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러시아 제국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지방 정부 ==== ||<tablewidth=100%><width=100%><nopad> [[파일:800px-Old_city_duma.jpg|width=100%]] || ||<bgcolor=#FFCD01,#FFCD01> '''모스크바의 시 두마 청사''' || 지방 정부는 중앙 정부에서 파견한 관리들 외에도 다양한 기관들로 구성됐다. '''미르'''와 '''볼로스트''' 같은 농민 집단체, 34개의 구베르니야에 있는 지방 의회 '''젬스트보''', 시의회에 해당하는 '''시 두마''' 등이 바로 그 것. 러시아의 농민 공동체였던 '''미르'''는 토지를 집단 소유한 공동체로, 미르에서 토지를 할당해 농노들에게 나눠주었고 지주들은 미르의 동의 없이 함부로 토지를 매각할 수 없었다. 주기적으로 토지를 재분배하고 가구 간의 분쟁을 해결하는 것, 조세를 공평하게 조정하고 서로 상부상조하는 것 역시 미르의 역할이었다. 1861년 농노 해방령 이후에는 미르에서 선출한 대표들이 모인 '볼로스트'가 등장해 장로와 자치법원을 구성하기도 했다.[* 다만 미르와 볼로스트의 자치는 정부에서 구성한 경찰위원회 때문에 크게 약화되었으며, 결국 1923년 [[소련]]의 개혁으로 폐지되었다.] 젬스트보는 1861년 [[알렉산드르 2세]]가 시행한 개혁 때 창설된 지방의회로, 러시아의 34개 구베르니야에서 존재했다. 농민들의 자치 기구인 미르나 볼로스트와는 달리, 젬스트보는 국가 기관의 일부로써 지역 경제를 담당하는 실질적인 자치 정부를 만드는 것이 목적이었다. 귀족 등 대지주, 소지주들의 대표, 부유층들의 대표, 중산층들의 대표, 농민들의 대표[* 볼로스트가 선출했다.] 이렇게 5개 계급으로 이뤄졌고 귀족들의 비중과 영향력이 훨씬 높았다. 1년에 1번 이상 회의를 열었고 법안을 의결, 조정할 수 있었다.[* 다만 황제가 임명한 주지사가 젬스트보의 법안들을 보류, 승인 거부할 수 있었으며 1890년 이후부터는 정부가 젬스트보의 입법권에 간섭하는 경우가 더욱 많아졌다.] 행정, 과세, 교육,[* 젬스트보는 기존의 농민들을 교육시키는 데에 온 힘을 쏟았다. 농민들은 종교학교나 국립학교보다 젬스트보가 세운 학교를 선호했고 그 덕에 러시아의 문해율은 10%에서 68%로 껑충 뛰어올랐다.] 의료[* 젬스트보가 실패한 영역. 젬스트보는 근대식 의학을 보급하려 노력했으나 농민들은 문맹인데다가 신을 두려워했고, 전통 의학을 어디까지 용인할 것인지, 그리고 의사의 봉급 등 예산 문제 등 난항을 겪었다.] 등을 모두 관할했으나 [[러시아 혁명]] 이후 모든 권한이 [[소비에트]]에게 넘어가며 자연스레 폐지되었다. 시 의회에 해당하는 '시 두마'는 1870년대 이래로 모든 유럽 러시아 지방에 설치됐다. 모든 주택 소유자, 세금을 납부하는 상인, 장인 및 노동자들은 재산의 양에 따라 내림차순으로 분류한 다음 3개의 계급으로 나누었다. 이 계급들이 각각 동일한 수의 대의원을 선출해 시 두마를 구성했다. 하지만 최상류층의 모수가 매우 작았던 것을 생각하면 부유층들의 목소리가 과도하게 많이 반영되었던 셈. 시의 행정부는 선거로 뽑힌 시장과 시 두마에서 선출한 우프라바들이 운영했다. [[알렉산드르 3세]]가 1892년 발표한 칙령에 따라 시 두마 역시 젬스트보와 마찬가지로 주지사 소관으로 옮겨지며 갈수록 권한이 축소됐다. 1894년부터는 [[시베리아]]에, 1895년에는 [[캅카스|코카서스]] 지방에도 시 두마가 설치됐다. [[발트해]] 연안 지방은 다른 지방들과는 조금 다르게 운영했다. [[스웨덴 제국|스웨덴]]이 지배하던 [[리보니아]]와 [[에스토니아]], 그리고 나중에는 [[폴란드-리투아니아]]가 지배하던 [[쿠를란트-젬갈렌]] 등은 [[대북방전쟁]]과 [[폴란드 분할]]을 거쳐 러시아에 편입되었는데, 1721년 뉘스타드 조약에 따라 [[독일계 러시아인|발트 연안 지방의 독일 귀족]]들은 상당한 자치권을 유지할 수 있었다. 이들은 교육, 치안, 지방 사법, 행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특권을 누렸다. 그렇게 170여 년 정도 후인 1888년, 점차 치안 및 영지 사법 행정권 등이 점차 독일 귀족에게서 중앙 정부로 넘어오기 시작했고 [[타르투 대학교|도르파트 제국 대학]]이 유리예프 제국 대학으로 개칭하는 등 모든 분야에서 [[러시아/문화|러시아화]]가 일어났다. 1893년에는 거의 러시아 본토와 비슷한 행정체계가 설치되어 러시아의 입김이 한층 더 거세졌고 [[에스토니아인]], [[라트비아인]], [[리투아니아인]]의 민족 문화 운동 역시 활발히 전개되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