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로스트 미디어/목록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애니메이션 === 대부분의 오래된 외국 애니메이션 및 드라마, 영화, 특촬물 더빙 작품들은 상당수가 판권 문제나 여러 복잡한 사정으로 [[재방송]]을 하지 않아서 찾아볼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다만 방영 당시 동화책, 그림책, 만화책 등으로 나온 더빙작은 이러한 2차 이식 매체를 통해 대강의 내용이나 현지화 방식을 유추할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한 작품들은 파악이 어렵다. * 태동기와 황금기에 개봉된 [[미국 애니메이션]] 중 일부 작품들[br][[펠릭스 더 캣]]은 1919년부터 1921년까지 개봉한 단편 중 대부분이 유실되어 극소수 작품만 볼 수 있는 상태이며 [[오스왈드 래빗]]의 극초기(1927~1929) 단편들 중 20여 편의 필름들도 행방불명되어 감상이 불가능하다. 황금기에 상영된 단편 애니메이션들의 경우 재상영 판본들은 대부분 존재하지만, 루니 툰 & 톰과 제리 & 디즈니 단편 등의 오리지널 판본들은 극장에서 재상영되면서 타이틀과 일부 장면이 유실된 사례들이 있으며, 필름 보관소의 화재와 (오리지널 판본의) 관리 부실로 인해 사라진 판본들이 많다. * [[스트라이크 위치스]] 창공의 소녀들[br]2005년 말 [[콤프에이스]]에 연재된 시리즈 첫 미디어 믹스 작품이었으나 3화로 연재 중단되고 단행본이 나오지 않아 인터넷에서 스캔된 몇몇 장면만 찾아볼 수 있다. * 몽쉐리CoCo[br][[니혼 테레비 동화]]에서 만든 로맨스 장르 애니. 1972년 8월부터 3달간 방송되었다. 총 13화. 1990년대 초까지 재방송되었지만 이후 2차 매체 발매가 전무해 현재 찾아볼 수 있는 건 오프닝뿐이다. * [[ASTRO BOY 철완 아톰|ASTROBOY 철완 아톰 ~ 10만 광년의 방문자·IGZA]] * [[꼬라지]][br]2000년 초반에서 2004년까지 '꼬라지게임방'이라는 제목의 개인 사이트에서 서비스했던 플래시 애니메이션으로 당시 꽤 인기가 있어 유료 패키지게임까지 발매하였으나 존속 기간이 짧았던 탓인지 비슷한 시기 유행했던 다른 플래시 매체에 비해 인지도가 부족한 편이다. 대다수의 작품이 추출이 불가능하여 [[플래시아크]]에도 사이트 개편 이후의 대문과 패키지게임 주문서, 입금 안내 플래시밖에 등재된 것이 없다. 사이트 명에서 알 수 있듯 꼬라지와 무관한 각종 플래시게임도 서비스했으나 현재 추출에 성공한 작품은 [[https://flasharch.com/ko/archive/play/1d6f0120b32c228ad56376ce6bce7f57|한차로]]가 유일하다. [[https://youtu.be/66T0iHxkTy4|플레이 영상]] * 꼬마 고양이 마오 비앰코리아 비디오에서 나온 노란색 고양이가 나오는 애니메이션이다. 이미지는 존재하지 않았는데, 디시 [[로스트 미디어 마이너 갤러리]]에서 어떤 사람이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lostmedia&no=33064|이 애니메이션에 대한 게시글을 작성해서 올렸다]]. 또한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에서 비디오 작품이 있었고, 알라딘 쇼핑몰에서 [[https://www.aladin.co.kr/m/mproduct.aspx?ItemId=362843&srsltid=AfmBOoqP2ZTb0a58l7KDxXDs0oCZuf8wuxzeVrdNoycwdpMhwcO0TRJo|비디오]]가 판매되어 있었다. 오래 전 옛날에 SBS에서 방영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현재는 [[https://m.dcinside.com/board/lostmedia/47634|비디오 테이프의 사진 자료]]는 발견된 상태이다. * [[날아라 호빵맨]] 파일럿 애니메이션 일본어 오리지널 판본 * [[빼꼼(애니메이션)|빼꼼]] 일부 에피소드 * [[네모바지 스폰지밥|네모네모 스펀지송]] 대다수 에피소드[br]2000년대 후반에 [[판도라TV]]와 [[웹하드]] 등지에 널렸으나 사이트 측의 무자비한 단속과 업로더의 탈퇴, 사이트 폐쇄 등으로 유실됐다.[* 현재는 많은 에피소드가 발굴되었다.] 현재는 재능판, 닉판, 파라마운트+ 재더빙판[* 일부 스페셜 에피소드.]으로 대체되었다. * 데즈카 오사무 어워드 * [[에리얼(소설)|로봇전사 아리엘]]: [[투니버스]]에서 [[1996년]] 신작으로 방영됐다는 정보 외에는 '''모든 것이 실전된 상태이다.''' 만화동산 같이 국내에 방영한 애니메이션 주제가에 대한 정보가 방대했던 곳이나 성우진만큼은 기록하는 [[캐스팅뱅크]]에서도 해당 애니메이션의 성우진에 관한 정보도 없을 정도다. * [[변신로봇5]] * 세 친구 한국판 * 심술쟁이 청포도 가족 한국판[br]원판이 1990년대 초반 즈음에 발매되었던 상당히 초창기 에피소드다 보니 방영 당시 한국에서 OVA로 발매되지 않았다. 일본판의 경우 1998년 즈음에 수입되어 OVA를 판매했다. * [[철완 탐정 로보타크]] * [[초성신 그란세이저]] * [[투포야 놀자]] * [[장난감 집]][br][[중국]]의 초창기 3D 애니메이션으로 알려져 있고 그저 인터넷에서 루머로 여겨졌던 작품이 실제로 있었던 작품이었다는 사례 중 하나다. 그러나 알 수 없는 이유로 몇몇 녹화본들을 제외하면 사라졌는데 오프닝에서 나온 장면들이 유실된 에피소드들을 짜깁기한 것으로 보인다. * 영웅거신[br][[칵테일 미디어]]가 제작한 만화. 2016년 플레이스토어에 한정하여 출시했고 서비스 종료 상태이기 때문에 유실되었다. 남은 스크린샷에 따르면 [[신비아파트 시리즈]]의 등장인물 민정이 등장한다는 정보가 있다. * [[석기소년 또로]][br]어린이동아 사이트 개편으로 인터넷에 업로드된 것을 제외하면 전부 유실되었다. * 번개기사 대전지옥군단 원판 * 마이워디[br][[한국몬테소리]]에서 제작된 작품이나 이후 한국몬테소리 측에서 해당 자료들을 전부 폐기했다. 그리고 워디스톤도 고작 1권만 나오고 [[흑역사]]가 되었다. * [[Who Killed Captain Alex]] 원본[br]토착어 원본은 2010년 정전으로 인해 손실되었고 유튜브에 올라온 영어 더빙+코멘터리가 추가된 영상만 남아 있다. * [[Eddsworld]] 일부 에피소드[br]2012년 원작자인 [[에드 굴드]]가 [[백혈병]] 투병 도중 사망한 이후, 공식 홈페이지가 [[컴퓨터 바이러스]]에 걸려 없어지고 설상가상으로 에드가 활동했던 창작 사이트 Sheezyart가 사라지면서 초기 단편작 대부분이 유실되었다. 개중에 [[저작권]]에 심하게 걸리지 않는 것들은 배경음악을 바꿔서 업로드되어 [[유튜브]] Eddsworld Extra 채널에서 볼 수 있다. * 빅 X[br]전체 분량 중에서 반도 못 미치는 분량의 에피소드(총 22화 분량)만 현존한다. * [[퍼맨]](1967~68)[br]DVD가 발매되었으나 4-A, 17-A, 39-A, 45-B화는 음성이 누락되었고 16-A, 47-A화는 수록되지 않았다. * [[철완 아톰(1963년 애니메이션)|철완 아톰(1963)]][br]139편이 유실되었다. 125, 127편은 유실 중이었다가 2024년 3월 복원되었다. * [[캐릭온 TV]]의 일부 에피소드. * 시즌 1 [[캐릭온 TV/시즌 1|그림 그리기]]: 전체. * 시즌 2 [[캐릭온 TV/시즌 2|클레이 아트]]: 일부. * 시즌 3 [[뽀로로 장난감 애니]]: [br][[https://youtu.be/aHQRzHXywOQ|콩순이 어디서나 꼬마샤워기로 막장뽀로로를 씻겨줄께!]] 극후반부[* 캐릭온이 뽀로로에게 샤워기를 던지고 포비가 "어, 역시 망치였어."라고 말하는 장면, [[https://www.youtube.com/watch?v=aHQRzHXywOQ|이 댓글]]을 참고하면 최소 2021년에도 삭제된 상태였던 것으로 추정.], 장난감 연극과 정답 시리즈. * [[페니 아케이드]] '벤치' 이벤트 만화 일부 '페니 아케이드'는 미국의 웹코믹 시리즈이다. 한 때 본 만화의 공식 홈페이지에서 '벤치'(The Bench)라는 연재 만화가 업로드된 적이 있으며, 팬들이 한 에피소드를 바탕으로 파생 버전을 만들어 내고 사이트 소유자에게 제출하는 방식으로 연재되었다. 일부 연재분은 타 웹사이트에 보존되어 있으나, 많은 '벤치' 시리즈 이미지는 아카이브 사이트인 웨이백머신에서도 뜨지 않는다. * [[환성신 저스티라이저]] 일부 에피소드 * [[이레자이온]] 일부 에피소드 * [[재미나라]] * [[누야(재미나라)]] * [[전광초특급 히카리안|마하특급 델타트레인]] 대다수의 에피소드 * [[제트레인저]] 스페셜판[br]그나마 본편(1~26화)은 [[유튜브]]를 통해 다시 볼 수 있다. 2020년 2월 1일에 '김인일' 네이버 카페를 통해 본편과 함께 저화질 버전으로 공개되었으나 현재는 접근 자체가 제한되어서 다시 로스트 미디어화되었다. * [[꼬마 자동차 붕붕]][br]KBS1 종영 후 비디오 발매와 EBS 재편성까지 된 바 있으나 넷상에서 찾을 수 있는 에피소드는 1화부터~36화까지 전부이고 이후의 나머지 에피소드들은 찾아보기가 어렵다. * [[꼬마버스 타요]] 파일럿판 에피소드[br]2008년경 방영되었던 파일럿판 에피소드들. 제작사가 디자인스톰으로 다르며, 일부 설정 등 역시 본편과는 큰 차이가 있다. 에피소드 전편이 유튜브에 업로드 되었으나 비공개 처리되었다. 현재는 오프닝 영상만이 유일하게 남아있다. * [[난다 난다 니얀다]][br]현재 인터넷에는 대만어, 광동어판만 전편이 있고 한국판 및 일본판 에피소드가 일부 누락되어 있다. * [[낚시왕 강바다]] 대다수의 에피소드 * [[내 친구 아서]] 대다수 에피소드[br]일부 2001년 방영판(12개 에피소드)은 [[판도라TV]]에 남아 있으나 2000년 에피소드와 2001년 후반 에피소드는 찾아보기가 힘들다. '내 친구 아서 더빙'이라는 키워드의 검색결과 대부분은 '오빠 개야 개'로 유명한 [[백설양]]의 병맛더빙이다. * [[내 친구 우비소년]] 1기 15화 * [[도라에몽(애니메이션)|도라에몽]] * [[도라에몽(1973년 애니메이션)|1973년 닛폰 테레비판]][br]첫 애니판 도라에몽으로 26부작으로 방영되었으나 공식에서 [[흑역사]] 취급을 받아서 현재는 극히 일부 자료만 남아 있고 비공개로 처리되었다. 오프닝과 엔딩 영상은 남아 있고 인터넷에서 볼 수 있는데 [[니혼 테레비 동화]]에서 근무했었던 직원 마사미 준이 회원 한정으로 공개했던 것을 [[5ch]]의 유저가 무단 전재했기 때문이다. 인터넷에서 접할 수 있는 마지막회 1부, 2부, 3부는 어떤 일본인이 1973년 방영 당시 오픈 릴 테이프로 녹음한 것이다. 영상은 아니고 소리만 녹음한 것. 한편 대한민국의 어느 네티즌이 2000년대 중반에 네이버 지식iN을 통해 [[비디오 대여점]]에서 니혼판 도라에몽을 시청한 경험이 있는 것 같다고 증언했는데 이것이 2020년 한국 도라에몽 팬덤에 파장을 몰고 와 팬들의 해당 네티즌의 협력 하에 해당 녹화분과 녹화분의 소재지를 수소문하기도 했고 악전고투 끝에 소재지 특정에 성공했으나 수색 시점에서 해당 대여점은 이미 폐업했고 녹화분은 모두 판매, 폐기 처분되었다는 사실이 확인되어 아쉬움을 남겼다. [[https://gall.dcinside.com/doraemon/8842|당시 타임라인]] * [[도라에몽(애니메이션)|도라에몽]] 대원방송판 1기 49화[br]구 도라에몽으로, 해당 회차들을 제외한 다른 회차들은 남아있는 반면, 해당 회차만 알 수 없는 이유로 소실되었다. * [[도라에몽]] 켄짱의 모험[br]1981년 세계 장애인의 날 기념 캠페인용 특별 단편 애니로 [[https://www.shougaiji-zaidan.or.jp/|사회복지법인 전국심신장애아복지재단]]이 제작했으며 도라에몽의 등장인물들과 지체장애인 켄짱과의 교류를 다루는 내용이다. 일본 각지의 학교, 공민관과 [[테레비 아사히|TV 아사히]]에서 틀었고 이후 각지에서 틀어줬는데 마지막으로 상영된 게 2002년이다. 재방송 및 VHS/DVD화가 한 번도 되지 않았고 《교통안전이야! 도라에몽》과 다르게 인터넷에도 올라오지 않아서 현재는 볼 길이 없다. 다만 2024년 2월 경 한 비디오테이프 수집광이 자신의 트위터에 TV 아사히 방영 당시 녹화본을 샘플로 올려 일부분이라도 볼 수 있게 되었다.[[https://twitter.com/VHSLOVEVHS/status/1763860073020043543?t=FCMCqWsvXEr5UcZDOMYuBA&s=19|#]] * [[라바(애니메이션)|라바]] 파일럿판 * [[미피(캐릭터)|딕 브루너 비디오]][br]한국판은 현재 아쉽게도 '바닷가의 미피', '보리스의 겨울 채비', '아기고양이 넬리', '빨간 모자', '미피가 왜 울까요', '배고픈 물고기', '로티, 화이팅!', '보리스의 봄 여름 가을 겨울', '백설 공주'만 공개되어 있다. * [[라라의 스타일기]] 2기 3~10화[br]저작권 문제로 소실이 불가피했다는 듯. * [[라즈베리 타임즈]][br]총 52화 분량의 작품이지만 인터넷에서 한국판은 25화까지만 남아 있고 일본판은 2~24화가 누락돼있다. 절반이나 되는 분량을 찾을 수 없는 셈. * [[로켓보이]] 한국판 18화, 51화 영국판 4화 이후 분량 유실[br]총 52화 분량의 작품이지만 인터넷에서 한국판은 18화랑 51화가 유실되어있고 영국판은 4화 이후 에피소드가 누락돼있다. 90%이나 되는 분량을 찾을 수 없는 셈. * [[마일로의 대모험]][br]2000년 KBS 미디어가 비디오 테이프로 낸 적이 있지만 2021년까지는 넷상에 남아 있는 영상이 오프닝과 엔딩 외에는 하나도 없었고 한국영상자료원에서도 베타캠 녹화본이 보존돼 있으나 영구보존을 위해 열람불가 상태다. 그러다가 2022년 한국영상자료원이 네이버 채널과 유튜브를 통해 고전 애니메이션 복원 작업의 일환으로 1화부터 12화까지를 공개했다. 그것도 상당한 고화질인데 네이버 ETECH Ai SR 기술로 고해상도 복원되었다고 한다. * [[방귀대장 뿡뿡이]] 초기 방영분(2000년 3월~2006년 8월)[br]그래도 일부 방영분과 비디오판은 찾을 수 있다. * [[별나라 요정 코미]] 한국판 39~43화[br]이 에피소드들은 비디오나 DVD로도 출시되지 않았다. 이마저도 KBS가 원본을 제대로 남기지 않아서 그런지 7세 관람가 표시와 우측 하단의 타이틀 자막이 그대로 나오며 KBS 로고는 판매 업체의 로고를 덧씌워서 발매하였다. 게다가 DVD의 경우는 아예 1~10화까지밖에 없다. * [[보거스는 내친구]]의 원작 클레이 애니메이션[br]총 300편 중에서 약 42개의 에피소드는 [[보거스는 내친구]]에서 본편과 같이 방영되었으나 나머지는 찾을 길이 없다. [[보거스는 내친구]]조차도 로스트 미디어 위키에 따르면 마지막 편이 유실된 상태이므로 현재는 41편만 확인가능한 상태. * [[보글 쿡 원정대]] 52화[br]작중에 유일하게 유튜브에서 비공개 처리 되었다가 다시 전체 공개로 설정된 에피소드. [[네이버TV]]에 올라왔지만 [[보글보글 쿡]] 시즌2 52화다. MBC 홈페이지에서 돈 내고 보는 게 아닌 이상 보기 어려울 것이다. * [[장덕대#여동생|뽀팝TV]] 초기, 중기 일부, 후기 일부 영상들[br]주인장의 채널 판매[* 정확한 과정을 설명하자면 기존 뽀팝TV 채널 [[https://www.youtube.com/@i-havit|판매]] → 신규 뽀팝TV 채널 [[https://web.archive.org/web/20220726053013fw_/https://www.youtube.com/channel/UCfUbUYycmkR-T8CgR6JxCng|개설]] 후 뽀로로 장난감 애니 폐지 → 신규 뽀팝TV 채널(키키) [[https://www.youtube.com/@-kikisurprise4400|판매]] 후 기존 채널과 신규 채널 모든 영상 삭제 순. 사실 채널 매매는 [[https://www.google.com/intl/ko/gmail/about/policy/#:~:text=Gmail%20%EA%B3%84%EC%A0%95%EC%9D%84%20%EC%9E%90%EB%8F%99%ED%99%94%EB%90%9C%20%EC%88%98%EB%8B%A8%EC%9C%BC%EB%A1%9C%20%EB%A7%8C%EB%93%A4%EA%B1%B0%EB%82%98%20Gmail%20%EA%B3%84%EC%A0%95%EC%9D%84%20%EB%8B%A4%EB%A5%B8%20%EC%82%AC%EB%9E%8C%EC%9C%BC%EB%A1%9C%EB%B6%80%ED%84%B0%20%EA%B5%AC%EB%A7%A4%ED%95%98%EA%B1%B0%EB%82%98%20%ED%8C%90%EB%A7%A4%2C%20%EA%B1%B0%EB%9E%98%2C%20%EC%9E%AC%ED%8C%90%EB%A7%A4%ED%95%A0%20%EC%88%98%20%EC%97%86%EC%8A%B5%EB%8B%88%EB%8B%A4.|약관 위반]]이지만 주 시청층이 어린 아이들인데다가 3년을 넘게 잠적하여 이미 다 떠났기 때문에 별다른 논란이 되지는 않았다.]로 인해 현재 공식적인 루트로는 [[https://naver.me/IMnNSJkB|네이버 TV 뽀팝TV 애니 채널]]과 [[https://naver.me/GoDTuiWt|네이버 TV 뽀팝TV 채널]]에 업로드된 중기 영상 일부, 후기 영상 일부만 볼 수 있으며 과거에는 여러 불펌 영상들이 많이 돌아다녀 그다지 심각한 정도는 아니었으나 불펌 영상들이 업로드된 채널들이 삭제되고 있어 특히 초기 영상들은 대부분이 유실되었다. * [[블루스 클루스]] 한국판 [[블루스 클루스|수수께끼 블루]][br]한 때 인터넷 다시보기 서비스를 했었으나 [[https://arca.live/b/spooky/85320036|홈페이지 개편]]으로 날아가 버렸다. 이 때문에 해외에서는 한국판을 [[로스트 미디어]]로 여겨 관심을 가지는 외국인이 있으며, 아예 블루스 클루스 한국판이 해외 로스트 미디어 위키에 [[https://lostmediawiki.com/Riddle_Blue/수수께끼_블루_(partially_found_Korean_adaptation_of_"Blue%27s_Clues"_Nick_Jr._animated/live-action_series;_2000-2001)|문서]]가 만들어질 정도이다. 게다가 [[https://ming0211.tistory.com/374|한 블로그]]에서도 외국인이 번역기를 돌려서 한국어로 댓글을 적기도 했다. * [[빌리(애니메이션)|빌리]] 일부 에피소드 * [[사이다(동음이의어)|사이다]][br]2008년 [[KBS]]에서 방영한 토크쇼 프로이며 사회자로 [[정선희]]가 출연하여 비공개 처리. 다만 [[홍진영]]이 출연한 [[안나의 실수]] 코너는 유튜브에 공개되어 있다. * [[스위트 프리큐어♪]] 일부 에피소드 * [[아이언키드]] 일부 에피소드 * [[아쿠 돈파 이야기]] 3화~52화 * [[오인용]] 2002~2004년 [[플래시 애니메이션]]들 중 극히 일부[br]2005년 홈페이지 개편으로 삭제돼서 소수의 작품들은 현재 구하기 힘든 레어작들이다. 그 중 《백건J》는 멤버인 [[장석조]]의 유튜브 채널에 올려진 바 있으나 몇 년 뒤 내려갔고 그나마 2022년 1월에 [[족구왕 똥배]] 일부 에피소드가 발굴되어 그나마 희망이 생기게 되었다. 그리고 2023년 3월, 그 업로더에 의해 [[https://flasharch.com/boards/2/read/893|작품 대부분을 발굴에 성공]]했다는 글을 올렸다. 다만 여러 가지 문제 등으로 인해 업로드는 보류 중이었으나 2024년 3월에 마침내 업로드되었다. * [[용자특급 마이트가인]] 35, 41화 * [[유치커]] 상당수 에피소드[br]만화가 그려진 지 워낙 오래된 데다 원작자 푸스터이 팔(Pusztai Pál)이 사망한 후 연재가 중단되어 많은 에피소드들이 사라졌다. 그나마 남아 있는 것들은 신문 스캔본들. * [[우당탕탕 재동이네]][br]재동이 성에 눈 뜨다, 사랑하니까, 큰 엄마 작은 엄마 에피소드[br]원래는 각각 10화, 11화, 13화였으나 어째서인지 공식에선 이 에피소드들을 내려버리고 다른 에피소드들로 대체했다. 당시 사이트에 올려진 대본들을 보면 성에 눈뜨다와 사랑하니까 에피소드는 성적인 내용과 술이 나와서 애들이 보기에 부적절해 삭제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큰 엄마 작은 엄마 에피소드는 문제되는 내용이 딱히 없음에도 불구하고 어째서인지 삭제되었다.[[https://web.archive.org/web/20021201083435/http://jaedong.hanafos.com/jaedong_dir_010.asp|#1]], [[https://web.archive.org/web/20021201085726/http://jaedong.hanafos.com/jaedong_dir_011.asp|#2]], [[https://web.archive.org/web/20021201090659/http://jaedong.hanafos.com/jaedong_dir_013.asp|#3]] * [[성웅 이순신과 그 아들 면]][br]여러 사정으로 인해 작품이 완전히 완성되지 못한 채 개봉되었다. * [[루씨씨 기우기]][br]애니메이션 관련 서적이 있지만 이마저도 1980~90년대에 발매해서 구하기 어렵다. * [[꼬마요리사 푸푸]] 한국판[br][[중화TV]]에서 더빙에 캐릭터명 개명까지 한 채로 방영했지만 방송국이 중국 드라마 전문 채널인지라 애니만큼은 인기가 없었다. * [[치치호 순양함]] 구판 * [[핀치와 펀치]][br]군복을 입은 핀치 & 펀치 쌍둥이의 모습이 그려져 있는 그림만 있다. * 고고원더 자연탐험대 원더쿵[br]아트플러스 엠이 제작해 과거 IPTV로 통해 공개되었던 애니메이션. [[http://animatoon.co.kr/soft/head_main_view.php?no=119&pinfo=info6|상상친구 꾸메푸메의 소개 사이트]]와 유튜브에 올라온 소수의 영상밖에 남아 있지 않는데 영상의 전체적인 색감이 [[쿵야쿵야]] 등의 2000년대 중후반 애니메이션과 비슷하며 오프닝에 사용된 3D 모델링의 전체적인 느낌으로 보아 최소 2000년대 중후반에 제작되었던 것으로 유추 가능하다. * [[악동이]] 스페셜[br]애니메이션판으로 [[https://gcon.or.kr/board/view?pageNum=129&rowCnt=8&linkId=2751&menuId=MENU02147&schType=0&schText=&boardStyle=Gallery&categoryId=&continent=&country=|대략 2009~2011년 방영]]되었다. [[판도라TV]]에 업로드되어 있었으나 2021년 초부터 영상이 삭제되어 볼 수 없으며 시리즈화에 실패한 파일럿판인 데다가 비디오 미발매, VOD 스트리밍도 따로 없다. * [[피그마리오]] 애니메이션판[br]작가 와다 신지(和田慎二)가 작품의 완성도에 실망해 작품을 봉인했다. * [[줄무늬 호랑이 시마지로]] 2003년 이전 에피소드[br]1 ~ 54화까지 VHS로 발매되었으나 그 이후 에피소드는 발매된적이 없고 온라인으로 공개된 적도 없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