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러시아 혁명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현대 러시아에서의 평가 == 오늘날 러시아 혁명은 현재 [[러시아 연방]] 정부 입장에서 점점 더 외면받고 있다. 소련 해체를 주도한 옐친 시절인 1995년부터 정부 차원의 기념식과 군사 퍼레이드를 재개하였으나 규모는 소련 시절에 비해 축소되었으며, 그나마도 2004년부터는 행사의 성격 자체가 '독소전쟁 당시 모스크바 방어전에 나선 소련군 장병을 격려하고자 스탈린이 혁명기념일에 맞춰 행사를 치른 것'을 기념하는 날로 바뀌었다. 독소전 전승기념일에 러시아 대통령이 기념사를 낭독하는 것과 달리 11월 7일에는 모스크바 시장이 낭독한다. 독소전 전승기념일보다는 한 단계 격이 낮은 행사를 치르는 셈이다. 러시아 정부 자체도 혁명에 대해 모호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 러시아 혁명 100주년이었던 2017년 러시아 혁명일에는 소규모 군사 퍼레이드와 모스크바 시장이 기념사를 낭독하고, 임시정부 인사들이 체포됐던 시각인 오전 2시 10분에 오랫동안 멈춰있던 [[상트페테르부르크]]의 겨울궁전 방 탁상시계도 2017년 10월 25일을 기해 현재 시각에 맞춰 흐르도록 해놓는 등[[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20&aid=0003107659|#]] 1995년 이래 늘 치르던 소규모 행사만 열렸을 뿐 러시아 연방정부차원에서 특별히 100주년을 기념하는 정부주최 특별 기념식은 일절 없었으며[[https://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79&aid=0003031069|#]] 대신 야당인 러시아 연방 공산당과 좌파단체들이 거리행진과 기념집회를 열었다. 별다른 충돌은 없었다고 하며, 약 3시간 동안 [[모스크바]] 거리를 행진하다가 다함께 인터내셔널가와 [[소비에트 연방 찬가]], 그 외의 소련 군가들을 부르고 해산했다.[* 일부 민주노총쪽 한국인들도 참가했다. [[https://youtu.be/2F5C6EbGdWg|관련영상]]을 보면 '단결투쟁'이라는 민주노총에서 투쟁할 때 사용하는 머리띠가 보인다. 영상 9분 15초에 확인 가능하다.] 러시아의 대표적인 언론사인 [[러시아 1]]은 이 날 열린 소규모 퍼레이드에 대해 보도하면서 100년 전 일어난 러시아 혁명에 대해 "[[러시아|우리나라]]를 완전히 바꾸어 놓았을 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 대사건" 이라는 중립적인 입장을 내 놓았다.[[https://www.youtube.com/watch?v=IX10HTCTRtc&t=110s|#]] 현재 러시아 우익들은 볼셰비키와 레닌에 대해선 부정적이다. [[블라디미르 푸틴]] 본인부터 레닌에 비판적인 인물이다.[* 레닌이 소련을 민족별로 공화국을 나눠서 소련 해체의 원인이 되었다고 푸틴이 비판했다.[[https://www.yna.co.kr/view/AKR20160126194900009|#]]] 2016년에도 이미 대차게 깠던 입장. [[https://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3&aid=0007005653|#]] 2004년에는 러시아 혁명 기념일(11월 7일)을 공휴일에서 제외해버렸고 러시아 혁명으로 폐지되었던 [[러시아 제국]]의 국경일(11월 4일)[* 1612년 [[폴란드-리투아니아]]군을 모스크바에서 몰아낸 것을 기념하는 날. 이때 폴란드군을 몰아내고 황제로 추대된 사람이 [[로마노프 왕조]]의 시조인 [[미하일 1세]]였기 때문에 러시아 제국 시대까지 국경일로 기념했다.]을 국민화합의 날이라는 이름으로 다시 국경일로 부활시켰는데 혁명 100주년이라고 특별히 기념해줄 리 만무하다. 러시아 우익들이 레닌과 러시아 혁명을 부정적으로 보는 이유는 레닌이 당시 전쟁 중이던 독일로부터 막대한 자금을 받아 러시아 정부를 무너뜨렸고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으로 그간 제정 러시아가 팽창하면서 획득한 영토 대부분을 내줬기 때문이다.[* 여기에 [[일본 제국]]도 매우 깊숙하게 관여하기까지 했으며, 영토 문제 또한 이와 무관하지 않다. 조금 더 자세한 사항은 밑의 여담 참조. 푸틴은 이 혁명에 대해 비판할 때마다 이 점을 항상 들먹인다.] 그리고 [[러시아 정교회]]가 혁명으로 폐위되어 처형당한 당시 [[니콜라이 2세]] 일가족을 1998년에 성인으로 추대한 바 있는데 러시아 정교회의 위상을 국교 수준으로 격상시키고 있는 푸틴 정권 입장에서는 황제를 처형한 볼셰비키들과 러시아 혁명을 긍정하기 어렵다는 점도 있다. 러시아 국민들은 레닌이 주도한 10월 혁명에 대해서는 긍정적 여론이 부정적 여론을 약간 앞서는 편이다.[* [[https://www.levada.ru/en/2017/04/21/the-october-revolution/]]] 러시아에서는 대체로 소련 시절을 나쁘게 보지 않지만, 사회주의 체제를 이념적으로 높이 평가해서라기 보다는 '초강대국'에 대한 향수인 경우가 많다.[* 소련 붕괴에 대해서는 2015년 기준 17%만이 긍정적으로 본 반면에 63%가 부정적으로 [[https://www.levada.ru/en/2016/04/05/fall-of-the-ussr-and-yeltsin-era|바라봤는데]] 그 이유로는 통합경제시스템 붕괴(53%), 강대국에 소속됐다는 느낌 상실(43%), 상호 불신 증가(31%), 친척·친구 관계 단절(28%), 자유로운 여행 불가(15%) (복수응답)등을 들었다.] 같은 이유로 소련을 초강대국으로 올려놓은 [[이오시프 스탈린]]에 대해선 긍정적인 평가가 부정적인 평가를 앞서며[* [[https://www.levada.ru/en/2016/06/10/stalin-2/]], [[https://www.levada.ru/en/2017/09/26/great-terror/]]], 2008년에 시행된 "위대한 러시아인" 앙케이트에서 3위에 들었다. 현재도 명목상으로는 사회주의 국가를 표방하는 중국에서는 국내외를 불문하고 공산주의 관련 유적 여행을 장려하고 있기에, 중국인 관광객들이 몰려든다고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421&aid=0002917288|한다]]. 이른바 홍색 관광으로 불리고 있다. 다만 [[울리야놉스크]], [[레닌 영묘]]와 같이 소련 시절 [[공산주의]] 이념과 관련된 관광지는 [[소련 붕괴]] 이후 외면받는 추세이기에 현지인들은 큰 의미를 두지 않는다. [[친러]] 성향 국가인 [[벨라루스]]에서는 소련 붕괴 이후로도 10월 혁명 기념식을 개최했다. 벨라루스 말고 10월 혁명일을 기념일로 하는 나라는 [[미승인국]] [[트란스니스트리아]]가 있다. 러시아 국립 역사박물관에서 2017년 7월 19일까지 전시한 ‘러시아 대혁명기 아이들의 그림’ 전시회도 볼 만하다. 혁명 당시 학생들이 학교에 오는 길에 거리와 광장에서 본 것을 그려보라는 과제를 받고 그린 것들이다. [[https://kr.rbth.com/russian-revolution/2017/05/10/aideulyi-geurime-nameun-10weol-hyeogmyeong-dangsiyi-moseukeuba_757241|당시 아동들의 그림]] 한편, 10월 혁명이 일어난 날([[11월 7일]])은 러시아인들이 전승절([[5월 9일]]) 다음으로 많이 알고 있는 역사적인 날이다(두 사건 모두 러시아 역사 교과서에서 가르친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