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독일 사회민주당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올라프 숄츠|숄츠]] 내각 : 16년만의 정권교체 === ||<tablewidth=500><tablebordercolor=#E3000F,#E3000F><bgcolor=#fff><nopad> [[파일:SPD_Logo_Kasten_ani_16-9.gif|width=100%]] || >'''Soziale Politik für Dich.[br]당신을 위한 사회 정치''' [[파일:독일 사회민주당 로고(2021-2022).svg|width=200]] 총선을 앞두고 제작한 새 로고. [[제20대 독일 연방의회 선거|2021년 총선]]을 기점으로 메르켈이 정치에서 은퇴하기 때문에 메르켈 이전의 보수적이던 기민련 이미지가 유권자들에게 다시금 회자되고 있는 상황이라, 마스크 스캔들이 역린이 되어 코로나 사태 동안 높은 지지율을 유지하던 기민련의 지지율이 급락하고 있다. 기민련에서 빠져나가는 지지율을 얼마나 챙기느냐에 따라 사민당이 이번 총선에서 어느 정도의 득표를 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사민당 입장에서는 2021년 총선의 결과에 따라 정부구성에 참여하지 못한다고 하더라도 장기적 전략에서 손해볼 것이 없다는 조심스러운 전망을 내놓고 있다. 사민당의 지지율은 기민련과 대연정을 할 때마다 폭락해왔기 때문에 [[2019년]] 당대회에서 확인되었다시피 이제는 야당 입장에 서서 당의 입장을 선명히 해달라는 당원들의 요구가 거센 상황이다.[* 오죽하면 메르켈 총리의 별명이 '''[[파괴왕|연정 파괴자]]'''다. 연립정부가 아니라 '''연정 파트너를 파괴해서 그렇다.'''] 그리고 기민련과 녹색당 사이에 연정이 성립한다 치더라도 기후변화에 대한 두 정당의 입장이 너무나도 판이하기 때문에 시도 때도 없이 두 정당간 정쟁이 벌어질 것이 예상되는데다, 어느 한쪽이 양보라도 하는 순간 자기 정당 지지율에 큰 타격을 입을 것이 뻔하다. 거기에 한때 언론들의 극성보도로 정치계를 뒤덮으며 사민당을 곤란하게 했던 난민 사태 이슈는 사라진지 오래이고, 코로나바이러스 사태도 현재의 백신 접종율을 보면 총선이 있는 가을 쯤에는 어느 정도 해소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독일 유권자들의 주요 관심 이슈는 기후변화와 그에 따른 일자리변화/창출이 될 가능성이 크다. 초기에는 기민당의 지지율이 우세한 상황이었다. 하지만 2021년 7월 [[2021년 독일·베네룩스 폭우 사태|라인란트팔츠주와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에서 유례가 없는 대홍수]]가 일어났다.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의 주총리이자 기민련의 차기 총리 후보인 [[아르민 라셰트]]는 기존에도 [[기후변화]]에 대해 '서둘러서 해결할 이유가 없다'라는 등 기후변화 해결에 미온적인 입장을 보였던데다 홍수가 난 당일엔 기후변화에 대한 입장을 하루에도 3번씩이나 왔다갔다 바꾸는 등,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해에 전혀 대응을 못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었다. 그 와중에 홍수로 피해를 입은 지역을 찾아가서는 자연재해에 유감을 표하면서도 인터뷰하는 대통령의 뒤에서 다른 사람들과 농담을 주고 받으며 웃고 떠드는 모습이 TV 카메라에 잡히는 바람에 온갖 구설수에 올랐다. 덕분에 후보 비호감도가 급등하고 있다. 홍수 사태 이후 라셰트와 기민당의 지지율이 하락했고 반대급부로 숄츠가 이끄는 사민당의 지지율이 오르면서 지지율 역전을 이루게 되었다. 한편 기후변화 해결에 가장 주도적으로 나섰던 녹색당이 이에 반사이익을 보는듯 싶었으나, 녹색당 총리 후보인 [[아날레나 베어보크]]의 비호감 이미지 역시 표절 논란 등으로 상당히 강해서인지, 2021년 5월에 최고치에 달했던 지지율은 그 이후로 계속해서 하향세를 보이고 있다. 이런 상황 덕분에 사민당의 총리 후보인 [[올라프 숄츠]]에 대한 유권자들의 호감도가 경쟁 후보들에 비해 두세배나 압도적으로 높은 상황이 되었다. 이 부분이 앞으로 사민당의 지지율을 끌어올릴 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실제로 지지율도 크게 상승하여 8월 말 기준 20% 중반으로 올라 20% 초반으로 추락한 기민/기사 연합을 제치고 1위를 기록하여 차기 집권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결국 2021년 9월 26일 총선 결과 25.7%를 득표하며 총선에 승리하고 원내 1당을 되찾았다.'''[* 물론 2017년과 비교하여 많이 오른것이지, 메르켈 이전에 사민당이 받던 득표율에는 발끝도 쫓아가지 못하였다. 오히려 2013년 선거결과와 동률이다. 전통적인 군소정당이던 녹색당이 많이 성장하고, 극우정당 AfD의 등장으로 30~40%대 득표율을 받던 양당 CDU/CSU와 사민당의 득표율이 전반적으로 쪼그라들었다.] 녹색당으로 젊은층 지지자들이 많이 빠져나가긴 했지만, 좌파당에서 지지자들을 대거 흡수한데다, CDU/CSU를 지지하던 고연령대가 사민당으로 지지를 바꾼 점이 승리의 요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즉 녹색당과 비교하여 '마일드'한 기후변화 공약들을 펼쳐 손해를 본 측면이 있지만,[* 사민당 내에서도 청년단체인 JUSOS등을 기수로 기후변화 해결에 대한 목소리는 매우 강한편이다. 하지만 주요 지지계층인 노동조합과 더불어 사민주의적 복지정책을 떠받드는 일자리 및 세금을 늘 고려해야하는 사민당 입장상, 어차피 녹색당이 포함된 연정정부를 꾸릴 수 밖에 없으니, 녹색당에 '급진적'인 정당 이미지를 부여하고 자신들은 중재를 본다는 포지션을 갖는 것이 현실적이라고 판단하고 있는 것이 분명하다.] 중도소리를 듣던 사민당이 좌파적 정책들을 다시 대거 수용한데다, 상대 총리 후보인 아르민 라셰트의 비호감과 비교되는 올라프 숄츠의 높은 호감도로 인해 좌파당[* 실제로 좌파당의 지지율이 높은 편이던 구 동독 지역에서의 사민당 득표율이 이번 선거에서 많이 올랐다.]과 고연령층의 지지율을 끌어들인 것이다. 이에 무려 16년만에 사민당 주도의 정권교체의 가능성이 열렸다. 총선 승리 이후인 10월 29일, 노르베르트 발터-보르얀스 공동대표가 연말인 12월에 있을 대표 선거에는 불출마하겠다는 의사를 밝히고 대표직에서 사퇴했다.[[https://www.spiegel.de/politik/deutschland/norbert-walter-borjans-will-amt-als-spd-chef-abgeben-a-b53d05f1-5141-4c06-8eb5-63e0fd695951|#]] 이에 당 지도부에서는 선거 승리를 이끈 전략가인 [[라르스 클링바일]] 사무총장을 후임 공동대표로 승격시키기로 했다.[[https://newsis.com/view/?id=NISX20211109_0001644846&cID=10101&pID=10100|#]] 11월 23일, 마침내 자민당, 녹색당과의 신호등 연정 협상이 공식 타결되며 숄츠가 제9대 독일 총리로 지명됐다.[[https://m.sedaily.com/NewsVIew/22U4OL5GS7#cb|#]] 이후 각 당의 연정 수립안을 거쳐 [[12월 8일]] 연방의회의 신임 투표[* 찬성 395표, 반대 303표]를 통과하고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대통령에게 임명장을 받으면서 공식적으로 '''16년만의 정권교체를 완수'''했다. 2022년 1월까지만 해도 허니문 기간을 한껏 누리며 [[https://www.zdf.de/nachrichten/politik/politbarometer-corona-scholz-merz-atomenergie-100.html|65%라는 높은 지지율]]을 기록하였으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침공 이전|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갈등]]으로 인해 연정에서 파열음이 나면서 숄츠 내각 지지율이 한달만에 50%대로 추락하는 아픔을 맛봐야했고, 당 지지율도 1년만에 [[CDU/CSU]]에게 다시 역전당하고 말았다. 특히 숄츠 총리가 전임 [[앙겔라 메르켈]] 총리 대비 외교 무대에서 약한 존재감을 보여 [[투명인간]]이라는 모욕적인 별명까지 얻고 말았다.[[https://www.dw.com/en/new-german-government-sees-drop-in-opinion-polls/a-60652398|#]] 하지만 숄츠 총리가 취임한 지 100여 일만이 되는 [[2022년]] [[3월 28일]] 열린 [[자를란트]] 주의회 선거에서 사민당이 40%가 넘는 압도적인 득표율을 기록, 단독 과반을 확보하는 대승을 거뒀다. 이로써 앙케 렐링어 자를란트주 경제장관을 필두로 한 사민당은 단독 정부 구성을 할 수 있을 정도의 득표율을 기록하면서 23년 만에 [[기민련]]을 제치고 주총리직을 거머쥐었고, 숄츠 총리는 취임 이후 첫 시험대에서 사민당의 압승을 이뤄내면서 굳건한 여론의 신임을 증명했다.[[https://www.yna.co.kr/view/AKR20220329000900082|#]] 하지만 두달 뒤인 2022년 5월에 열린 [[슐레스비히홀슈타인]]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지방선거에서 연거푸 패배하며 지지가 흔들리고 있다. 특히 당내에서 우크라이나를 지원하는 문제에 대해 우왕좌왕 하고있는 것이 주 이유. 정당 지지율 역시 연일 하락세를 거듭하면서 CDU/CSU, 녹색당의 뒤를 잇는 3위로 다시 추락했다.[[https://www.politico.eu/article/conservatives-and-greens-winners-in-key-german-state-election/|#]] 그래도 2022년 10월 열린 [[니더작센]] 주의회 선거에서 승리를 거두면서 위안을 얻게 되었는데, 특히 선거의 주요 의제 중 하나가 엠슬란트 원전 폐쇄 문제 및 에너지 문제와 연관되어 있었기 때문에 이번 선거를 통해 숄츠 총리와 사민당이 내세우는 주요 의제인 탈원전에 대해 국민들의 승인을 얻은 것으로 평가받았다.[[https://www.dw.com/en/germany-lower-saxony-election-a-boost-for-chancellor-olaf-scholz/a-63382759|#]] 2023년 12월에 열린 전당대회에서 대러외교정책 기조를 바꾸기로 결정했다. 이 전당대회에서 의결된 외교정책 제안서를 보면 러시아와 경제적 관계를 강화하면 러시아의 민주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존의 가정이 잘못됐고, 결과적으로 에너지 분야에서 정책적 종속을 불러왔다고 시인했다.[[https://m.yna.co.kr/view/AKR20231210045900082?section=international/all|#]] [[2024년 유럽의회 선거]]에서 청소년층까지 투표연령이 확대되면서 너도나도 청소년층 표심 공략에 들어갔는데, [[독일을 위한 대안|대안당]]이 틱톡을 포함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통한 적극적인 선거운동으로 [[Z세대]]의 표심을 사로잡은 것과 달리, SNS를 통한 선거운동에 소극적인 사민당은 본 선거에서 청소년층에서 저조한 지지세를 기록했다. [[https://www.dw.com/en/afd-how-germanys-far-right-won-over-young-voters/a-69324954|#]] 이전부터 지지층의 노쇠화와 청년층들을 대상으로한 홍보 부족이 문제점으로 지적당했는데 그 부분이 제대로 드러나고 만 것. 2024년 9월, [[2024년 작센 주의회 선거|작센 주의회 선거]]와 [[2024년 튀링겐 주의회 선거|튀링겐 주의회 선거]]에서 기민련, 대안당, [[자라 바겐크네히트 동맹|자라 동맹]]에도 밀리며 집권여당으로서 최대 위기에 봉착했다. 하지만 9월 22일 진행된 [[2024년 브란덴부르크 주의회 선거|브란덴부르크 주의회 선거]]에서 대안당을 간신히 앞서면서 일단 한숨 돌릴 수 있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안당의 지지세 상승이 뚜렷했던 선거인 만큼, 대안당에서는 자축하고 있는 상황이다. 2024년 11월, 자민당이 연정에서 탈퇴하면서 소수내각이 됐다. 숄츠 총리는 야당들에게 2025년 1월 신임투표를 제안했지만 야당에서는 즉각적인 신임투표를 요구했다. 결국 2024년 12월 신임투표 - 2025년 2월 23일 조기 총선을 하기로 합의하면서 과도 내각 형식으로 정부를 유지하게 됐다. 2025년 총선 공약으로 소득세 감면과 전기차 보조금 부활을 내걸었다.[[https://m.yna.co.kr/view/AKR20241014138100082|#]] 2024년 12월 16일, 의회 신임투표안이 부결되면서 조기 총선이 현실화됐다. 총선 국면이 다가오면서 지지율이 소폭 반등하고 있긴 하지만 여전히 AfD에도 밀리는 지지율 탓에 CDU/CSU에 정권을 내주는 건 명약관화한 상황. 다만 정국 안정을 위한 CDU/CSU 주도 대연정 가능성이 다시 언급되고 있다. 2025년 2월 23일 치루어진 조기 총선에서 AfD보다도 낮은 득표율을 기록하며 120석의 원내 제3당이라는 역사상 최악의 성적표를 받아들였다. 사민당이 3당 이하로 떨어진 것은 [[독일 제국]] 시절 이후로 처음이다. 참패임을 부정할 수 없지만, 선거 결과 유일한 시나리오로 남은 CDU/CSU와의 대연정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이라 앞날이 절망적이지만은 않아 보인다. 물론, 대연정을 구성해 여당으로 남는 것이 과연 다음 총선에 유리할지는 별개다. 그나마 2025년 3월 2일에 열린 [[2025년 함부르크 주의회 선거]]에서 선방하면서 총선 참패로 쓰라린 속을 다소 달랠 수 있었다. 이후 숄츠가 형식적인 행정부 수반 자리를 지키는 상황에서 [[보리스 피스토리우스]] 국방장관, [[라르스 클링바일]] 원내대표 주도로 CDU/CSU와의 대연정 협상을 진행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