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동로마 제국
(r2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콤니노스 왕조 시기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Istanbul_2009_Comnenus_Mosaics.jpg|width=100%]]|| || [[12세기]]의 [[모자이크]] 미술. 하기아 소피아의 모자이크로, 콤니노스 왕조의 명군인 [[요안니스 2세]]를 묘사하였다. || [[콤니노스 왕조]]의 통치가 시작되면서 테마 체계에 대한 문제가 수습되었고, 서방의 [[십자군 원정]]을 적절히 활용하여 제국은 숨을 돌릴 수 있었다. 11세기 말 ~ 12세기 말[* 1081년 ~ 1180년으로 딱 100년이다.]의 [[알렉시오스 1세]], [[요안니스 2세]], [[마누일 1세]]로 이어지는 시기에 제국은 중흥기를 맞았다. 영토가 아닌 재정적인 지표를 기준으로 했을 때는 12세기 무렵 [[콤니노스 왕조]] 치하의 시기에 역사상 가장 융성하였다. 당대 기록에서 이미 고대를 넘었다고 자부할 정도였다. 이 시기 제국의 군사력은 중앙 야전군을 4만 혹은 5만 명선까지 팽창시켜 주전력으로 삼았다. 재정 부문에서는 농상공업이 모두 골고루 발전하여 역대 최고의 영화를 누렸다. 12세기 중반에는 이미 조세액만으로 11세기 초에 맞먹게 되었고[* 이 역시 다른 나라 같으면 어떤 시점의 조세액이 한 세기 반 전 조세액과 '''맞먹는다'''면 그건 명백한 퇴보겠지만, 비잔티움 제국이 11세기 초중기 위기를 거치며 상당한 영토를 상실했음을 생각한다면 역시 또 줄어든 영토에서 상업과 공업을 발전시켜 영토가 더 넓던 시기와 맞먹는 조세액을 거둬들일 정도로 경제를 부흥시킨 것이니 대단하다고 평가받는 것이다. 중국으로 치면 북중국을 잃은 남송이 남중국 영토만으로 북송 시대를 회복한 격이다. 당연한 얘기로 1인당 소득도 대폭 늘어났으니 백성들이 살기에는 훨씬 나았다.] 그 세기 후반에 들면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하루 [[관세]]만 금화 2만 개에 달했다는 보고도 있었다. 무엇보다도 당시 발전상이 정부기관과는 구분되는 민간에서 주로 이루어진 점을 감안한다면 앞에서 말한 발전상조차도 이 시기 번영을 표현하기에는 부족할 수 있다. 그만큼 제국은 '''유럽 초강대국'''의 지위를 가졌고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인구는 당대 최고 수준이었다. 이러한 제국의 융성은 [[안드로니코스 1세]]를 마지막으로 콤니노스 왕조가 혼란 속에서 붕괴하며 끝을 맺었고, 뒤이은 [[앙겔로스 왕조]]가 연이은 실정과 지방 세력의 이탈을 겪으면서 종국에는 [[4차 십자군]]으로 인해 제국이 공중분해되는 사태로 귀결되었다. 1261년에 [[팔레올로고스 왕조]]가 가까스로 수도를 복원하며 중흥을 노렸으나, 이후 제국은 다시는 전성기를 누리지 못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