[스타 다이빙 쇼 스플래시]] : 다이빙을 소재로 했다보니 방영 전부터 안전불감증에 대한 논란이 끊임없이 있었다. 그러다가 출연진인 [[이봉원]]이 안면 함몰로 인한 망막 부상을 당하면서 그 여파로 녹화 중단 사태까지 발생해 결국 공개 4회만에 사실강 폐지되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