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독소 불가침조약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리트비노프 구상 == || [[파일:Beck,_Litwinow_1934.jpg|width=100%]] || || 1934년 당시 폴란드 외무부장관 유제프 베크(좌)와 대담하는 [[막심 리트비노프]](우) || [[소련]]은 [[체코슬로바키아]] 위기 당시 체코슬로바키아와 동맹을 맺고 있었고, 소련군은 유사시 [[루마니아 왕국|루마니아]]를 통과하여 체코슬로바키아에 출동할 준비를 갖추고 있었으나 정작 [[서유럽]]이 체코슬로바키아를 포기하고 [[주데텐란트]]를 [[나치 독일]]에 할양하자 큰 위협감을 느끼기 시작했다. 게다가 [[아돌프 히틀러]]는 집권 당시부터 소련을 비난해왔고 소련과의 전쟁은 피할 수 없다고 주장했기 때문에 나치 독일이 곧 소련과의 전쟁을 일으킬 것이라는 위기감이 소련 지도부를 덮쳤고, [[영국]], [[프랑스]], 소련이 구성한 집단 안보 체제는 크게 흔들렸다. 소련 외무부장관 막심 리트비노프는 반독-친서방파로서 영국, 프랑스, 소련, 체코슬로바키아가 연합해 독일을 포위하는 구상을 했으나, [[스페인 내전]]과 [[오스트리아 병합]] 등의 사태에서 4국 집단 안보 체제는 제대로 된 대응을 하지 못했고 [[뮌헨 협정]]은 그의 구상에 결정타를 가했다. 수년에 걸친 이 노력이 헛수고로 끝나자 [[이오시프 스탈린]]은 격노하여 1939년 4월 17일에 리트비노프를 경질하고 대서방 강경파인 [[뱌체슬라프 몰로토프]]를 외무부장관으로 임명했다. 그러나 스탈린은 집단 안보 체제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하여 몰로토프를 외무 장관으로 임명한 뒤에도 외교 정책 기조를 유지했다.[* 리트비노프는 해임 당시에 [[라브렌티 베리야]]가 자택을 수색하는 등 거의 숙청될 뻔했으나, 스탈린의 신임을 완전히 잃지는 않아서 [[미국]] 대사로 전보되었다. 이후 리트비노프는 [[독소전쟁]] 당시 미국에서 여러 활약을 하여 미국의 분위기를 소련에 우호적으로 바꾸는데 큰 역할을 했다. 또한 그는 [[블라디미르 레닌]]과 함께 혁명 운동을 한 고참 [[볼셰비키]]였고, 1920년대에 소련이 서유럽 여러 국가들과 다시 외교 관계를 복원하는 데 큰 역할을 한 능력 있는 외교관이었기 때문에 스탈린도 이런 인재를 함부로 숙청할 수 없었다.] 하지만 스탈린의 의중과는 상관없이 나치 독일 측은 리트비노프의 경질을 자국에 유리한 조치로 보았다. 왜냐하면 리트비노프는 반독일주의자였고, 뮌헨 협정 당시부터 독일에 극단적으로 적대적이었기 때문이다. 결정적으로 리트비노프는 나치가 혐오하는 [[유대인]]이었다. 이런 인사 경질에서 독소 협력의 가능성을 포착한 것이 바로 리벤트로프였으며, 그는 아래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히틀러에게 독소 회담을 제안한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