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도쿄대학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기타 == * 도쿄대학은 일본의 [[슈퍼글로벌대학]]으로 지정되어 있어서 도쿄대학의 학부/연구과를 졸업하면 [[일본 고도인재 외국인 대상 포인트 우대제도]] 신청 시 가산점 10점을 받을 수 있다. 즉, 해당대학 졸업시 어지간하면 요건 점수 70점을 바로 채우게 되어 있어서 일본 [[영주권]]이 빠른 시간으로 나온다. * 동대제국주의(東大帝國主義)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특히 일본 정재관계에서는 오랜 세월 누적된 차이로 완전히 도쿄대가 선두다. 중퇴자 2명[* [[하라 다카시]], [[고노에 후미마로]]]을 제외하면, 지금까지 17명의 [[일본국 내각총리대신|총리대신]][* [[사이온지 긴모치]] - [[가토 다카아키]] - [[와카쓰키 레이지로]] - [[하마구치 오사치]] - [[히로타 고키]] - [[히라누마 기이치로]] - [[시데하라 기주로]] - [[요시다 시게루]] - [[가타야마 데쓰]] - [[아시다 히토시]] - [[하토야마 이치로]] - [[기시 노부스케]] - [[사토 에이사쿠]] - [[후쿠다 다케오]] - [[나카소네 야스히로]] - [[미야자와 기이치]] - [[하토야마 유키오]].]을 배출하여 총리를 가장 많이 배출한 대학이다. 하지만 2000년대 전후로 도쿄대학 출신은 [[하토야마 유키오]] 밖에 없다.[* 거기다가 하토야마는 법학부가 아닌 공학부 계수공학과를 졸업하고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공학자 출신이다.] 즉, 도쿄대의 학벌권력이라는 건 관료적 권력 구조의 실무진을 도쿄대 출신 네트워크가 지배한다는 의미에 가깝다. 실제로 업무에 정통해야만 하는 사무차관이라거나, 그 이하 각 국장, 과장 등에 이르기까지 관료조직은 대부분 도쿄대 출신자의 손에 장악된 상태라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재무성]]의 전신인 대장성의 최고위관료 사무차관은 [[2차 세계 대전]] 이후, 단 3명만이 비 도쿄대 [[법학부]] 출신이었다. 그리고 그 3명중 1명은 도쿄대 [[경제학부]].] 실제로 초선 [[국회의원]]들을 모아 놓고 관료들이 공부를 시켜 실무를 파악시키는 관행이 있을 정도. 어차피 일본은 관료 지배 국가라는 소리를 들을 만큼 관료의 힘이 센 나라고, 일본 대기업들도 결국은 관료 조직과 크게 다를 바 없는 조직 구성이다. 엄밀히 말하면 처음부터 그런 목적으로 만들어진 대학이 당시의 [[제국대학]]으로, 도쿄대학은 그 중에서도 최초이기에 그저 목적에 충실한 것뿐이다. 하지만 실상 [[관료]]의 이미지를 만든 건 도쿄대학 법학부 출신들이고([[http://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88215|#]]), 문학부 같은 경우는 전통적으로 학구파적 성향이 강하고 관료적 풍토에서 벗어난 모습을 보인다. 일본의 근대 문학가들 중 상당수가 도쿄대학 출신인 점을 생각해 보자. [[역사학]]의 경우 도쿄대는 [[마르크스주의]] 사관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 가끔 가다 도쿄대학에 2번째로 입학하는 부모도 있다고 한다. 2012년에는 아들의 입시 응원을 위해 같이 공부하던 어머니만 합격하는 일이 벌어졌다.[* 아들이 수험생이 되자 함께 공부하여 어머니는 도쿄대에 합격했지만 아들은 떨어졌다고 한다. [[http://1000nichi.blog73.fc2.com/blog-entry-1650.html|관련 글]]] * 생협에서 [[기념품]]을 살 수 있다. 딱히 대단한 건 아니고 [[볼펜]], [[연필]], 옷 등을 판매한다. 수험생들의 선물용, 개인 동기부여 등으로 많이 사간다. * [[TBS 테레비]]에서, 도쿄대 재학생들과 연예인 페널들이 출연하는 [[동대왕]]이라는 퀴즈 프로그램을 2017년부터 방영하고 있다. * 도쿄대학의 야구부는 소속 리그인 [[동경6대학리그]]에서 [[서울대 야구부|만년 꼴찌]]를 자랑한다. 리그의 다른 대학과는 달리 유일한 [[국립대학]]이라 체육특기생 제도가 없고 애초에 공부만 하던 학생들이라 덕분에 소속 팀들 중 유일하게 [[우승]] 경력이 없다.이렇게 만년 꼴찌를 자랑하는 야구부답게 94연패, 40시즌 연속 최하위 등등의 온갖 막장 기록도 보유 중이다.[* 자세한 기록들은 다음을 참조. [[https://tokyo-bbc.net/history/history.html|야구부 공식 사이트 내 기록]], [[https://ja.wikipedia.org/wiki/%E6%9D%B1%E4%BA%AC%E5%85%AD%E5%A4%A7%E5%AD%A6%E9%87%8E%E7%90%83%E9%80%A3%E7%9B%9F#記録|일본 위키백과 도쿄대 야구부 항목]], [[https://www.big6.gr.jp/system/prog/record.php?kind=record_winlost|리그 공식 사이트 내 기록]]][* 참고로 94연패를 끊기 위해, 야구를 잘 하는 고등학생들을 감독이 무료로 도쿄대 입시 공부를 시켜(...) 전력을 보충해 끊었다고 한다.] 이렇게 극악의 약체인 야구부인지라 현재까지 [[일본프로야구]]에 데뷔한 선수는 6명뿐이고,[* 가장 최근은 2017년, 법학부 재학 중인 [[투수]] 미야다이 코다이(宮台康平)가 드래프트를 신청,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에 7순위로 지명되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9646146?sid=104|화제]]가 되었다. 미야다이는 [[야쿠르트]]로 트레이드되고 2022년 시즌후 은퇴를 선언해서 5년만에 프로 생활을 접었다.] 그마저도 눈에 띄는 활약을 한 선수는 아무도 없었다. * 5월병이라는 개념이 만들어진 곳이기도 하다. 최초의 5월병의 의미는 그야말로 약 20년의 [[인생]]을 갈아 넣다시피 하여 꿈에 그리던 도쿄대에 진학한 학생들이 정작 도쿄대에 입학하고 난 후 봄철의 나른함을 겪고서 슬슬 더워질 기미가 보이며 햇빛이 비추는 시간이 길어지는 5월쯤이 되어 “도쿄대에 들어와서 좋긴 한데 이제는 기쁜 감정도 사라지고 나에게 도쿄대는 일상이 되었는데 이젠 또 뭘 해야 하지? 앞으로 무엇을 해야 하지?” 같이 무엇을 해야 할지 모르는 상태가 되어 버려 극도의 우울감이나 무기력증에 빠져 버리는 증상을 말했었다. 이렇게 5월병이 [[유행]]처럼 쓰이다 개념 자체가 좀 더 확장이 되어 봄철에 입사한 신입사원들이 첫 장기휴일인 5월의 [[골든 위크]]를 거치고 난 후에 극단적인 우울감과 무기력증에 빠져서 업무능력이 현저히 저하되거나 심하면 무단 결근 및 사표를 내는 일까지 벌어지는 상황에도 쓰이게 되었다. 여기서 한단계 더 발전해서 5월이 되면 이런저런 이유로 마음이 싱숭생숭한 감정을 느끼는 것과 그런 사람들 자체를 5월병이라고 하는 듯 하다. [[https://www.excite.co.jp/news/article/Mamatenna_63339/#google_vignette|#]] * 입학식은 [[일본 무도관]]에서 치른다. 2020년도에는 무도관이 [[2020 도쿄 올림픽]]을 앞두고 리뉴얼하는 바람에 그 대신 [[료고쿠 국기관]]에서 치를 예정이었지만,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영향으로 아예 취소되어 버렸다. 졸업식은 언제나 야스다 강당에서 한다. * 도쿄대 2024학년도 신입생은 총 3,126명으로 남학생은 2,480명, 여학생은 646명인데 여성 신입생 비율은 23%로 역대 제일 높은 기록이지만, 20%대에 그친다. 도쿄대의 후지지 총장은 도쿄대 입학의 성별에 큰 편차가 있다고 편차는 인문학보다 과학에서 훨씬 더 크다면서 도쿄대가 여성을 비롯한 다양한 학생을 유치하는 대학인지, 다양한 학생을 환영하는 환경이 준비됐는지 질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310/0000115848?sid=104|#]] * 도쿄대 학부, 석박사 전체 학생 (일본인 포함) 중 약 12%가 중국인이며, 전체 유학생의 67.8%가 중국인이다. 2024년 11월 기준, 도쿄대 석박사 대학원생 4명 중 1명은 중국인 유학생인데, 대학원생의 전체 인원이 약 1만 5,000명이고 중국인 유학생은 약 3,500명으로 파악되었다. 중국인 다음으로 많은 한국인이 360명인 것에 비하면 중국인이 지나치게 많다. 2024년부터 일본국민의 세금으로 도쿄대 중국인 유학생 좋은 일만 해준다는 식의 비판여론이 언론, 정치권에서도 강해졌다.[[https://www.newsweekjapan.jp/tokyoeye/2025/02/post-228.php|#]] [[https://n.news.naver.com/article/214/0001435640?sid=104|#]] 도쿄대 박사의 경우 1인당 생활비와 연구비를 연간 최대 290만엔(약2,900만원)을 지급했는데, 2024년 ‘차세대 연구자 도전적 연구 프로그램’ 지원을 받은 박사과정 대학원생 전체 수급자 중 27.5%가 중국인이었다. 수백만명의 일본인들이 정부에 항의하자 2026년부터 해당 생활비는 일본인에게만 지급되게 바꼈다. [[https://m.mk.co.kr/amp/11353632|#]] * 연 2회에 걸쳐 (3월/9월) 홍보지를 발행한다. 홍보지의 이름은 담청(淡青). 도쿄대의 상징색이기도 하다. 본래 불규칙하였으나 2010년대 들어서 3월과 9월로 정립되었다. [[https://www.u-tokyo.ac.jp/ja/about/public-relations/tansei.html| “담청” 홍보 사이트 및 다운로드 링크]] * 2025년 일본 도쿄대학교 연구팀이 실험실에서 배양한 [[인간]] [[근육]]을 활용해 바이오하이브리드 로봇 손을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 [[https://www.auto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29026|#]]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