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러시아 제국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종교 == ||<tablewidth=100%><width=100%><nopad> [[파일:external/bestmaps.ru/20131004132459.jpg|width=100%]] || ||<bgcolor=#FFCD01,#FFCD01> '''[[구세주 그리스도 대성당|{{{#000 구세주 그리스도 대성당}}}]]''' || 러시아 제국의 [[국교]]는 [[러시아 정교회]]다. 황제는 정교 외의 다른 종교를 믿는 것이 법으로 금지되어 있었으며 '정교 신앙의 교리를 수호하고 보호하는 최고 수호자, 교회의 신앙의 순수성과 모든 질서를 지키는 자'라는 칭호로 불렸다. 황제는 정교회 고위 성직자들에 대한 임면권을 가지고 있었지만 복잡한 교리 문제에는 웬만하면 관여하지 않았다. 그건 신성통치종무원이 할 일이었다. 신성통치종무원은 제국 내 최고의 정교회 기관으로서 옛 모스크바 총대주교청의 역할을 맡아 처리했다. 하지만 자율권은 총대주교청 시절에 비해 크게 줄어들어서, 황제가 임명한 수석법무관이 각료회의의 일원으로서 교회 문제에 대해 광범위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러시아 정교회에는 [[모스크바]], [[상트페테르부르크]], [[키이우|키예프]] 이렇게 3곳에 관구주교, 그 아래에 14명의 대주교와 50명의 주교가 있었다. 최고위 직품인 모스크바 총대주교는 표트르 1세가 폐지하고 대신 신성통치종무원을 설치한 것이기 때문에 사라졌다. 러시아 역시 다른 대부분의 유럽 국가들처럼 [[포그롬]]으로 상징되는 [[반유대주의]]가 강했다. [[예카테리나 2세]]가 [[폴란드 분할]]로 폴란드 동부 일대를 먹어치운 뒤, 폴란드에 거주하던 [[유대인]]들을 대상으로 대대적인 제약이 가해졌다. 러시아는 집단거주지 '페일'을 정하고 유대인들이 이 밖의 지방으로 이주하는 것을 금지했다. 특히 유대인들을 대상으로 강제동화 정책을 실시한 [[니콜라이 1세]] 시대에 탄압이 심했다. 1827년부터는 유대인 어린이들을 군사 기관에 징집해 정교로 개종을 강요했으며 유대인들을 '유용한 그룹'과 '쓸모없는 그룹'으로 나누어 분리하려 시도했고 집단거주지 내 이동의 자유와 상업의 자유를 더욱 옥좼다. [[알렉산드르 2세]]는 탄압을 완화하고 유대인들에게 군 복무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는 유화책을 폈으나, 그가 암살로 사망한 뒤 즉위한 [[알렉산드르 3세]]는 완전 정반대였다. 그는 유대인 정착지와 재산 소유를 크게 제한했고 유대인이 택할 수 있는 직업의 종류를 줄였다. 1886년에는 키예프에서, 1891년에는 모스크바에서 유대인을 추방했다. [[이슬람교]]는 아예 유대교만큼 대놓고 탄압받지는 않았지만 그렇다고 안정적인 지위를 누리는 것도 아니었다. 제국 초기에는 제국 전역에서 산발적으로 무슬림들을 대상으로 개종이 강요되었다. 그러다가 예카테리나 2세가 무슬림들에게 법적 지위를 부여했고 무슬림들이 예배를 드릴 수 있게 허용하는 등 종교적 관용을 보였다. 하지만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이 터지면서 무슬림 박해가 훨씬 심해졌다. 1860년대에 러시아가 [[체르케스]]를 점령한 뒤 100~150만 명의 [[체르케스인]]들을 추방하는 집단학살을 일으켰을 정도였다.[* 오늘날 상당수의 체르케스인들은 여전히 해외에서 살고 있다. 1800년대 후반 내내 집없는 무연고 체르케스인들이 넘쳐났던 탓에 '체르케스인'이라는 단어 자체가 발칸 아나톨리아 지방에서는 '도둑'과 동의어로 쓰일 정도였다.] [[크림 타타르]]족 역시 강제로 오스만 제국으로 쫒겨났다. 러시아 제국은 이슬람을 대놓고 탄압하지는 않았지만 이슬람은 종종 박해받았으며 불안정한 위치에 서있었다. 정교회가 아닌 기독교 종파들에 대해서는 그나마 관대한 편이었다. [[루터교회]]는 발트 지방의 독일 귀족들과 볼가 독일인들의 종교였기 때문에 정부 차원에서 특혜를 베풀었다. [[가톨릭]]은 엄중히 통제했다. 러시아 정부는 가톨릭이 폴란드 민족주의의 원인이라고 보아 지극히 경계했고 폴란드 전역에 정교회 성당을 세웠다. 그러나 제아무리 러시아라도 가톨릭을 대놓고 탄압하기는 힘들었고 가톨릭교도들에 대한 강제 개종 시도는 없었다. 반면 정교회 내 이단 세력들에 대해서는 얄짤이 없어서 [[고의식파]], 영성파, 몰로칸파 등은 [[중앙아시아]] 등지로 추방해버렸다. 1905년 [[니콜라이 2세]]는 종교 관용령을 발표하고 정교가 아닌 다른 종교에게도 관용 정책을 펼쳤다. 이로 인해 타 종교들은 기존보다 훨씬 살기 편해진 '황금기'가 열렸다. 심지어 유대인 집단거주지에 대한 제약들도 일부 완화됐을 정도. 이 황금기는 [[2월 혁명]]으로 제정이 엎어지고 [[소련]]이 등장할 때까지 계속됐다. 하지만 비판도 있는 것이, 니콜라이 2세는 반동적 폭동으로 일어난 반유대주의 학살 때 이를 반쯤 방치했고 심지어 일부 폭동은 당국에 의해 선동되거나 비밀경찰 오흐라나가 배후에 있다고 의심받기도 했기까지 했다. [[세르게이 비테]] 총리는 회고록에서 경찰이 [[포그롬]]을 선동하는 선언문을 인쇄, 배포했다고 주장했다. 종교 신도수별 통계는 다음과 같다. {{{#!folding [펼치기ㆍ접기]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CD01,#FFCD01><bgcolor=#FFCD01,#FFCD01> '''종교''' ||<rowbgcolor=#FFCD01,#FFCD01> '''남성''' || '''여성''' || '''신자수 (비율%)''' || || [[정교회]] || 42,954,739명 || 44,168,865명 || 87,123,604명 (69.34%) || || [[이슬람]] || 7,383,293명 || 6,523,679명 || 13,906,972명 (11.07%) || || [[가톨릭]] || 5,686,361명 || 5,781,633명 || 11,467,994명 (9.13%) || || [[유대교]](아슈케나짐) || 2,547,144명 || 2,668,661명 || 5,215,805명 (4.15%) || || [[루터교회]] || 1,739,814명 || 1,832,839명 || 3,572,653명 (2.84%) || || [[고의식파|정교회 고의식파]] || 1,029,023명 || 1,175,573명 || 2,204,596명 (1.75%) || || [[아르메니아 사도교회]] || 625,592명 || 553,649명 || 1,179,241명 (0.94%) || || [[불교]] || 240,739명 || 193,124명 || 433,863명 (0.34%) || || [[장로회]] || 42,877명 || 42,523명 || 85,400명 (0.07%) || || [[재세례파]] || 33,598명 || 32,966명 || 66,564명 (0.05%) || || [[아르메니아 가톨릭]] || 20,028명 || 18,812명 || 38,840명 (0.03%) || || [[침례회]] || 18,372명 || 19,767명 || 38,139명 (0.03%) || || [[카라임]][* 유대교의 일파이지만 당시 러시아 제국에서 유대인들에 대해 병역 등 납세의무를 더 가혹하게 부과하던 상황이라 카라임들은 러시아 제국 정부 측에 자신들은 유대교가 아니라 별개의 종교라고 주장하고 이 주장이 받아들여져서 결국 별개의 종교 집단으로 따로 분류되었다.] || 6,372명 || 6,522명 || 12,894명 (0.01%) || || [[성공회]] || 2,042명 || 2,141명 || 4,183명 (0.003%) || || 기타 기독교 || 2,371명 || 1,581명 || 3,952명 (0.003%) || || 기타 비기독교 계열 종교 || 144,983명 || 140,338명 || 285,321명 (0.23%) || || 총계 || 62,477,348명 || 63,162,673명 || 125,640,021명 (100%) ||}}} ||<tablewidth=100%><width=33.3%><nopad> [[파일:800px-Orthodox_Christians_in_the_Russian_Empire_1897.png|width=100%]] ||<width=33.3%><nopad> [[파일:Muslims_in_the_Russian_Empire_1897.png|width=100%]] ||<nopad> [[파일:Roman_Catholics_in_the_Russian_Empire_1897.png|width=100%]] || ||<rowbgcolor=#FFCD01,#FFCD01> '''[[정교회|{{{#000 정교회}}}]] 분포''' || '''[[이슬람교|{{{#000 이슬람교}}}]] 분포''' || '''[[가톨릭|{{{#000 가톨릭교}}}]] 분포''' || ||<tablewidth=100%><width=33.3%><nopad> [[파일:800px-Adherents_of_Judaism_in_the_Russian_Empire_1897.png|width=100%]] ||<width=33.3%><nopad> [[파일:800px-Lutherans_in_the_Russian_Empire_1897.png|width=100%]] ||<nopad> [[파일:800px-Old_Believers_in_the_Russian_Empire_1897.png|width=100%]] || ||<rowbgcolor=#FFCD01,#FFCD01> '''[[유대교|{{{#000 유대교}}}]] 분포''' || '''[[루터교회|{{{#000 루터교}}}]] 분포''' || '''[[고의식파|{{{#000 정교회 고의식파}}}]] 분포''' || ||<tablewidth=100%><width=33.3%><nopad> [[파일:800px-Adherents_of_the_Armenian_Apostolic_Church_in_the_Russian_Empire_1897.png|width=100%]] ||<width=33.3%><nopad> [[파일:800px-Buddhists_in_the_Russian_Empire_1897.png|width=100%]] ||<nopad> [[파일:Pagans_in_the_Russian_Empire_1897.png|width=100%]] || ||<rowbgcolor=#FFCD01,#FFCD01> '''[[아르메니아 사도교회|{{{#000 아르메니아 사도교회}}}]] 분포''' || '''[[불교|{{{#000 불교}}}]] 분포''' || '''[[이교도|{{{#000 이교도}}}]] 분포''' ||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