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로스트 미디어/목록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 * [[마이크로소프트]] [[Windows]] 관련 * 16비트용 Microsoft Internet Explorer 4.01 한국어판 다운로드 페이지까지는 Interner Archive에 남아있지만 파일이 유실되었다. * 최초의 한국어판 윈도우인 [[Windows 2.x#s-2.1|한글 윈도우 2.1]]은 출시 때 많은 관심을 받지 못해 구입한 사람이 극소수였고, 현재는 단 한 카피만 남아 있다고 알려져 있다. * 아이댄스 (iDance) 1999년에 개발된 3D 댄스 강좌 플레이어였다. 당시엔 가수들의 안무를 배울 곳이 마땅찮아 실제 가수들의 댄서를 섭외해 모션 캡쳐를 딴 뒤 이를 3D 캐릭터들이 구간반복, 각도 변경 등을 통해 안무 강좌를 하는 최초의 댄스 커버 컨텐츠였다. 그러나 2005년경 가요계의 트렌드가 댄스 장르에서 발라드/미디움템포로 바뀌고 UCC가 활발해지면서 춤보다는 노래 커버, 그리고 개인이 뮤직비디오나 음악방송을 손쉽게 재시청 할 수 있는 온라인 환경이 조성되면서 스스로 보며 습득해 2012년에 자연스레 한국에서 사업 종료되었고 모든 컨텐츠들이 증발했다. 중국에서 몇 년 더 서비스를 지속하다 중국 사이트 역시 폐업했다. 이 때의 녹화된 아이댄스의 캐릭터 댄스 영상은 노래방 화면에서도 랜덤으로 이용되어 [[https://youtu.be/rewIzea32wM|보아]] 캐릭터의 흔적을 가끔 볼 수 있지만 실질적으로 유저들이 직접 조작할 방법은 영원히 없어졌고 수많은 유료 캐릭터와 무대 세트들은 지금 아예 온라인에 존재하지 않아 볼 수 없다. 설치 클라이언트를 확보했으나 온라인 계정 로그인이 필요해 무용지물이라고 한다. 오리지널 캐릭터 외에도 보아, 이효리, 전혜빈, 7공주 등의 연예인 유료 캐릭터도 존재했으며 새천년 건강체조와 공식 제휴를 맺고 전용 캐릭터와 무대, 음원을 무료 배포하기도 했었다. * [[어도비 플래시]] 컨텐츠 상당수[br]먼저 홈페이지 폐쇄 등으로 인해 원본 링크가 끊기면서 극히 일부만 제외하고 모두 유실된 경우가 있다. 과거에 방치된 여러 [[개인 홈페이지]] 등을 통해 제목만 확인할 수 있는 실정이며 살아남은 일부 플래시들은 [[플래시365]], [[주전자닷컴]] 등의 플래시 계열 사이트나 유튜브에서 찾아볼 수 있다. 하지만 주전자닷컴의 경우 2010년부터 2011년까지의 플래시는 복구가 불가능하다. 게다가 2021년부터는 [[어도비 플래시]]의 지원이 완전히 중단되면서 모든 플래시 컨텐츠를 보기 힘들지 모른다는 얘기까지 나왔다. 그래도 다행인 점은 소실되는 파일들을 보존하기 위해 만들어진 아카이빙 사이트들([[플래시아크]] 등)로 인해 운영자와 유저들이 수많은 인터넷 사이트에 떠돌던 컨텐츠들을 아카이브하여 많은 작품들이 보존되었다. * 2010년 1월 9일~2011년 8월 16일 동안 [[주전자닷컴]]에 올라온 작품들 중 일부[br]2016년 4월 1일 사이트 공지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2016년 2월에 DB 문제를 해결하는 중 서버 업체 측의 실수로 문제가 발생했다고 한다. 이후 자체적인 복구와 복구 전문 회사를 통한 데이터 복구를 통해 많은 데이터를 살렸지만 위 기간에 올라온 작품들은 실행, 복구가 불가능하다는 통보를 받았다. 이에 따라 타 사이트에 백업되어 있었거나 제작자가 이를 인지하고 재업로드한 경우를 제외하면 영영 다시 찾을 수 없게 되았다. * [[한컴오피스 한글|한/글 1.00]][br]1989년 4월에 발매된 한/글의 최초 발매 버전이지만, 판매된 시기가 극히 짧았고 당시에는 저작권 의식이 미비하던 시절이라 정품 소프트웨어를 구매한다는 개념이 희박했기 때문에 판매량도 극히 적었으며, 게다가 버그가 많아서 출시한지 겨우 2달 만에 버그를 수정한 한/글 1.10이 출시됨과 동시에 기존에 판매되었던 한/글 1.00을 1.10으로 전량 무상으로 교환하면서 판매량이 극히 적었던 한/글 1.00은 대부분이 회수되어 폐기된 것으로 여겨지며, 제작사인 [[한글과컴퓨터]] 조차도 한/글 1.00이 완전히 소실되는 바람에 가지고 있지 않다. 심지어 복사본이나 스크린샷 조차도 아예 남아있지 않다. 2015년에 국립한글박물관에서 문화재로 등재하기[* 2013년에 한/글 초기 버전의 문화재 등재를 했던 바가 있었으나, 등재 이후에 최초 버전인 1.00 버전이 아닌 이후에 나온 1.20 버전으로 확인되면서 등재가 취소된 [[https://ichannela.com/news/main/news_detailPage.do?publishId=80386895-1|해프닝]]도 있었다. 한/글 1.20은 당시에도 꽤나 판매되었고 현재도 적지 않은 제품들이 개인 소장으로 남아있는 걸로 알려져 있다.] 위해 5천만원의 현상금을 걸고 전국민을 대상으로 한/글 1.00을 [[https://asiae.co.kr/article/2015080411210205105|현상수배]] 했으나 2024년 현재까지도 찾지 못하였으며, 그 대신에 1.10 버전을 기증 받아서 소장한다.[[https://hangeul.go.kr/donationData/userDonationDataView.do?curr_menu_cd=&pageIndex=5&target=1&data_no=24&searchWordGubun=doner&searchWordNm=|#]] * 오디오스, AK트립, 디지파츠, 유나비, i-Trip 등 매립 겸용 내비게이션을 위한 [[트립]] 실행 파일들.[* 업종변경, 폐업 등으로 파일 제공을 중단한 경우가 많아 JY CUSTOM의 Ntrip 등으로 교체되거나 아예 내비게이션과 오디오 어셈블리를 들어내고 타사 제품으로 교체하는 경우가 늘고있어 파일을 구하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구하더라도 일부 기종용 파일이 누락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