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동로마 제국/역사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1479년, 제국의 마지막 잔재가 사라지다 === ||<tablewidth=500><nopad> [[파일:Mehmed2_Conquers_Constantinople.jpg|width=100%]] || 콘스탄티노폴리스가 함락된 뒤, 그리스 남부 지역에서 제국의 속령으로 남아있던 [[모레아 전제군주국]]은 1460년 메흐메트 2세의 침공을 받아 멸망하였다. 당시 모레아는 [[콘스탄티노스 11세]]의 동생들인 [[토마스 팔레올로고스]]와 [[디미트리오스 팔레올로고스]]가 공동 통치를 하고 있었지만 서로 사이가 좋지 않았는데[* 토마스는 친서유럽에 반오스만적이었고, 디미트리오스는 서유럽 세력에 반감을 가진 한편 오스만에 호의적이었다.], 디미트리오스가 [[오스만 제국]]의 힘을 빌려 토마스를 제거하려 했던 것. 그리고 메흐메트는 이것을 명분으로 모레아 정복에 나섰고, 결국 토마스는 [[교황령]]으로 망명하고, 디미트리오스는 에디르네의 왕궁에 갇혀 그곳에서 죽었다.[* 디미트리오스는 메흐메트의 봉신 정도는 될 수 있지 않을까 하여 망명하지 않았는데, 메흐메트는 정복이 끝난 모레아를 그에게 돌려주지 않고 오스만 제국의 직할령으로 선포했다. 당시 신하들 가운데 한 사람이 메흐메트에게 왜 디미트리오스를 공작에 앉히지 않느냐고 묻자, '그 정도의 재능으로는 어떤 나라를 주더라도 과분하다.'고 답했다고 한다.] 또한, [[동로마 제국]]과 밀접한 연관을 가져 동로마 제국의 봉신을 자처했던 [[제노바 공화국]]의 가문인 가틸루시오 가문이 지배하고 있던 에게해 북동부의 섬들도 모두 점령당했고, 가틸루시오 가문도 대부분 처형당했다. 그리스 전역을 세력권에 넣은 후 메흐메트 2세는 스스로를 '메가스 콤니노스(위대한 콤니노스)로 지칭한 [[트라페준타 제국]]으로 시선을 돌렸다. 트라페준타 황실은 [[조지아]] 왕과 다른 튀르크 부족들에게 구원을 청하고 저항하였으나 역부족이었고, 수백 년을 이어온 위대한 콤니노스 왕조는 1461년에 오스만에 항복한 후 그동안 저항한 대가로 일부는 처형당하고 일부는 이슬람교로 개종한 뒤 오스만 제국의 일개 백성이 되었으며, 그 외 나머지는 조지아 등으로 망명했다. 하지만 이들 가운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자세한 흔적을 남긴 사람은 없어, 왕조로서의 역사는 이것으로 끝났다. 그러나 트라페준타가 망한뒤로도 제국의 잔재는 아직 남아있었다. 이 잔재의 정체는 크림 반도에 남아 있던 테오도로 공국이었고 이들은 제국이 망한 1453년부터 지속해서 오스만에 저항하고 있었다. 특히 트라페준타가 멸망하자 오랜 라이벌이던 카파의 제노바 식민지와 평화협정을 맺고 공동연대를 하기까지 하는 등 골칫거리로 남아있었다. 메흐메트 2세는 이들을 정복하기까지 트라페준타가 멸망한 뒤로부터 꼬박 14년을 매달려야 했고 마침내 1475년 [[테오도로 공국]]의 수도 도로스를 함락시키고 1479년에는 이탈리아계 귀족이 지배하던 [[이피로스 전제군주국]]마저 멸망시킨다. 이로써 2,200년 역사의 로마 제국은 그 잔재마저 완벽히 사라지고 만다. 한편 교황령으로 망명했던 토마스 팔레올로고스는 교황에게 형식적으로나마 황제로 대접받다가, 망명한 지 5년째 되던 해인 [[1465년]]에 [[로마]]에서 사망하고, 그의 아들 [[안드레아스 팔레올로고스]]가 뒤를 이었다. 그러나 안드레아스가 뒤를 잇자 기다렸다는 듯 교황이 지원금을 줄여버렸고 생계를 유지하기 어려워질 지경에 이르렀다. 급기야는 [[로마 황제]]의 칭호를 [[프랑스 왕국|프랑스]]의 [[샤를 8세]]에게 팔아넘기기까지 했다. 그러고도 돈이 부족했는지 죽기 직전에는 [[스페인]]의 [[이사벨 1세]]와 [[페르난도 2세]] 부부왕에게 다시 한 번 팔아넘기기까지 했고[* 이때 샤를 8세는 이미 사망한 뒤였다.], [[1502년]]에 로마에서 사망했다. 이때 안드레아스는 후손을 남기지 않았고[* 다만 안드레아스 사후, 그의 사생아라 주장하는 인물들이 몇몇 나왔었다.], 황제의 칭호를 사들인 프랑스와 스페인의 왕들은 허울뿐인 로마 황제의 칭호를 사용하지 않았기에, [[아우구스투스]] 이래 '''1,500여년'''을 이어온 로마 황제위는 그렇게 명목상 계승권마저 흐지부지되며, 허무하게 소멸되었다.[* 다만, 토마스와 안드레아스가 교황령으로 망명한 이후 실제로 사용한 칭호는 로마 황제가 아닌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황제(Imperator Constantinoplitanus)'였는데, 이는 멸망한 [[동로마 제국]]과는 달리 아직도 건재했던 [[신성 로마 황제|서방 제국의 황제]]의 눈치를 보느라 당당하게 로마 황제를 칭할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안드레아스로부터 칭호를 사들인 스페인과 프랑스의 왕들도 실질적인 이득은 없는데 [[신성 로마 제국]]과의 외교적 마찰을 불러올 [[리스크]]만 있는 로마 황제 칭호를 사용하지 않았다.] 한때 지중해 전역을 호령했던 로물루스의 후예들이 모두 역사 속으로 사라지는 순간이었다. 반면, 토마스의 딸이자 안드레아스의 누이인 조이 팔레올로기나는 안드레아스와는 달리, 순탄한 삶을 살 수 있었는데, 그녀가 [[소피아 팔레올로기나]]로 개명하고, [[모스크바 대공국]]의 [[이반 3세]]와 결혼했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이반 3세는 이 결혼을 계기로 [[차르]]를 자칭하고 [[모스크바]]를 [[제3의 로마]]로 칭했으며, [[루스 차르국|러시아가 차르국임을 선언하였다.]][* 교황은 이 혼인을 주선하면서, 아직 [[오스만 제국]]에 복속되지 않은 [[정교회]] 국가들 중 가장 강력했던 모스크바 대공국을 회유하여 [[가톨릭]] 중심으로 동서 교회의 재통합을 이루려 했으나, 이반 3세가 차르를 칭하고 정교회 국가들의 맹주를 자처하면서, 수포로 돌아갔다.][* 그러나 명칭만 조금씩 달랐을 뿐이지, '제3의 로마' 를 칭한 나라는 이전에도 많았다. 먼저 [[세르비아 왕국(1217년~1346년)|세르비아]] 왕 슈테판 우로시 4세(슈테판 두샨, 1331~1355)는 1346년에 황제를 칭하면서 '세르비아와 로마니아의 황제'를 자칭하고 [[세르비아 제국]]을 선포하고 콘스탄티노폴리스를 공격하려 했고, [[제2차 불가리아 제국]]의 황제 [[이반 알렉산더르]](1331~1371)도 불가리아의 수도 투르노보를 '제2의 콘스탄티노폴리스'라고 불렀다. 한편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정복한 메흐메트 2세도, '카이세리 룸'. 즉 '로마 황제' 를 칭했다.] 이후 류리크 왕조는 1598년까지 이어지는데, 이때까지 등장한 차르들이 모두 소피아의 직계 후손들이라 러시아에서는 로물루스의 후예들이 그나마 이어졌다고도 볼 수 있다.[* [[바실리 3세|아들]]-[[이반 4세|손자]]-[[표도르 1세|증손자]]까지 이어졌다.] 상대적으로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제국이 멸망한 이후에도 [[이탈리아]]의 [[몬페라토 변경백국]]을 지배하고 있던 [[팔레올로고스 왕조]]의 [[분가]][* 이 쪽은 안드로니코스 2세의 4남인 테오도로스 팔레올로고스로부터 시작된다.]는 살아남아 약 백년을 더 이어갔다. [[1530년]] 몬페라토 [[변경백]] 보니파시오 4세가 만 13세로 요절하고 마지막 남성 구성원이자 보니파시오 4세의 숙부였던 조반니 조르조 팔레올로고가 1533년에 죽은 이후 부계 직계 혈통은 단절되었지만,[* 다만 조반니가 사생아 아들을 하나 남겨뒀고 그 사생아의 후계가 계속 이어져 2007년 조사 결과 팔레올로고오리운디라는 이름으로 1981년생, 1983년생 남자 후계자가 베네치아에 거주하고 있다는 게 확인되었다. 2023년 기준으로 잡아도 이들 모두 40대 초반이라 한창 나이인 만큼 사고만 없었다면 계속 이어지고 있을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 후계자 마르게리타 팔레올로가(1510~1566)가 만토바 공작 페데리코 2세와의 결혼에서 자손을 남기는 데 성공했다. 이쪽은 흔적도 찾아볼 수 없이 단절된 본가와는 달리 [[21세기]]인 지금까지도 그 족보를 정확히 추적할 수가 있는데, 그녀의 증손녀인 마르게리타 곤차가(동명이인)가 [[로렌]] 가문과의 결혼을 통해 그 유명한 합스부르크-로트링겐 가문의 조상[* [[마리아 테레지아]] 이후 단절되는 합스부르크 본가와는 구분된다.]이 되었다. 그러므로 좀 뜬금 없지만 현 [[합스부르크 가문]]의 수장인 카를 폰 합스부르크-로트링겐의 약 800년 전 조상은 동로마 제국의 [[안드로니코스 2세]]가 되고, 또 200년을 더 거슬러 올라가면 [[알렉시오스 1세]]가 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