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로스트 미디어/목록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게임 === * '''사실상 [[서비스 종료]]된 대부분의 게임들.''' [[패키지 게임]]이라면 판매 중단 이후로도 DRM을 뚫거나 에뮬로 돌리는 식으로라도 영구적으로 남길 수 있으나 [[온라인 게임]]은 서버와의 통신이 필수적인 그 특성상 섭종시 영구 유실된다. 설령 클라이언트 파일 자체는 남아있더라도 어차피 실행이 안되니 사실상 로미에 가깝다. 물론 온라인 게임도 일부 케이스는 클라이언트 파일을 크랙하여 싱글(오프라인) 버전이나 [[프리 서버]] 형태로나마 보존되는 경우가 있는데, 불법이긴 하더라도 일단 보존이 되었다는 점에선 이 경우엔 로미에서 탈출한 셈. * 자세한 목록은 [[:분류:서비스 종료된 게임]] 참고. * 상당히 많은 수의 [[피처폰 게임]]들, 일부 게임들은 [[뚜비의 피쳐폰게임]]이나 [[https://blog.naver.com/palletshipping|피쳐폰게임 아카이브]]에 저장되어 있긴 하다. 일부 [[스마트폰 게임]]들 역시 apk나 ipa가 남아있지 않다면 로스트 미디어이다. * 원조!!냥코 대전쟁[br]원문은 "元祖!!にゃんこ大戦争", 알려진 첫 버전 기준 '''2010년'''에 처음 출시된 [[냥코 대전쟁]]의 초창기 피처폰 버전으로, 아직 [[PONOS]]의 직원이 9명뿐이던 시절 그 중 3명만으로 만들어졌다. 캐릭터는 노멀 캐릭터 9종만 존재했고, 미래편이나 레전드 스토리는 커녕 통솔력과 3단 진화조차도 존재하지 않던 말 그대로 극초창기. 해당 게임은 2012년 서비스 종료를 결정하면서 사라졌고, 해당 게임이 지원되는 피처폰도 현재는 전부 단종되었다. 이 문단에 등록된 것들 중에서는 제일 보존 상태가 양호한 편이다. 게임 인터페이스의 사진, [[https://web.archive.org/web/20110928035648/https://www.ponos.co.jp/taisenbaka/nyanko.htm|홍보 사이트]]와 여러 음악, [[https://www.youtube.com/watch?v=m6CBRnNZh_k|최종 스테이지 클리어 영상]] 등 의외로 많은 자료가 남은 상태. * 쿠만츄 로얄[br]위 작품의 외전으로, 적 캐릭터들 일부가 변경되고 고양이 대신 곰이 나온다. 음악은 동일, 흥미로운 점은 일본의 [[도도부현]]들을 도는 내용인 원조!!냥코 대전쟁과 달리 한국에서 시작해 달에서 끝나는, 즉 현재 세계편의 구성을 따른다. * '''김치 vs 초밥 정식판'''[br]대한민국 PC 게임 시장에서 손 꼽을 정도로 희귀한 게임. 2003년 소나기소프트에서 제작한 횡스크롤 STG로 이름만 들으면 한식과 일식을 의인화한 캐릭터들이 나오는 게임 같고, 게임스샷을 보면 임진왜란을 소재로 한 것 같지만[* 대부분의 등장 캐릭터가 조선시대 인물 아니면 전국시대풍 왜군들이다.] 근현대 독립투사도 플레이어블 캐릭터로 나오는가 하면 최종보스는 [[일본의 역사왜곡|일본 역사왜곡 교과서]]다. 현존하는 디스크는 엄청나게 프리미엄이 붙어있으며, 이 게임을 소장하고 있는 [[https://www.youtube.com/@tkbv|금딱지 티켓발부]][* 과거 [[주얼CD]] 포맷으로 발매된 (주로 아동 소비자를 노린) B급 국산 게임들의 플레이영상을 올린다.]에서는 소장용으로만 남길 것이며 게임 자체의 아카이브 배포 및 대여는 일절 없을 거라고 밝혔다. 따라서 해당 유튜브 채널에서 그의 Playthrough 영상만 볼수 있을 뿐, 그래서 웬만한 PC 고전 게임들을 모두 수록한 [[도스게임런처|두기의 고전게임]]마저 끝끝내 포기했다고 밝혔다.[* 다만 끈을 놓지는 않았는지, [[https://cafe.daum.net/nemo838|카페]]에서는 여전히 이 자료에 대해 수소문하고 있다.] 급기야 금딱지 본인마저 대부분의 게임 디스크를 처분하면서, 이 게임마저 처분했다는 것이 밝혀져 게임의 행방이 더 묘연해졌다. 한때 [[로스트 미디어 마이너 갤러리]]에서 큰 관심을 받고 샅샅이 수색한 결과, 데모 버전은 발견되었으나[* 실제로 이 게임은 학교 [[컴퓨터실]]에서 나눠준 게임으로 유명한데, 거기 있는 게임들이 다 데모 버전이라 이거라도 남은 갓이다.] 모든 스테이지를 플레이 가능한 온전한 버전은 고전게임계 3대 난제 중 최종보스로 취급받을 만큼 로스트 미디어로서의 가치가 매우 높은 편이다. * [[와루이지의 발톱깎기 파티|와루이지의 발톱깎기 파티 (Waluigi's Toenail Clipping Party)]] *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황금 구조대]][br]문서 참조. 2007년 [[포켓몬 컴퍼니#s-3.1|포켓몬코리아]]에서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홍보용으로 홈페이지에서 배포했던 체험판.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빨강 구조대·파랑 구조대|파랑 구조대]]를 기반으로 한 체험판이지만 2008년경 홈페이지가 폐쇄된 이후론 체험판 파일은 찾을 수 없게 되었고, 스크린샷이나 후기만 인터넷에 간간이 올라와 있는 상태. * [[요구르팅 모바일]][br]2006년 출시되었으나 출시 당시에는 원조 [[요구르팅]]의 인기도 시들해졌기에 빛을 보지 못했고, 현재는 당시 게임이 깔렸던 폰들이 모두 유실되며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32916872&memberNo=160403&isInf=true|몇몇 스크린샷]]만이 전해지게 되었다. * 유한 히어로즈 [[시발원숭이의 모험]] 시리즈 관련작. * [[Geometry Dash]]의 온라인 레벨 * [[Element 111 Rg]][br] * Ice Carbon Titan X: 2015년 10월 13일에 올라온 초창기 유저 Roadbose의 Ice Carbon 시리즈 마지막 레벨이다. 레벨이 업로드 됐을 당시 많은 인기를 얻지 못하였고, 레벨이 제작자에 의해 삭제되며 로스트 미디어가 되었다. * [[팩큰볼]] 모바일 이식판 * [[퍼니또]] 아즈로크의 5단계 아즈론 플레이어가 키울 수 있는 아즈론 중 하나를 제외하면, 5단계 디자인에 대한 정보가 희박하다. 이는 아즈로크의 레벨업 시스템의 높은 난도 때문에 그러한 것으로 보인다. * 대다수의 [[Adobe Director|쇼크웨이브]] 기반 게임들 안 그래도 [[Adobe Flash|동사의 플래시]]에 팀킬당한데다 설상가상으로 플래시보다 더 심한 멀웨어 숙주로 찍혀버렸고, 그로 인해 아카이브마저도 잘 이루어지지 않은 탓에 거의 모든 작품이 로스트 미디어가 되어버린 경우가 많다. * [[ffksxms.xcf]](스타 유즈맵) * 초코하나 유령저택 [[초코하나]] 시리즈중 최초이자 유일했던 공포게임. 2007년부터 2011년 까지만 서비스 했었다.[[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lostmedia&no=10189|#]] [[로미갤]]에서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lostmedia&no=16850|런처 파일을 뜯어 더미데이터만 추출한 글]]. 다른 초코하나 시리즈와 달리 게임이 백업되지 않았다. 유일하게 [[https://www.youtube.com/watch?v=x1FBvY35KdI|플레이 영상 하나]]만 남아있다. * 초코하나 플래시 게임 중 하나인 '크리스마스 대소동' 이 역시도 게임 파일이 영구 유실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KNC4ENrkfEo|#플레이 영상 하나]]만 세상에 유일하게 존재한다. * [[마법학교 아스티넬]] 상술했듯 서비스 종료로 로미된 케이스로 보통 게임 자체는 로미되더라도 어느 정도의 플레이 영상이나 각종 스크린샷들로 맵이나 대부분의 콘텐츠는 이미지/동영상 으로도 남는 것에 비해 아스티넬은 이중 꽤 많은 자료가 유실된 상태이다. 동영상으로 남겨진 유일한 자료는 [[https://www.youtube.com/watch?v=odles77wNdI|2024년 5월에 올라온 이 영상]] 하나가 유일. * [[아비스 대모험]] '''아스티넬보다 더 자료 유실이 심각한 케이스'''로 세상에 남은 스크린샷 자료조차 매우 희귀한 상태이다. 그나마 누군가 음악 파일을 올려서 음악 파일은 로스트 미디어 신세를 간신히 면했다. * [[어느새 교환 일기]] 한국판 특별한 일기 일본/서양판 니키의 특별한 일기 중 여름 안부 인사와 스페인 수영 대회를 섞은 한국판 전용 오리지널 일기가 배포되었으나 배포 얼마 후 어느새 통신 서비스가 종료되며 기록이 남지 않았다. * [[퇴마록/미디어 믹스#s-2.2.3|퇴마록의 피처폰 게임 판]] * 기타 사라진 비디오 게임들 * 기체와 기판이 모두 유실되어 미리 덤프되지 못한 아케이드 게임들 - 대부분의 세기말 한국산 아류 [[리듬 게임]]이 대표적이며, 이들은 [[게임물관리위원회]] 심의 자료만 남아 있는 것이 전부다. 그나마 고전 일본산, 미국산 게임들은 플레이하긴 어려우나 기판을 모으는 사람들도 있었기에 그나마 한국보단 상황은 낫다. * [[도돈파치 블루 레이블]] * [[더 리듬 앤 댄스]] * [[드럼마스터]] * [[믹스 마스터]] * [[A.C.Percuss]] * [[로케테스트]]만 하거나 게임 전시회에서 전시만 하고 미발매된 아케이드 게임들 - 상기 '기체와 기판이 모두 유실되어 미리 덤프되지 못한 아케이드 게임들'의 경우에도 포함된다. 로케테스트 실적이 부진하다거나, 회사의 사정이 나쁘면 실제 발매되지 않은 경우도 많다. 그나마 그런 기판 몇몇이 떠돌다 인터넷 경매 등으로 에뮬 개발자의 손에 넘어가 '프로토타입 롬'이 덤프되는 경우는 운이 매우 좋은 경우고, 상당수는 로케테스트 현장에서 찍힌 사진이나 보도자료가 유일하게 남은 시청각 관련 자료인 경우도 많고, 그나마도 없는 경우는 더 많다. 목록으로 정리한 웹 페이지가 있다. [[https://arcadeheroes.com/master-list-unreleasedprototype-arcade-games/|#]] * [[네오지오/게임 목록|네오지오 기판의 미발매작 게임들]] * 헤르메티카 - [[홈 데이터]]가 개발하던 퍼즐게임. 게임 자체는 로스트 미디어지만 이 게임의 유산과 관련된 경위가 복잡한데, [[요시의 쿠키]]문서 참조 * [[호랑이의 분노]] 1편[br]제작자도 분실했기에 스크린샷조차 찾을 수 없다. * 열혈 택시 1탄 * [[소스 코드]]가 유실된 게임 * [[더 킹 오브 파이터즈 XI]][br][[아케이드]] 및 PS2판은 남아있지만, SNK가 소스 코드를 유실한 바람에 리마스터 포팅이 거의 불가하다. * [[동방홍마향]] - [[ZUN|제작자]]가 소스 코드를 유실해서 스팀판 포팅이 힘들다고 밝혔다. * [[The Stanley Parable]] [[페니 아케이드 엑스포|PAX]] 2013 데모[br]페니 아케이드 엑스포 2013에서 시연하는 것을 목적으로 제작된 스탠리 패러블의 데모 버전으로, 현재 스팀 등을 통해 공개된 데모 버전의 기반이 되는 작품이다. 8 버튼이 있는 방 대신 PAX 2013 행사 당시 The Stanley Parable 부스의 주변에 부스를 설치했던 [[Octodad: Dadliest Catch|Octodad]]를 홍보하는 방이 나오거나, 플레이어를 자리에서 일어나게 한 뒤 데모를 형편 없이 플레이한 것을 주변사람들에게 사과하게 하는 장면이 존재했다.[* 두 장면들은 스팀을 통해 배포된 데모 버전에 Octodad와 관련된 이미지 한 장이 숨겨져 있거나, [[Game Grumps]]에게 제공되었던 [[https://youtu.be/EOnxXJyOJ0s|데모 버전]]에서 플레이중이던 멤버들에게 당장 사과하라는 장면이 나오는 식으로 일부분이 재사용 되었다.] 엑스포 시연 후 따로 배포된 적이 없기 때문에 제작진들이 따로 공개하는 게 아닌 이상 이 버전을 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 버전을 기반으로 지금의 데모 버전을 만들어 배포했기 때문에 따로 백업을 해두지 않았다면 제작진들에게도 이 데모 버전이 없을 가능성이 크다. * [[스타크래프트]]의 [[유즈맵]]들[br][[맵사이드]]나 [[인투더맵]] 같은 유즈맵 커뮤니티들이 폐쇄되면서 상당수의 유즈맵들이 유실되었다. *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 이후 일부 [[EUD]] 유즈맵[br]1.18 업데이트로 인해 한때 모든 EUD 유즈맵들이 호환 불가로 전체가 유실된 작품이 된 바 있었다. 이후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블리자드]]에서 일부 EUD 기능을 지원함으로써 대부분의 EUD 유즈맵을 다시 플레이할 수 있게 되었으나 GRP를 이용한 유즈맵은 여전히 막혀 있다. * [[극초호권]] [[네오지오]] 버전[br]인컴 테스트에 사용된 [[MVS]]([[네오지오]]) 버전이 존재하는데 테스트 끝나고 그대로 빅콤에 모셔져서 이후 행방은 알 수 없다. 1996년 AOU 쇼에도 네오지오판으로 출품했었다. 요컨대 아케이드판은 제작은 되었지만 발매는 되지 않았다는 이야기. * [[WGC -World Game Circus-|월드 게임 서커스]]에서 구동되었던 [[EZ2DJ 7th TRAX CLASS R ~CODENAME:VIOLET~#s-8|EZ2DJ 7th CV 개조판]][br]디렉터 znpfg가 직접 개조한 버전으로, Wind Tales, OOBT 등 당시에는 곡이 추가로 수록된 버전이다.[* 해당 곡들은 시간이 지나고 [[EZ2DJ AEIC]]에서 정식 수록됐다.] 이후 [[오락실]]이 이전하면서 znpfg가 다시 회수하였고 현재는 [[EZ2AC FNEX]]가 대신 구동되고 있다. * WONKA.COM에서 서비스 되었던 게임들[br][[찰리와 초콜릿 공장]]의 등장인물 [[윌리 웡카]]의 공장을 하나의 사이트로 만들었으나, 2000년대 후반 해당 사이트가 제품 홍보 사이트로 바뀌고, 2017년 기반이 되었던 [[쇼크웨이브]]도 서비스를 중단한데다가 [[어도비 플래시]]와 달리 플레이어조차 없어 실행조차 할 수가 없다. 다만 인터넷에 검색하면 파일 자체는 남아있는데 당시에 사이트 내에서 다운받아서도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방법이 있었는데, 이 때 다운받은 사람들이 올려놓은 것으로 보인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