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듀얼마스터즈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특징 == 매직 더 개더링의 간략화 버전으로 시작한 게임이지만, 이쪽도 시간이 지나며 여러 룰이 추가되고 카드 존이 증설되기도 하면서 매더개와 차별화에 성공한 상태. 일본에서는 유희왕 OCG나 포켓몬 카드 게임조차 수시로 뛰어넘을 정도로 높은 판매량을 자랑하며 TCG 유저들 사이에서도 그 둘에 버금갈 만큼 높은 인기와 수요를 가지고 있다. MTG의 룰을 간략화한 게임이기 때문에, 탭, 크리처(생물), 블로커(수비태세) 등의 MTG의 개념이 비슷하게 존재한다. 단, 자원을 대지로부터 얻는 게 아니라 카드 1장을 마나 존에 뒤집어 놓는 것(차지)으로, 그 카드의 문명과 같은 색의 마나를 1개 얻는 식[* 또한 매직 더 개더링과 달리 룰상 같은 색의 마나를 '''최소 1개''' 지불하면 해당 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매직 더 개더링의 경우 적색 카드의 마나 값이 {2}{R}{R}이라면 적색 대지를 2장 이상 탭해야 하고 아예 {R}{R}{R}{R}같이 칼같이 적색으로만 마나 값을 지불해야 하는 경우도 있지만, 듀얼마스터즈는 불 문명 모든 카드의 마나 값이 {n}{R}인 셈.]으로 되어 있다. 카드에는 총 5개의 문명(색/속성) - 빛, 물, 어둠, 불, 자연이 있으며, 각각 MTG의 백, 흑, 청, 적, 녹과 일치한다. 그 외 2색 이상의 문명을 가진 레인보우 카드가 존재한다. 자세한 것은 [[듀얼마스터즈/문명 및 종족|문명 및 종족]] 참조. 플레이버 텍스트로 드러나는 배경 스토리가 애니메이션과는 별도로 존재한다. 1기~4기까지는 기존 5대 문명간의 싸움, 5기는 "신세계"에서 태어난 5대 종족간의 싸움, 6기는 초생명체 갓 일족과의 싸움, 7기는 2대 신세력 사무라이와 나이트의 싸움을, 그리고 8기는 다른 세계에서 온 오리진과 기존 세계의 종족들의 싸움을 그리고 있다. 듀얼마스터즈의 매력을 뽑자면 '''강렬한 카드 효과'''가 있다, 듀얼마스터즈는 한번 소환하면 게임이 뒤집어지는 것도 모자라 거의 이긴다고 할 수 있는 크리처가 많이 있는데, 무척이나 소환하기 어렵지만 일단 띄우고 카드의 효과를 발동시켜 전세를 뒤집는 순간 플레이어에게 짜릿한 쾌감을 안긴다. 그리고 '''[[실드 트리거]]'''의 존재 때문에 꼭 이러한 카드가 나왔다고 해서 상대 플레이어의 패배 또한 완전히 확정되지 않는다.[* [[포켓몬 카드 게임]]의 프라이즈와 비슷하지만, 전투에서 '진 쪽'이 카드를 가져가며 비단 패를 늘리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공개시 추가 효과를 쓸 수 있는 식으로 차별화하였다. 이 시스템은 후일 [[카드파이트!! 뱅가드]]에서 트리거 유닛으로, [[디지몬 카드 게임]](신디지카)에서 이 룰을 시큐리티 효과로 벤치마킹된다.] 간지나는 플레이버 텍스트와 특유의 퀄리티 높은 일러스트도 특징.[* 유희왕 오피셜 카드 게임과는 달리 카드의 일러스트레이터를 카드 내에 표기하는데, 사실 일러스트레이터가 표기되지 않는 TCG 쪽이 드물다.] 초기에는 [[아이돌 카드(유희왕)|유희왕의 아이돌 카드]]나 처음부터 아이돌 카드를 상당수 내세웠던 [[카드파이트!! 뱅가드]]와는 다르게 [[모에]]한 일러스트의 카드가 없다는 특징도 있었으나, 듀얼마스터즈 빅토리 시리즈[* 빅토리의 푸링푸링 시리즈, VS의 에리카, 에리카츄, 사에뽀요, VSR의 헬 더 엘레멘탈 등.]부터 본격적으로 아이돌 크리처가 늘어나면서 옛말이 되었다. 듀얼마스터즈 리부트판 이후로는 엽기적인 일러스트나 카드 이름에 적극적으로 말장난이 들어간 카드가 늘어났으며, 현재 듀얼마스터즈 WIN에서는 말장난 위주의 카드가 조연에게, 고퀄리티 일러스트 카드가 주연에게 돌아가면서 두 가지 기조 모두가 이어지고 있다. 또다른 특징으로는 게임 내에 '''카드 자체를 이리저리 물리적으로 겹치는 행위'''가 상당히 많다. 카드를 겹치는 행위, 여러 카드를 이어서 놓는 행위, 뒤집는 행위까지는 매직 더 개더링[* 각각 부여마법, 혼합 양면 카드, 양면 카드.]에서도 존재했으나, 듀에마에는 청출어람 수준으로 이러한 행위가 발전한 것[* 반면 스플릿 카드가 여러 번 등장한 매직과는 다르게, 카드 분할된 경우는 트윈팩트 정도가 유일하다.]. * 진화: 카드 위에 카드를 겹쳐 크리처를 소환한다. '''[[포켓몬 카드 게임]]의 진화'''가 먼저기는 하나, 진화 루트가 공식적으로 정해져 있던 포켓몬과는 달리 진화 조건이 '특정 종족이나 문명의 크리처' 정도로 느슨하다. 이 '카드를 겹쳐서 아예 새로운 카드를 낸다'는 개념은 이후 유희왕 오피셜 카드 게임의 [[엑시즈 소환]]으로 벤치마킹되었으며, 카드파이트!! 뱅가드나 디지몬 카드 게임은 아예 카드 위에 다른 카드를 겹치는 것이 게임의 주축이다. * 각성: 카드를 뒤집는다. 매직 더 개더링에서 양면 카드는 자주 등장했던 키워드이나, 이쪽은 초차원 존 등 덱에 들어가지 않는 카드에서 주로 쓰이는 방식. * 갓 링크/사이킥 링크 외: 일러스트가 이어진 카드 여러 장을 이어서 놓는다.[* 공인 대회에서 못 쓰는 카드까지 합치면 매직 더 개더링의 [[B.F.M.]]이 최초. 이후 [[카드파이트!! 뱅가드]]의 [[레기온(카드파이트!! 뱅가드)|레기온]], [[유희왕 러시 듀얼]]의 [[맥시멈 소환]]에서 벤치마킹했다.] 가로로 2장을 잇는 쪽은 갓 링크, 3장을 뒤집은 뒤 세로로 잇는 쪽은 사이킥 링크. 아예 제론이나 도르마게돈 X와 같이 아예 4장 이상의 카드를 독특한 방식으로 이어서 놓는 카드도 있다. * 오레가오라 / 무월의 문 / 금단 외: 카드를 다른 카드 위에 '''다른 방식'''으로 겹친다. 관련 설명은 각주 참조.[* 오레가오라는 세로로 된 카드 일러스트 위에 '''가로'''로 그려진 카드를 겹쳐 놓는다.][* 무월의 문은 다른 카드 4장에 그려진 마법진 부분을 X자로 겹쳐 하나의 원형 마법진으로 만든 뒤, 그 위에 크리처를 소환한다.][* [[전설의 금단 도킨담 X]], [[종언의 금단 도르마게돈 X]]를 비롯한 금단 카드는 아예 게임 시작 시에 배틀 존에 놓이지만, 카드 테두리에 홈 모양이 그려져 있어 그 위에 무월의 문처럼 카드를 뒷면 표시로 겹쳐 놓아 '봉인'해야 한다. 이 봉인을 정해진 조건이나 카드의 효과로 해제하여 봉인이 전부 해제되면 사용할 수 있다.] * [[제론(듀얼마스터즈)|제론]] 카드들은 링크와 금단 카드의 방식을 조합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듀얼 개시시 전부 배틀 존에 놓이지만(금단), 특정 조건을 달성하여 제론 성운 카드들을 제론의 의식 카드에 전부 링크시켜야(링크) 소환할 수 있다. * 용해(드래그하트): 처음에는 각성처럼 단순히 뒤집는 카드가 많았지만[* 자리에 나올때는 크로스기어처럼 장비 카드로 나온다.] 그 후 '''3D용해'''라 하여 '''연결된''' 카드 여러 장을 처음에는 접혀 있는 형태로 쓰다가, '''펼쳐서''' 새로운 카드로 만드는 카드들이 등장하였다. 위의 갓 링크 및 사이킥 링크의 연장선상이기는 하나, 3D용해는 카드가 아예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점이 다르다. * 특이하게도 부스터팩에 들어있는 '''카드 표면의 씰을 벗겨서''' 새로운 카드로 쓰는 [[푸른 단장 도기라곤 검]]의 진화형 용의 극한 도기라골든이 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